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색 공간 정보를 이용한 지지벡터 영역 묘사 기반의 장면 이해

        김수완(Soowan Kim),장형진(Hyung Jin Chang),강우성(Woosung Kang),최진영(Jin Young Choi) 대한전기학회 200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기존 영상감시 시스템의 물체 탐지 알고리즘은 주로 배경 모델링 기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 기법은 차영상 기법보다는 성능이 뛰어나기는 하지만 여전히 정지 카메라에서만 활용이 가능하고, 주변 환경에 따라 알고리즘 상의 많은 임계값을 현재 상황에 맞춰 일일이 조절해 주어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배경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되는 영상의 Color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내에 있는 여러 대상을 직접 판단하여 관심 있는 물체를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먼저 현재의 영상을 하나의 물체로 추정되는 영역이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지게 간단하게 분할해낸다. 그리고 나누어진 영역마다 대표 Color 값을 계산하여 미리 학습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Support Vector Domain Description (SVDD)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구별해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영역이 무엇인지를 판별해낸다. 이 방법은 정지되어 있는 카메라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카메라 상에서도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알고리즘 상에서 사용되는 임계값의 종류가 적기 때문에 많은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쓰일 수 있다.

      • KCI등재

        오프라인 방탈출 게임의 개념과 스토리텔링 구조 유형 연구

        김수완(Soowan Kim) 한국게임학회 2021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오프라인 방탈출 게임의 개념과 스토리 유형 분류를 위해 운영 중인 141개의 매장에서 428개의 게임을 직접 플레이 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형화를 시도했다. 분류는 트로티어의 3막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사 결과 오프라인 방탈출 게임에는 총 3가지의 스토리 유형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탈출 목적(a)과 조건(b), 그리고 탈출을 위한 이유(c)를 게임 입장 전 고지하는 유형인 a+b+c 와, 목적(a)과 조건(b)는 사전에 고지하지만 탈출 이유(c)는 게임 플레이를 통해 파악하는 유형 a+b(c), 마지막으로 탈출 조건과 목적 그리고 이유 모두 입장 후 확인되는 유형(a+b+c)이 존재하고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concept of escape room game and sorting story type based on 428 games at 141 escape room actually played. The classification were processed by Act 3 of Trottier, an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result shows three story types in offline room escape games. As for the types shown as, reason, condition and purpose of escape are guided before entering the room; a+b+c, purpose of escape is guided before entering the room but conditions for escape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play; a+b(c), and finally figure out the condition, purpose of the game during the play;(a+b+c).

      • KCI등재

        Eye Tracker를 활용한 페이스북상에서 공감 정도가 사용자 시선에 미치는 영향

        김수완(Soowan Kim),신동희(Dong-Hee Shin)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orlds most favorite SNS, the Facebook, with the theory of Empathy, that there will be an effect to users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We approach the data scientifically with using an Eye tracker, by analyzing the vision and attention of users of Facebook with stimuli of whether its an image or text filled contents in newsfeed of Facebook. With the result of an eye tracker, we cross analyzed with General Empathy Scale to compare that users limit of feeling of empathy gave effect on contents of Facebook.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empathy.

      • KCI등재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오프라인 방탈출 게임 공간 디자인 연구

        김수완(Soowan Kim)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1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4

        This study investigates on design of projection mapping at Escape room game spatial design. Throughout based on technical solving and purpose of developing convergence performance using projection mapping studies, and story structure, interactive design, category sorting studies of escape room game, this study focus on basic structure of escape room game design, the space. The study offers three types of projection mapping design based on Escape room games running at Seoul, Korea. Which is cognitive movement induction type, which is let players recognize the next movement or ‘what to do’ through directed effect of image or videos from projector; puzzle solving information type, which let players gain information about solving method of presented puzzles shown; and story and space link up type, let players fulfill the message, story of the room shown at previous room and puzzles. This research explores about usability of projection mapping and recommends spatial classification for projection mapping design at escape room game and furthermore, space based activity games.

      • KCI등재

        퇴직연금 활성화 정책의 사회보장적 효과에 관한 연구: 수급자수 전망을 중심으로

        김수완 ( Soowan Kim ),박성민 ( Sungmin Park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5 사회보장연구 Vol.31 No.4

        이 연구는 최근 퇴직연금을 의무화하고 소규모사업장과 고용불안정층까지 확대하려는 최근의 활성화 정책이 퇴직연금의 노후보장성을 얼마나 강화할 것인가를 퇴직연금의 수급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국민연금장기추계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임금근로자에 대한 퇴직연금 의무화 조치만으로는 장기적으로도 퇴직연금 수급자가 충분히 확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임금근로자 비율이 높고, 임금근로자로의 지위가 오래 지속되지 않는 한국의 노동시장 구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퇴직연금 가입자가 자영자로 전환되어도 계속 가입하고, 퇴직연금 전환시 과거 퇴직금에 대한 소급적용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비로소 퇴직연금 수급자수가 의미있게 확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퇴직연금제도가 많은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을 때까지는 장기간의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국가가 더욱 적극적 역할을 담당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자영자에 대한 퇴직연금 가입을 유도하는 국가의 적극적인 정책을 모색하는 한편, 제한된 퇴직연금 수급자 전망을 토대로 공적연금 발전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security effect of the policies under discussion to activate the occupational pension in South Korea, focusing on long-term projection of the take-up rat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rong policy to make the introduction of occupational pension mandatory to wageworkers would not be enough to increase the pension recipients significantly even in the long term due to the high rate of non-wageworkers and frequent transition from wageworkers to non-wageworkers. The study showed that the take-up rate would increase enough if people continue to insure the Individual Retirement Account even after the labor market transition, and if existing retirement allowance record can be retroactively transferred to occupational pension in addition to the mandatory measure. It suggests that it takes long time to increase the recipients of the occupational pension and needs the more active role of the government.

      • Facebook users' eye-movement pattern and advertising attitude

        Taeyang Kim(김태영),Donghee Shin(신동희),Soowan Kim(김수완)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With the advent of smart media ecology,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has been drastically increasing. Indeed, social media has become a vital part of human’s everyday lives. On the social media, any users can create their own contents, share(spread) them and also conduct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IMC) activities such as advertising, public relations, personal selling, publicity, viral marketing(word-of-mouth, WOM) and sales promotion. This trend has offered a great opportunity to the companies and organizations that have realiz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the social media.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subjects’ eye movement pattern and surveys their attitudes to the exposed advertisements on the Facebook. Different from the F-shaped pattern of the typical Web pages, users’ eye movements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 sites, especially Facebook have shown a rough H-shape. Even though a large number of users have shown F-shaped form on the ordinary Web pages in order to skip the Web, subjects’ eye-movement pattern on the Facebook through this experiment has H -shaped pattern due to the unique User Interface (UI) of the Facebook. Because of the right side and vertical arrangement of ads on the Facebook, users skip the page with having large H-shaped pattern. In addition, this study set four AOIs that are each advertising section comprised on the Facebook Web page and measured fixation length within the AOI then surveyed subjects’ attitudes to exposed advertising. Through the experiment and survey, this study offers the best effective advertising position that can attract Facebook users’ attention. As the result of experiment and survey, the second ad has the subjects’ highest attitude to advertising and fourth ad is the next effectiveness and first and third ad followed with total four manipulated ads in the experiment. This study can offer the key implications to consider the way to give better user experiences and marketing strategies to users who are the consumers of companies and organizations which have a plan to put their advertising on the Face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