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이튜버(Vtuber) 개인방송의 기술적 특성과 가상 크리에이터 특성이 즐거움, 시청만족도 및 유료후원의도에 미치는 영향: S-O-R 모델을 기반으로

        김성군,양성병,윤상혁,Jin, Chengjun,Yang, Sung-Byung,Yoon, Sang-Hyeak 한국IT서비스학회 2022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21 No.5

        Personal broadcasting utilizing Vtuber, a virtual creator made of 2D or 3D avatars, has recently appeared and is growing in popularity. Vtuber is a virtual person who broadcasts on the Internet using 2D or 3D avatars with real-time motion capture and computer graphics technologies. While the personal broadcasting industry utilizing Vtuber is proliferating, related studies have mainly concentrated on technical issu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ntecedent factors that form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virtual creator characteristics of Vtuber personal broadcasting are derived using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model. Then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viewer pleasure and satisfaction, which lead to increased paid sponsorship is to be examined. Furthermore, we investigate how this influencing mechanism fluctuates based on the avatar type (2D vs. 3D). This study contributes to empirical examinations of viewers' paid sponsorship intention in Vtuber personal broadcasting through the S-O-R model. It also offers insights that technological or virtual creator characteristics could improve viewers' pleasure, satisfaction, and even paid sponsorship.

      • KCI등재후보

        제조업 분야 근로자의 진폐증 사후관리 실태

        김성군,노재훈,안연순 大韓産業醫學會 1994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6 No.2

        Most of the pneumoconiosis, which is common occupational diseases, is found here in Korea can be categorized to coal miner's pneumoconiosis. However, recently pneumoconiosis has been found in the workers of manufacturing factorie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is important not only detection of occupational disease but also post-examination health care of occupational disease patient. Accordingly, to study post-examination health care status of workers with pneumoconiosis diagnosed from 1991 to 1993 in th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all 43 pneumoconiosis patients in 22 manufacturing factories in Incheon were reviewed. Chest radiologic findings of 43 workers were suspected pneumoconiosis (20 workers, 46.5%), pneumoconiosis stage Ⅰ(20 workers, 46.5%) and pneumoconiosis stage Ⅱ (3 workers, 7.0%). Among the respondents, 40 workers (93.0%) answered that they received their health examination results and 25 workers (55.8%) had reguest for compensation of occupational disease. only 14 workers (32.6%) had changed their workplace while 21 workers(48.8%) did not. Reasons for not taking the post-examination health care enough were worker's ignorance of adminstrative process for compensation (28 workers, 65.1%), mild status of disease (6 workers, 14.0%) and financial problem (3 workers, 7.0%). Post-examination health care of the workers diagnosed as pneumoconiosi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esence of health care manager in workplace and the employer concerns for occupational disease of workers. Th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is related with the presence of labor union in workpla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esence of health care manager in the workplace and concerns for workers health by employer were important in performing appropriate post-examination health care for workers with pneumoconiosis in manufacturing factories.

      • 기업의 CSR TV 광고 표현에 관한 연구

        김성군(Jin, Shengjun),장청건(Jang, Chungg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3 No.-

        경제 성장이 정체된 지금에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에 지출된 총 기업비용은 3조원을 넘어섰다. 이에 따른 대중매체의 홍보는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CSR 광고 중 4매체인 TV 광고의 현황을 살펴보고, TV광고의 표현유형에 따라 CSR TV 광고는 어떻게 표현되고 그의 유의점을 분석하는데 있다. 년도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총 5년간 실행한 CSR TV 광고를 분석하고 CSR TV광고 수집은 한국 광고정보 사이트인 TVCF (www.tvcf.co.kr)에서 총 108편의 광고를 입수하였다. 분석 범위는 국내 6개 기업그룹의 계열사들을 포함한 CSR광고를 통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업그룹별 광고의 유형과, 표현내용, 주제별 현황, 연도별 현황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CSR활동 주제에서는 사회 주제가 많았으며 연도별 현황은 연도에 다라 분포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연도별 사회적 책임활동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광고 표현내용에서는 광고소구의 감성소구, 제시방법의 카피중심, 자막 소구의 직접소고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CSR광고의 표현내용에만 제한하여 분석하였으며 최근 5년간 CSR광고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Economic growth has been stagnant even now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s exceeded 3 trillion. Accordingly promotion of the media is doing important role.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TV commercials in four media advertising of CSR, according to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on type of TV commercials, how to express representation and analysis of considerations. by the Korea CSR TV advertising that ran total five years from 2009 to 2013 and information collected on the site of TVCF (www.tvcf.co.kr) were obtained for a total of 108 commercials. Analysis range is integrating the CSR advertising, including 6 subsidiaries of domestic advertising company group, expressed content, thematic status, annual status were analyzed mainly. The results of CSR activities topic are social themes common into the annual distribution was observed varies depending on the year of the annual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rom the express of advertising appeals, copy based of the proposed method, a direct appeal was significantly consideration of subtitles. This study was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CSR advertising limited representation.

      • KCI등재

        유튜브 공유회수 높은 바이럴 영상광고의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김성군 ( Jin Sheng Jun ),장청건 ( Jang Chung G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변화하고 있는 미디어 환경과 소비자행동에 따라 마케팅 방법도 변화하고 있다. 특히 마케팅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광고도 같이 변화하고 있으며 미디어 환경에 맞는 바이럴 영상광고도 흥행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유회수 높은 바이럴 영상광고의 메시지 전략과 광고 소구를 연구하여 지속적으로 공유되고 전파될 수 있는 효율적인 표현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럴 영상광고의 표현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골란과 자이드너 (Golan & Zaidner, 2008)의 바이럴 광고 표현전략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된 테일러(Taylor)의 6분할 메시지 전략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광고 소구에 대한 척도는 포터와 골란(Porter & Golan, 2006)가 바이럴 광고와 TV광고 비교 연구에서 사용했던 유머 소구, 성적 소구, 공포 소구와 이성 소구, 감성 소구 등을 광고 소구를 분석 유목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소구 유형은 유머스러운 영상과 감성을 자극하는 영상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메시지 전략에서는 자아 영역과 긴급 필요 영역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아 가치관에 맞는 영상과 오감을 자극하여 만족할 수 있는 영상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유 회수 높은 유튜브 바이럴 영상 광고에 주로 사용되는 광고 소구 유형과 메시지 전략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동시에 바이럴 영상광고 제작할 경우 광고의 효율적인 표현전략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Depending on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consumer behavior it has also changed marketing methods. In particular, the ads change as directly affected by changes in marketing were also beginning to show viral video ads for your media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effective expression strategy that can be continuously shared and propagated by studying the message strategy and advertising appeal of viral image advertisement with high number of shares. In this study, Taylor 's six - segment message strategy used in the study of viral advertisement expression strategy of Golan & Zaidner (2008) was analyzed to analyze the presentation strategy of viral image advertisement. As a measure of advertising appeal, Porter & Golan (2006) used humor appeal, sexual appeal, fear appeal, reason appeal, and emotional appeal, which were used in the comparative study of viral advertisement and TV advertisement. The appeal type showed a significant level of humorous images and emotional stimulation images, and the message strategy showed a significant level of self - esteem and urgent need domains. The images that fit the self - esteem and the images that can be satisfied by stimulating the five senses were significant. This study when producing viral video ads simultaneously look at what is primarily advertising appeal type and message strategies that are used to share a high number Youtube Viral Video Ads expects to offer an effective representation of the advertising strategy.

      • KCI등재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특성 연구

        최병성,김성군,장청건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4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5 No.78

        도시화 과정에서 많은 산업시설이 산업구조의 격변을 거치며 방치되거나 폐기되어 자원 낭비와 환경 파괴를 초래했다. 이와 동시에 경험경제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소비자의 소비관념과 생활방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그들의 공간에 대한 수요는 더이상 기본적인 기능에 만족하지 않고 공간의 품질과 경험을 더욱 중시하게 되었고, 문화예술을 주제로 전시, 판매, 공연, 경험 등의 기능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이 많이 생겨나기 시작하였으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따라서 현재 도시 혁신과 산업전환의 공통된 주제는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하여 창의성과 특색을 가진 공간으로 개조하고, 소비자의 다원화된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진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고, 복합문화공간의 공간경험 향상을 위한 유용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의 재생가치와 특징, 복합문화공간과 경험 디자인의 개념 및 특성을 수집·분석하기 위해 문헌 조사, 사례분석, 전문가 인터뷰 등의 방법을 활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경험 디자인의 6가지 핵심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핵심 특성을 통해 국내의 유휴산업시설에서 재생되는 복합문화공간의 고전적 사례에 대한 경험 디자인을 조사하고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와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해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경험 디자인의 6가지 주요 특성은 역사 보존성, 기능 복합성, 개방성, 연상성, 감각성, 상호작용성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유휴산업시설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한 6가지 사례를 분석하고, 각 사례의 경험 디자인을 6가지 특성으로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F1963의 종합점수가 가장 높았고, 성수동 성수연방의 종합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사례별로 장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는 주로 역사문화요소와 상호작용 디자인 수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의 차별화된 다양한 경험 디자인 요소의 활용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many industrial facilities are idle or abandoned due to the adjustment of industrial structure, resulting in resource waste and environmental damage. At the same time, with the advent of the experience economy, consumers consumption concepts and lifestyles have changed. Their demand for space is no longer just to meet basic functions, but also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quality and experience of space, under the theme of culture and art, many complex cultural spaces with functions such as exhibitions, sales, performances, and experiences have begun to be created, and the trend is increasing. Therefore, the common theme of current urban innovation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is how to utiliz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ransform them into creative and distinctive spaces, while meeting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and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In this study,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an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Based on this, six key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desig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were derived. Through these six key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and evaluated the experience design of a classic case of a complex cultural space regenerated in a domestic idl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prior researc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it was concluded that the six main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for complex cultural spaces utilizing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re historical preservation, functional complexity, openness, association, sensory, and interactivity. Six cases of convert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were analyzed, and the spatial experience design of each case was evaluated in terms of six majo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each case ha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th F1963 having the highest overall score and Seongsu-dong Seongsuryeonbo having the lowest. This article also mad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experience design of complex cultural spaces, mainly by adding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and interactive design means. Based on this study, future research will specifically suggest the utilization of various differentiated experience design elements of complex cultural spaces.

      • KCI등재

        친환경 황토 가공 신소재 적용 재배법에 의한 무의 품질 특성

        서유진(Yoojin Seo),윤성진(Sungjin Yoon),김성군(SungGun Kim),조원우(Wonwoo Cho),이소라(Sora Lee),강호덕(Ho-duck Kang),윤문영(Moon-Young Yoon),박정극(Jung-Keug Park),유병승(Byoungseung Yoo),장윤혁(Yoonhyuk Chang),이영승(Youngse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9

        본 연구는 무의 재배 시 가공황토 처리 여부에 따른 무 시료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고자 무 시료를 동일한 조건으로 재배하여 일반성분, 물성, 영양소, 기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회분과 조지방 함량에서 실험구1, 2가 대조구 대비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분석된 모든 무기성분 및 비타민 함량에서 실험구1, 2가 대조구 대비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험구1, 2에서 비타민 C의 함량이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남과 동시에 항산화 활성 또한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견고성 측정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황토처리 된 실험구1, 2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견고성 감소율이 낮아 저장기간 동안 조직감의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 재배 시 친환경 가공황토소재를 화학비료 대신 적용하여 재배할 경우 무의 저장성이 강화된 고품질의 무 생산이 가능해지고 기능성이 부가된 다양한 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제품이 가능해져 국내 무 시장의 활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dish treated with red clay-processed materials (RCPM) were investigated. Two different types of treatments using RCPM including a control were farm-raised in identical environments. General components, texture, nutri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performed. For general components analysis, total amounts of crude fat and ash were higher in radish treated with RCPM than in control. RCPM-treated radish showed higher contents of minerals (P, Mg, K, Zn, Mn, and Na) and vitamins (vitamin C, thiamin, and riboflavin) than those of control. RCPM-treated radish exhibit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than those of control, indicating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of radish raised by RCPM. In the textural analysis following refrigeration for 4 weeks, RCPM-treated samples showed a more stable texture and higher hardness values than those of control.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CPM can be used to produce high-value radish of premium quality.

      • KCI등재

        친환경 가공 황토 소재가 배추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서유진(Yoojin Seo),양인용(Inyong Yang),윤성진(Sungjin Yoon),김성군(SungGun Kim),서수영(Sooyoung Seo),원주인(Chu In Won),조원우(Wonwoo Cho),이소라(Sora Lee),강호덕(Ho-duck Kang),윤문영(Moon-Young Yoon),박정극(Jung-Keug Park),유병승(Byo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5

        본 연구는 배추 재배 시 가공 황토 처리 여부에 따른 배추시료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고자 배추 시료를 동일한 조건으로 재배하여 일반성분, 물성, 영양소, 기능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양성분의 경우 가공황토 처리구에서 칼륨의 함량이 무처리구와 생황토 처리구 보다 높게 나타남과 동시에 나트륨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적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견고성 측정 결과 4주 저장 시 가공 황토 처리 배추의 견고성이 유의적으로 다른 두 처리군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저장기간 동안 견고성 감소율이 낮아 가공 황토 처리구의 경우 생황토 처리구에 비하여 장기간 안정적인 조직감의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추 재배 시 친환경 가공 황토 소재를 화학비료 대신 적용하여 재배할 경우 배추의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품질의 배추 생산이 가능해지며 저장성이 향상된 배추의 생산 또한 가능해져 국내 배추 시장의 활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후속 연구로 가공 황토 소재로 재배한 배추김치 제품의 품질 평가를 수행하여 가공 후에도 가공 황토 소재의 기능성 유지 여부를 검증할 계획이다.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cabbage treated with red clay-processed materials (RCPM) were evaluated. Two different types of RCPM treatments including a control were applied for the cultivation of cabbage. General components, nutrients, antioxidant activities, textures, and sensory evaluation were assessed. For the nutrition components analysis, RCPM-treated cabbage showed higher contents of potassium and riboflavin along with lower content of sodium compared to the control. RCPM-treated cabbage exhibite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s than those of the control, indicating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For the textural analysis under refrigeration over 4 weeks, RCPM-treated samples showed more stable textures based on higher hardness values than the control and RC.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RCPM would be of benefit to produce high-value added cabbage of premium qua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