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대학 학자금 마련 저축 Plan의 도입을 위한 세제지원 방안

        김수성(Su-Sung Kim),최경진(Kyung-Jin Choi) 한국조세연구포럼 2016 조세연구 Vol.16 No.3

        최근 우리사회에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노후소득 마련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대학입시 위주의 높은 교육열로 인해 자녀 교육비 특히 대학등록금 마련에 대한 문제가 노후소득 마련에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 대학학자금마련을 위해 부모의 은퇴자산을 사용하거나 은퇴시기를 늦추는 등 부모의 은퇴준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현행 대학학자금 마련을 위한 주요 수단을 분석한 결과 국가에서 지원하는 장학금 혜택은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학자금 대출의 경우 장래 상환의무 불 이행시 가계의 큰 경제적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이를 개선하는 차원에서 본 연구는 미국의 529 Plan의 사례를 참조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대학학자금 마련을 위한 저축 Plan의 도입 및 세제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학자금 마련을 위한 저축은 장기투자를 통한 목적자금으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불입 단계에서 학자금 수령단계에 이르기까지 퇴직연금제도와 유사한 제도설계 및 세제혜택 적용을 주장하였다. 또한, 학자금으로 미 사용될 경우 가입자 노후소득으로의 우선 전환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학자금 마련 적립금의 연금소득 전환 시 현행 연금소득세제 적용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직면한 우리나라에서 대학학자금 마련 저축 Plan의 도입을 위하여 미국의 529 Plan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도입하고자 하였으며, 도입과정에서 적극적인 세제지원을 부여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Recently by the rapid aging in our society is growing importance of buying a retirement income. But the nation is a college entrance exam due to high education of children"s education costs, especially university tuition fees problem a great hindrance to prepare your retirement income. A result of a review of the leading research university student parents, including the slow retirement age or using the retirement age from her parents to raise the retirement of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the preparation Going. Also, the current college education major tool for national scholarships was very limited and supported by the result which analyzes future in the case of student loans Big economic burden of household, implementation, fire duty of redemption. The research by referring to examples of cases of the United States this on to improve the level our own the introduction of Savings Plan and tax assistance plan for the college education was trying to presenting. Specifically, save for college loans is be used for funding through long-term investment objectives and payment receipt of financial aid at the stage ranging Pension plan similar to private insurance system, including system design and tax benefit claimed. Also, when the student first transition to the subscriber"s parents retirement income will be used to the U.S. proposal. To this end, the student of reserves served in pension income claimed the transition existing pension income tax system.

      • KCI등재

        연금 소득공제의 세액공제 전환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김수성(Su-Sung Kim),차명기(Myung-Ki Cha) 한국조세연구포럼 2016 조세연구 Vol.16 No.4

        고령화시대에 노후생활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금을 준비하여야 한다. 또한, 고령화 사회에서는 각각의 연금제도를 가입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인 배려와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현재 연금소득 과세체계상 가장 시급한 것은 각 연금제도의 공제방식을 통일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2013년과 2014년 세법개정으로 인하여 연금소득에 대한 과세체계가 대폭 변경되었는 바, 소득공제방식에서 세액공제방식으로의 전환은 납세자로 하여금 많은 혼란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인연금 등 불입액에 대한 소득공제 방식에서 세액공제 방식으로 전환에 따른 영향과 연금보험료의 후순위 공제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2013년과 2014년의 세법개정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보고 연금세제의 개선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개인연금 등 불입액에 대해 과거 방식과 같이 소득공제로 회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금소득 과세체계상 정합성이 있는 과세체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EET방식(연금보험료 납부 시 소득공제(Exempt), 운용 시 비과세(Exempt), 연금수령 시 과세(Tax))의 과세체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급부시와 수령시 세제적용 여부의 구분이 불확실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행 연금보험료 후순위공제를 폐지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적․퇴직․개인연금의 공제방식에 대하여 통일된 과세체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사회에 있어서 소득공제방식이 세액공제방식으로 전환됨에 따라 과세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연금소득과세의 정합성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납세자와 과세관청의 과도한 납세협력비용의 발생과 이중과세의 방지를 위하여 조속한 법적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For elderly economy security, especially in aging society, we should prepare various pension. In addition to, political consideration should be required about registering and maintaining the pension. For this, it is timely critical that tax system should be applied consistently to deduction method of each pension. According to 2013 and 2014 tax law revisions on pension, there was a change on pension payment, which was from deduction from income to tax credit. It has caused great confusion. Therefore, we study on remedy and problem; 1)the influence on change of tax system on pension payment from deduction from income to tax credit, 2)subordinated deduction from income. Following research, we suggest the remedies. First, tax system need to be come back to as like tax credit. For compatibility of tax regulation on pension, EET(exempt when payment, exempt when operation, and levy when receiving the pension) should be maintained. Second, subordinated deduction from income should be annulled in order to solve the uncertain problems. Third, there should be unified tax system about deduction from income in national, retirement and individual pensions. We research the problem about tax system on pension which changed from deduction from income to tax credit and suggest the implication that it is important to be consistent to tax system on pension. For reducing the tax compliance cost and preventing double taxation, tax authority should consider our research results.

      • KCI등재

        < 연구논문 > : 기금의 국가회계 통합 결산재무제표 작성에 관한 연구: 결산시 오류 발생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김수성 ( Su Sung Kim ),최원석(교신저자) ( Wonseok Choi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2

        본 연구는 국가회계법 시행에 따른 기금의 국가통합 재무제표의 결산에 관한 전반적인 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금의 결산과 국가회계의 결산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기금 결산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국가회계 결산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는 여러 선행연구에서 연구되어 왔던 국가회계 결산과정의 주요 내용에 대한 언급은 물론 국가회계의 결산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1년부터 적용된 국가회계 적용 기금에 대한 결산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오류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로서 국가회계 결산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통합 재무제표의 내용과 결산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국가회계실체의 하나로서 연금기금을 예로 들어 결산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 등을 참조하여 연금기금의 결산 전반에 관한 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가회계와 기금회계의 결산절차의 이해와 국가회계 결산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셋째, 전반적인 국가회계 결산에 관한 이해를 통해 기금의 국가통합재무제표 작성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국가회계 결산시 나타나는 오류사례의 분석과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대안은 국가회계법 시행에 따른 결산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여 국가회계기준에 부합한 재무제표를 생성하고 이러한 기금의 재무자료가 국가통합재무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Government accounting is composed of many accounting entities having general accounts, special accounts and funds in comparison with private sector`s accounting principles. As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accrual basis and double entry book-keeping system,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s should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accrual basis since 2011 accounting period. According to 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financial statements(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statement of operation, statement of changes in net position, notes, required supplementary information etc.) should be prepared similar to financial statements prepared by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The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 accounting is to make one financial statement integrating central government office`s general accounts, special accounts and funds, and so it is a very difficult and bulky work. According to "National Accounting Act" all general accounts, special accounts and fund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s. This study presents an overall process of government accounting focusing on pension and fund the most recently issued in government accounting. Reviewing preceding researches, various researches a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ut there is little researches related to government accounting. In short, this stud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actice of government accounting. Government accounting is to make a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 integrating central government office`s closing originated from fund closing, fund closing carries an important meaning. This study gives one example of public pension and fund as subpart of government accounting and examines problems and issues concretely in the whole fund closing process and transition process to government accounting by digital budget & accounting system. This study examines government-wide closing process focusing on pension and fund closing by new national accounting system, and so this study gives policy implications on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government-wide closing financial statements of fund accounting addressing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n pension and fund closing process. This study gives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accounting treatment of government accounting by a S pension and fund case performing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and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s aim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 accounting through examining wholly the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s, the comparison with national budget and actual performance and the mapping corporate accounting title to government accounting title.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and examines government accounting in a whole way through comparing with corporate accounting. This study examines the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s by a S pension and fund case and gives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government accounting and is a cornerstone of government accounting research. This study addresses various problems on closing fund accounting and presents the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minimization of errors on closing government accounting through comparing fund closing and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in order to examine the whole process of making government-wide closing financial statements of fund accounting. This study presents not only main contents on the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 accounting but also the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minimization of errors on closing government accounting.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hrough examining the closing process of fund accounting.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esents the contents and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s.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s the whole process of fund accounting closing through referring to closing financial statements and explanatory notes etc. and citing fund and pension as government accounting entity. Second, this study presents the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 accounting and fund accounting and various problems on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Third, this study presents the improvement directions on making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s of fund account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overall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Also this study presents the analyses of error cases on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minimization of errors on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 KCI등재
      • KCI등재

        특수직역연금 가입자의 개인형퇴직연금(IRP) 도입을 위한 세제지원 방안

        김수성(Su-Sung Kim),이세우(Se-Woo Lee) 한국조세연구포럼 2017 조세연구 Vol.17 No.2

        급속한 고령화의 진전으로 기성세대의 노후대책을 위한 다양한 대책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는 100세 시대를 맞아 은퇴 후 30년간 삶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노후설계가 미흡한 기성세대들의 은퇴 후 소득보장이 은퇴자들의 최대 관심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조기퇴직으로 인한 40-50대의 퇴직 후 소득이 빈약한 현실 속에서 퇴직 후 소득보장방안에 대한 대책을 정부는 물론 개인적 차원의 노후소득보장 방안을 적극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의 일환으로 공적 연금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 가입하는 사적 연금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노후 소득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특수직역연금제도에서 퇴직시점에 수령하고 있는 퇴직수당 등 일시금 형태의 급여를 활용하여 개인형퇴직연금(IRP :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에 가입을 할 수 있도록 세제지원을 하고 이를 노후소득보장에 활용하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퇴직수당제도는 일시금으로 수령하는 급여로 연금제도 본래의 목적인 은퇴 후 연금을 통한 지속적인 노후 소득보장과 다소 괴리가 있으므로 일시금을 지급받는 퇴직수당을 연금형태로 전환 할 수 있도록 하여 퇴직자들의 퇴직 후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특수직역연금 가입자에게 세제지원을 통해 IRP에 적극적으로 가입하도록 유인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IRP제도시행에 있어 특수직역연금 가입자가 IRP에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일시금으로 지급받는 퇴직수당제도를 연금으로 전환하여 특수직역연금가입자들이 안정적인 노후설계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특수직역연금 가입자들도 공적 연금, 개인연금, IRP에 가입함으로써 3층 연금체계를 구축하여 은퇴 후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고 사회안전망 확충의 기반을 제공하고 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시금 형태의 퇴직수당을 연금으로의 전환을 통해 3층 연금체계의 활성화를 모색하고 합산, 소급제도를 통한 특수직역연금의 가입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특수직역연금의 개인형퇴직연금(IRP)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정부의 정책입안, 입법과정상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연금공단, 과세당국, 퇴직연금사업자 및 금융기관의 업무에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light of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various post-retirement measures for the older generation have emerged. Such phenomenon, in the face of the nation turning “super-aged” and being increasingly concerned over its citizens’ prolonged lives after retirement, seeks to address the fact that, in general, the older generation lacks sufficient retirement savings. Recently, as early retirement followed by meager income becomes more common, it is crucial for the government as well as individuals to actively establish measures for securing guaranteed income. Thus, it seems important for individuals to be able to join pensions both public and priv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feasibility of providing taxation support for Special Occupational Retirement Pension holders’ joining the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IRP) with their retirement benefits and other forms of one-time, retirement-related payments. Such consideration stemmed from an understanding that these payments do not serve their original purpose of guaranteeing economic security upon retiring and that converting such retirement benefits into a pension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fter retiring. For this to be possible, it seems necessary to incentivize Special Occupational Retirement Pension holders with taxation support to join the IRP. Second, Special Occupational Retirement Pension holders should be required to join the IRP and convert their severance pay into a pension so as to better plan their lives after retirement.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s sought to suggest the basis for the expansion of the social safety net as well as stable retirement by allowing Special Occupational Retirement Pension holders to construct a three-part pension plan comprised of public pension, private pension, and IR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recommending the invigoration of the IRP for the Special Occupational Retirement Pension holders as a means to popularize the abovementioned three-part pension plan made possible by the conversion of one-time, retirement-related payments into a pension. Aside from providing the government with the basic data required in the policy-making and legislative process, the study hopes to be of use to the pension authority, the taxation authorities, private pension operators, and financial institutions.

      • 공적연금 연계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행 법제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김수성 ( Kim Su Sung ),정인영 ( Jung In Young ) 한국연금학회 2019 연금연구 Vol.9 No.2

        우리나라의 공적연금 연계제도는 제도가 발족한지 12년이 경과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낮은 연계신 청률 등으로 인하여 그 실효성이 매우 낮은 상황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공적연금 연계제도 내에 존재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행 연계제도의 수급권을 확보하는 최소 연한은 20년으로 되어 있으며, 신청에 의하여 적용되고 있으며, 특수직역 연금의 지급개시연령에 대한 경과규정으로 인하여 활성화가 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향후 최소 법적용 연한을 국민연금과 특수직역연금에서 각각 인정하고 있는 10년으로 단축할 필요가 있으며, 연계제도 적용방식을 임의선택 방식에서 당연적용 방식으로 전환하고, 지급개시연령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첫째, 조속한 최소가입 기간의 일원화를 통해 공적연금 연계제도가 기존 국민연금과 특수직역연금에 통일된 구조로 운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공적연금 연계제도의 조기 정착과 제도적 활성화를 꾀하기 위해서는 제도 적용상에 있어서 강제적용을 고려해보야 한다. 셋째, 연계제도의 실효성을 위해 현행 특수직역연금과 국민연금의 지급개시연령을 통일하여 지급할 것이 아니라 각 공적연금제도에서 지급하는 개시연령을 이원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법제적인 미비점과 제도 적용상의 문제점 및 법 적용상 경과규정 적용에 따른 불합리한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공적연금 연계제도의 최소연한을 10년으로 단축하는 법 개정안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적연금 연계제도의 강제가입을 위한 법안 개정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지급개시연령에 대한 이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연계연금의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법안을 마련하고 연금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며 전 국민의 노후소득 보장에 실제적으로 기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Although 12 years has passed since the public pension linkage system was launched,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is still very low due to the low application rate. In this regard, in order to activate the public pension linkage system, problems existing within the current linkage system should be identified and improved. Currently, the minimum period for the right to the linkage system is 20 years, and the linking system is applied by application. In the future, the minimum legal age needs to be shortened to 10 years, which is recognized by each national pension and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and the best solution is to devise various measures to revitalize the linkage system, such as changing the application method from the current voluntary choice method to the compulsory application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ublic pension linkage system, and to suggest measure to improve the system. To this end, the study proposed the need for a revision of a bill to impose a public pension linkage system, by reducing the minimum age of the public pension linkage system to 10 years, changing application method to the compulsory one and separating pensionable ages of special occupation pension from national pens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퇴직소득 세제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성(Kim, Su Sung),성종훈(Sung, Jong Hoon) 한국조세연구포럼 2014 조세연구 Vol.14 No.2

        과거 퇴직연금제도에 있어서 연금의 선택보다는 일시금의 선택이 많았던 바, 이는 연금세제의 세부담이 퇴직소득세제의 세부담보다 더욱 컸기 때문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노후소득에서 차지하는 연금의 중요성이 커져 퇴직시 일시금의 선택보다는 연금의 선택을 유도하고자 연금세제를 지원하고 있다. 그리하여 퇴직소득 과세측면에서는 볼때 기존에 부담했던 세부담보다 더욱 커지게 되었지만, 이에 반하여 연금소득과세의 세제는 2012년과 2013년의 양년도에 걸쳐 소득세법 개정에 따라 퇴직소득세의 세부담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게 되었다. 이러한 세법개정은 고령화사회에 있어서 연금의 선택을 유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법개정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평가되며, 연금제도에서 수령하는 일시금에 대하여 세부담을 증가하여 가급적이면 퇴직소득으로 과세되는 일시금 보다는 연금소득으로 과세되는 연금수령을 유도하고자 하는 고령화 사회의 정책기조에 부합한 정책이라고 평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연금소득의 세제지원은 상대적으로 퇴직소득의 세부담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잦은 법개정과 합리적이지 못한 법개정이 있게 되었다.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노후의 생활을 위한 소득보장은 과거에 비해 더욱 중요해져가고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3년 사이에 개정된 퇴직소득세액공제 폐지, 퇴직소득 정률공제 축소, 임원 퇴직소득 계산 특례 및 퇴직소득세제의 5배수에 관한 법개정 등 퇴직소득세제에 관한 개정세법의 효과를 살펴보았다는 점과 5배수의 퇴직세제 방식에 있어서 단기근로자에 대한 역차별의 문제점이 있음을 검토함으로서 최소 5년 미만의 단기 근속자에 대하여는 5배수에 관한 적용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퇴직소득세의 개정 시행으로 발생하였던 다양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고자 퇴직소득세제의 장기적인 발전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자 한다. 우선, 현행의 과세표준의 5배수에 대한 문제와 5년 미만의 단기근속자에 대한 역차별 과세의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단기근속자와 장기근속자에게 각각 다른 과세표준의 환산배수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매년 퇴직소득세제가 개정되는 상황하에서 개정시 일괄적으로 개정된 내용을 적용하는 바, 기 경과된 분에 대하여는 경과규정을 두어 그대로 인정하고 개정 이후에 대하여만 별도로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퇴직일시금에 대한 퇴직소득 과세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정책대안은 과세당국 등 관련 부처에 정책적인 대안 수립과 입법 과정상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점에서 비추어 볼 때 본 연구는 실제적인 법개정의 기초를 마련하고 퇴직소득세의 개선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Korean Retirement Income Taxation and to suggest long-term and short-term tax revision plans suitable for the trend of aging society. The present Korean Retirement Income Taxation isn"t properly prepared for aging socie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tirement Income taxation and tried to suggest posing the Retirement Income. When setting the taxation of the Retirement Income, this study tried to correct currently can"t join retirement pension system because there is no severance pay in the special occupational system. Therefore We sought the way for conversion lump sum to prevent from spending lump sum benefit as money for living instead of retirement income. This research arrange the foundation that lump sum benefit such as retirement allowance can transfer to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IRP) account. Our purpose is in the following First, We need to affiliate Retirement Income taxation with IRP through compulsory means. Second, We need taxation support to make occupational pension participants participate in IRP actively. We expect this paper to contribute for the construction of sound three pillar retirement system of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member and activation of IRP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