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성형 AI를 활용한 SDGs 기반 교과 융합 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대한 협력적 실행연구

        김송희,김현정,신유리,장윤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7 No.3

        생성형 AI로 대표되는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기후⋅생태환경 변화 등으로 인한 사회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범국가적 노력이 다방면으로 전개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AI 융합 교육의 확대 등 관련된 교육정책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합의된 용어와 명확한 개념 정의가 부재한 실정이며, 인공지능 교육의 체계적인 실행과 내실화를 위한 충분한 사례 축적 및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협력적 실행연구 절차에 따라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사들과 연구자가 협력하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관한 교과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한 연구이다. 한국사, 통합사회, 국어, 정보 교과 수업을 통해 공동 연구자들은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며 SDGs 담론을 일상 실천으로 연결하는 경험을 도모하였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생성형 AI를 수업의 도구로 활용하였고 실행에 기반을 둔 개선안을 전문가 검토를 거쳐 제안하였다. 교육의 직접적인 실행자이자 주체는 교사인 바, 본 연구는 현장 교사들과 대학의 연구자의 실천과 협력에 기반을 두어 수행되었으며, 생성형 AI를 활용한 SDGs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Uncertainty in society is increasing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represented by Generative AI and changes in the climate and ecological environment, and national efforts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to respond to this. In the field of education, changes in related education policies are being made, such a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expansion of AI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until now, there has been no agreed terminology and clear concept defini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sufficient case accumulation and system preparation are necessary for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and interna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is study is a study that designed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cooperation between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nd researcher according to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procedure. Through classes in Korean history, social studies, Korean, and informatics, joint researchers conducted various activities around one topic and attempted to connect the SDGs discourse into daily practice. In addition, in this process, Generative AI was used as a teaching tool, and an improvement plan based on implementation was proposed after expert review. Since teachers are the direct implementers and subjects of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actice and cooperation of field teachers and university researchers,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n SDG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using Generative AI.

      • 수중에서 비파괴 topography 관측

        김송희,유현준,양종일,송두희,이기진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4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We observed topography under water using a tuning fork system which can be controled a tip-sample distance to apply the near-field scanning microwave microscope (NSMM) for a bio-sample. We obtained topographical images of a water drop and a metallic sample under water in order to inquire an efficiency of tuning fork system.

      • KCI등재

        한-중 대학생의 여가동아리 활동 참여에 따른 삶의 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김송희 여가문화학회 2011 여가학연구 Vol.8 No.3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leisure club activities affect students'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career self-efficacy and in turns their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career self-efficacy affects satisfaction with life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d to identify any significant the factors drawn from the analysis .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K City in Korea and J City in Korea, and the subjects of 212 Korean students' surveys and 196 Chinese surveys were chosen. In terms of statistical method for the analysis of data, I used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i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 Correlation Analysis, 2, NFI, NNFI, AGFI, GFI, Structure Equation Modeling by SPSS version 17.0 and AMOS(Analysis Moment of Structure) 16.0 program.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 self-esteem, career self-efficacy, with increased satisfaction with leisure club activities as well as higher life satisfactions with increase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ir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effect only in Korean college students. It was also revealed career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ly in Chinese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본 연구는 여가동아리활동에 참여하는 한국 K시, 중국 J시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여가동아리만족이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구조방정식(SEM)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을 통해서 구인된 요인들 간에 유의미한 차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 대학생 212부, 중국 대학생 196부를 연구대상으로 추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Ver. 17.0과 AMOS(Analysis Moment of Structure) 16.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으로는 심리적 구인들을 제대로 측정 하였는가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요인 분석(Confirmatiry 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e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였으며, 2, NFI, NNFI, AGFI, GFI를 사용하였다. 한국과 중국 대학생은 여가동아리만족이 높으면 대학생활만족, 자아존중감,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아졌다. 진로자기효능감은 중국 대학생 집단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은 한국 대학생 집단에서만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혼전임신의 이혼에 대한 영향 고찰

        김송희,김진영 한국응용경제학회 2016 응용경제 Vol.18 No.1

        결혼 시장에서의 배우자 탐색은 그 비용과 결혼 후 얻게 되는 편익을 비교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탐색이 종료되기 전 혼전임신을 하게 되면 탐색비용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어 결혼 결정, 더 나아가 차후 이혼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배우자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임신을 한 여성이 서둘러 결혼을 하였을 경우, 이혼의 가능성이 커짐을 동태모형에서 이론과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혼전임신 때문에 출산 전 결혼한 경우(혼전임신-결혼)와 출산 후에 결혼한 경우(혼전임신-출산)는 결혼 후에 임신한 경우보다 이혼 확률을 증가시켰고, 혼전임신-출산이 혼전임신-결혼보다 이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한국의 이혼율 증가 원인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혼전임신의 영향을 살펴 보아야함을 지적하고 있다. Search in the marriage market is dictated by its cost and the expected marriage benefit with a potential partner. Women who become pregnant during a search may experience an increase in search cost due to reduced desirability and marry in haste, which can affect the prospect of divorce later on. We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premarital conception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divorce in a dynamic framework. We find that premarital conceptions in general increase the probability of divorc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rising divorce rate in Korea can be attributed to the prevalence of premarital conceptions.

      • KCI등재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중독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의 조절효과 검증

        김송희,황선환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game addiction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exposed to the online game environment. A total of 378 respondents who are high school students in K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e current study. The process macro program developed by Andrew F. Hayes was used to analyze for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for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online game addiction in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self-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self-control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game addiction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The higher the online gam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the higher the depression, and the influence depends on the level of self-control.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게임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청소년들의 온라인 게임중독과 우울증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K광역시 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총 378 부를 분석에 사용 하였다. 자료 처리를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Andrew F. Hayes가 개발한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중독은 우울증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 통제는 우울증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통제는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중독과 우울증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중독이 높을수록 우울증도 높아지는데 자기통제 수준에 따라 그 영향력은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댄스 수준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진지한 여가의 조절 효과

        김송희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dance level of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dance as leisure activities affected their resilience, and to figure out how serious leisure had a moderating effect. Methods In this study, high school students in K metropolitan city were set as the population, and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dancing as a leisure life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Of the 230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2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analyses, excluding 30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or missing answers. Frequency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rocess Macro 3.4ver. Model 1 were used. Results Dance level of adolescents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and the interaction consisting of dance level and serious leis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conclusions It can be seen that serious leisure is a very important variable in resilienc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여가활동 중에 댄스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댄스 수준이 회복 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알아보고, 진지한 여가는 어떻게 조절 효과가 있는지 파악함으로써 청소년 시기의 여가활동의 중요성과 여가 문화와 여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본 연구이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K 광역시 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목적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를 이용하여 여가생활로 댄스에 참여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총 2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 230부 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답변이 누락된 설문지 30부를 제외한 200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pss 25.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 Process Macro 3.4 ver. Model 1을 이용하였다. 결과 청소년의 댄스 수준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지한 여가는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댄스 수준과 진지한 여가의 곱으로 이루어진 상호작용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진지한 여가가 회복탄력성에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