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 동맹정책 변화: 충성과 배신의 틀을 중심으로

        김석수 ( Suk-soo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6 글로벌정치연구 Vol.9 No.1

        다극체제로서 세력균형은 동맹이라는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통적으로 군사동맹은 국제정치 핵심 문제 중 하나이다. 동맹은 국가가 각자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 체결하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협정이다. 동맹은 군사적 목적을 위해 체결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다. 중간 규모의 두 국가는 동맹을 형성함으로써 더 큰 강대국 위협으로부터 훨씬 안전해질 수 있다고 인식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군사동맹은 국제정치의 핵심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일본정치의 전통인 충성과 배신의 틀을 통해 일본이 근대체제 편입 이후 안보 확보를 위해 동맹체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했는지 그리고 전후 미일동맹을 통한 안보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일본이 오키나와 반환을 위해 미일동맹을 어떻게 활용했는가를 사례로 제시하고 있다. 충성과 배신의 틀은 일본 국내 정치 현상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개념이지만, 지금까지 국제정치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이론이다. 일본 정부는 1951년 이후 체결된 미일 동맹을 국민들에게 대등한 조약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조약을 파기할 수 있는(배신할 수 있는) 체제라고 홍보해 왔다. 반면에 미일동맹은 일본이 미국 국익과 전략에 충성할 수밖에 없었던 체제이기 때문에 충성과 배신의 틀이 미일관계와 미일동맹 분석에 적실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s of Japan’s security and alliance policy.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flict of the U.S. and Japan Mutual Defense Assistance Agreement in terms of Japan’s loyalty and betrayal. Originally the loyalty and betrayal is a useful concept to analyze the domestic order. So this concept is not used to the international politics. Since the U.S. and Japan Mutual Defense Assistance Agreement has formed, the issue of Japan’s loyalty and betrayal exists between two nations. Since post Cold War, owing to the rapid rising the power of China’s military and economy, the hard policy of China is shifting the power balance of East Asia. As Japan seeks the strengthen of alliance system. The strengthen of U.S. and Japan’s alliance system becomes worse the relations of China and Korea. This raises the security dilemma in East Asia.

      • KCI등재

        동남아해협의 해적과 해양테러리즘 및해양안보협력을 위한 국제관계

        김석수(Suk-Soo Kim)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8 동서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사활을 결정하는 동남아해협과 해로에서 해협국 가들과 이용 국가들이 협력을 통해서 이러한 위협을 극복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세계 각국은 고유가와 치열한 에너지 자원 확보전쟁에서 안전한 해양운송로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에너지 자원 통제보다는 에너지 운송로를 통제해서 헤게모니를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세계의 공장이며 굴뚝이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 소비 대국인 중국이 중앙아시아와 카스피해 지역의 에너지 자원 확보에 정책을 집중시키는 것은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생산된 에너지 자원이 말라카해협, 순다해협, 그리고 롬복해협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세계 모든 국가들 이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안전한 운송이 국가의 사활을 결정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해양이 무역과 에너지와 원료의 주요한 운송로가 되었기 때문에 각국의 해양의존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동남아에 자리 잡고 있는 주요 해협과 해로는 동북아 국가들의 사활이 걸린 곳이 되었다. 따라서 동남아 해협과 해로가 해적과 테러 리즘에 의해 방해를 받거나 봉쇄된다면 동아시아 경제와 세계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줄 수 있다 The major sea in the Southeast Asia is constricted at key straits such the Strait of Malacca, the Sunda Strait, and the Lombok Strait. The Strait of Malacca is 600miles long and provides the main corridor between the Indian Ocean and the South China Sea. The major sea lane used by tankers from the Middle East is the Strait of Malacca. Asian economies rely heavily on the sea for transportation. Thus Southeast Asian analysts have warned that disruption of regional sea lanes by terrorists or pirates can serve economic repercussion. In this respect, this paper focuses on study of the Piracy of the Straits of Southeast Asia, Maritime Terror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for Maritime Security Cooperation.

      • KCI등재

        칸트와 헤겔에 있어서 형이상학

        김석수(Kim Suk-Soo)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근대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형이상학은 그 학문성을 의심받게 되었다. 칸트와 헤겔은 형이상학이 위기에 처한 상황을 목격하면서 전통 형이상학을 새롭게 재건하려고 하였다. 칸트는 전통 형이상학처럼 초월적인 존재에 대해서까지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그는 형이상학을 일반 형이상학과 특수 형이상학, 자연 형이상학과 윤리 형이상학으로 구분하였다. 그는 이와 같은 바탕 위에서 기존의 특수 형이상학이 다루었던 영혼, 자유, 신에 대해서 이론 이성이 아닌 실천 이성을 통해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그는 특수 형이상학의 영역을 윤리 형이상학을 통해 풀고자 하였다. 그러나 헤겔은 선가험적 논리학에 기초하고 있는 칸트의 형이상학도 공허한 형식주의에 매몰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그는 칸트의 선가험적 논리학을 변증법적 논리학으로 전환하고, 형이상학에 선행하는 기초논리로서의 '반성의 체계'와 형이상학에 도달하는 논리로서의 '이성의 체계'를 종합하는 사변철학을 마련하려고 하였다. 그는 사유와 존재를 일치시키려고 한 전통 형이상학과 이들 사이의 불일치를 강조한 칸트의 형이상학을 변증법적으로 종합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토마스주의자들과 칸트주의자들은 헤겔의 이런 입장이 존재의 초월성을 거부하고 이를 내재화함으로써 오히려 독단 형이상학이 범한 잘못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함을 지적한다. 칸트와 헤겔은 기존의 형이상학의 위기를 반성철학적 관점에서 극복하려고 한 점에서는 서로 입장을 공유하지만, 각기 선가험 철학과 사변철학에 입각하여 형이상학을 새롭게 구축하려고한 점에서는 입장을 달리하고 있다. 칸트의 형이상학과 헤겔의 형이상학은 전자로부터 후자로의 발전이 아니라 서로 다른 길로 향해 있다. Metaphysic couldn't maintain its pos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Kant and Hegel also witnessed the crisis of metaphysic, and so tried to reconstruct the traditional metaphysic. Kant criticized the traditional metaphysician argued for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the transcendental being. He distinguished general metaphysic from special metaphysic, and metaphysic of nature from metaphysic of moral. On the basis of distinction, he tried to go toward the soul, freedom, and god with which special metaphysic had relations. He tried to deal with them not through theoretical reason but through practical reason. Therefore Kant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f special metaphysic with the metaphysic of moral. But Hegel said that Kant's metaphysic based on the transcendental logic fell into the empty formalism. He turned the transcendental logic of Kant into the dialectic logic, and synthesized the system of reflection as the basic logic prior to metaphysic and the system of reason as the logic going toward metaphysic through the speculative philosophy. He tried to synthesize dialectically the traditional metaphysic argu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ought and being and Kant's metaphysic emphasizing the discrepancy between them. But Thomists and Kantians criticized that Hegel's metaphysic couldn't escape from the faults of the dogmatic metaphysic owing to denying of the transcendental character of being. Kant and Hegel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earlier metaphysic in the viewpoint of reflection philosophy. However Kant tried to reconstruct metaphysic on the basis of the transcendental philosophy, and Hegel tried to reconstruct metaphysic on the basis of the speculative philosophy. The relation between Kant and Hegel is not the development proceeding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but each of them is going the other way.

      • KCI등재

        동남아 해적이 해양안보에 미치는 영향

        김석수(Kim, Suk-Soo)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9 동서연구 Vol.21 No.1

        이 글은 동남아 해양에서 발생하고 있는 해적활동이 해양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동남아 지역에서 해적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협력 네트워크의 발전은 아주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해적은 아주 중요한 잠재적 위협으로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동남아 국가들과 한국, 미국, 중국, 그리고 일본과 같은 역외 강대국들이 현재의 협력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하고 추진력을 유지시켜 나가야 한다. 이러한 협력은 해양테러리즘, 밀수, 자원절도, 환경오염, 불법이민, 그리고 해양을 통한 핵물질과 화학물질을 포함한 대량살 상무기 확산과 같은 비전통적인 다른 해양안보위협을 예방하고 신속한 대응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In the SouthEast Asia, a significant progress appears to have been made in the fight against piracy. Regional states are displaying greater-than-ever commitments to address both the causes and manifestations of the criminal phenomenon. Regional cooperation is growing and the extra-regional powers that rely on trade transiting the region have expanded their contributions to the fight. Policy makers should sustain the present momentum of intensifying anti-piracy action, expand anti-piracy cooperative networks, and harness the momentum built fighting piracy to address other maritime security threats such as terrorism, smuggling, resource theft, environmental abuse, and illegal migration.

      • KCI등재

        칸트철학에서 철학과 대중- 철학의 대중화 방향 모색과 관련하여 -

        김석수 ( Suk Soo Kim ) 한국칸트학회 2014 칸트연구 Vol.34 No.-

        이 글은 칸트철학에서 철학과 대중의 관계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그의 철학을 한국적 현실에서 대중화하는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칸트는 기본적으로 철학적 탐구의 엄밀성을 포기한 채 철학의 대중화에만 몰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하였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당시 대중철학자들은, 가령 가르베, 페더, 멘델스죤 등은 그의 글이 비대중적인 점에 대해서 강하게 비판하였다. 그래서 그는 이런 비판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철학과 대중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학문적 엄밀성을 기본적으로 견지하면서, 동시에 대중을 계몽하는 것에도 깊이 관여하려고 하였다. 그는 단순한 학문주의도 거부하였지만, 대중에 편승하는 것도 거부하였다. 그는 “숙달”을 가르치는 “학교 개념으로서의 철학”을 중시하되 이를 넘어 “지혜”를 가르치는 “세계 개념으로서의 철학”으로 나아가려고 하였다. 그래서 그는 “이성의 기술자”를 넘어 “실천적 철학자”의 길로 나아가려고 하였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그의 철학을 학문적으로 연구하거나 소개하는 데 치중하였지, 이를 생활인들의 삶 속에 뿌리내리게 하는 데는 제대로 노력을 하지 못했다. 실제로 칸트철학이 우리 한국에서는 철학자 중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고 교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인들의 삶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는 칸트 원전에 대한 좀 더 친절한 번역 및 해설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차적으로는 연구와 교육에 있어서도 그의 철학을 우리의 현실에 적용하고 재창조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의 철학이 한국 현실에서 “학문으로서의 철학”을 넘어 “생활로서의 철학”이 되기 위해서는 이를 단순히 소개하는 차원을 넘어, 그가 강조하듯이, 그야말로 “철학하기”가 우리 일상인들의 삶 속에 뿌리내리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discussing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 public in Kant`s philosophy, and seeking the way to popularize his philosophy. Kant refuses to his being immersed only in the popularization of philosophy without pursuing the strictness of philosophical investigation. He was criticized by the popular philosophers, C. Garve, J. G. H. Feder, M. Mendelsohn, owing to the readability problem of his writings. But Kant couldn`t neglect their criticisms. He also had to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 public. He tried to take part in enlightening the public with keeping the strict scientific attitude. Of course, he didn`t accept not only the academism(scholasticism) without considering the public, but also jumping on the public without considering the scientific strictness. He tried to set importance on the “philosophy as Schulbegriffe” teaching proficiency(Geschicklichkeit). But he was not satisfied only with this philosophy. He advanced toward the “philosophy as Weltbegriffe” teaching “wisdom”. He was also never satisfied with “a technician of reason(Vernunftkunstler)”. He tried to advance toward the way of “the practical philosopher”. But unfortunately, we have concentrated on studying and introducing his philosophy scientifically. We have not made many efforts to implanting his philosophy in our ordinary life. In fact, Kant`s philosophy has been most studied and taught in Korea of philosophers. Nevertheless, his philosophy didn`t have so many influences on the ordinary life of us. Firstly, we have to do the more kind translation and commentation for the read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econdly, we have to do the work applying to his philosophy to our ordinary life and recreating it in our study and education field. We have to transcend the level introducing and explaining his philosophy, if we proceed from “philosophy as a science” to “philosophy as a life”. As he always lays emphasis on “philosophizing”, we also have to implant the “philosophizing” with his philosophy in our ordinary life.

      • KCI등재

        칸트와 하버마스에 있어서 도덕과 법

        김석수(Kim Suk-Soo) 대한철학회 2004 哲學硏究 Vol.89 No.-

        칸트는 법과 도덕을 통일하는 근대 이전의 초월적인 실체적 자연법이나 법과 도덕을 분리하는 근대 이후의 내재적인 이성적 자연법 내지는 법실증주의 모두를 비판하고 법을 규제적 이념의 차원에서 접근함으로써 새로운 조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에 의하면 인간은 합법성의 단계를 거쳐 도덕성의 단계로 올라갈 수 있으며, 후자는 전자에 대해서 규제적 관계에 놓여 있다. 그러나 그의 이 규제적 관계는 후대의 많은 철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게 되었다. 현대 법철학의 대표적 인물 중의 한 사람인 하버마스도 칸트가 여전히 도덕으로부터 법을 근거 짓고, 자연법과 실정법을 위계적 관계로 바라보는 전통적인 자연법 입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칸트는 분명히 도덕과 법, 자연법과 실정법을 위계 관계로 본 전통적인 자연법론자는 아니다. 그는 이념을 현실화하는 것에 대해 경계와 비판을 멈추지 않았다. 그렇지만 하버마스가 보기에 칸트 실천철학의 완성은 의식 안에서 독백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고 언어적 지평에서 서로 논의를 주고받는 절차가 살아 움직이는 생활세계에 관계할 때에만 가능하다. 진리도 정의도, 도덕도 법도 모두 이 생활세계의 담론 공간에서 의사소통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합리성의 지반 위에서 자라나야 한다. 그러므로 담론원리 D가 도덕원리(보편화원리) U와 법원리(민주주의원리) Dm의 근거로서 자리한다. 담론원리 D 안에 자리하고 있는 U와 Dm은 우위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관계에 놓여 있다. 특히 현대사회처럼 고도로 복잡한 관계 속에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는 도덕적 규범이 법적 규범을 통하지 않고는 제대로 기능할 수 없다. 따라서 당연히 도덕의 자율적 입법도 민주주의 원리에 입각한 합리성을 통하여 법의 원리로 발현되어야 한다. 법은 한편으로는 생활세계가 요구하고 있는 규범적인 측면을 체계로 적극적으로 구속력 있게 전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체계의 논리가 생활세계로 잠식해 들어오는 것을 경계하는 방호벽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상에서 보듯이 하버마스의 규범원리들은 생활세계 바깥이나, 논의절차 외부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칸트적인 ‘한계’적 전망 속에서 모색되는 또 다른 형이상학적 가능성을 허용하지 않는다. 다원화되고 전문화된 현대 사회는 도덕보다 법이 우리의 삶을 훨씬 더 많이 지배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도덕 원리에 기반을 두고 법 원리를 정초하는 칸트의 법철학보다는 이 양자를 담론원리 아래서 특수화된 것으로 접근하는 하버마스의 법철학이 더 적실성이 있다. Kant criticized the traditional natural law theory which combined law with moral and the modern legal positivism which separated law from moral. He treated natural law as a "regulative Idee", and not only distinguished law from moral, but also harmonized these two things. But many philosophers criticized this standpoint of Kant. Habermas who is one of contemporary legal philosophers criticizes that Kant didn’t get out of the traditional natural law theory which based law on moral. However Kant didn’t follow the traditional natural law at all. He was careful about substantiating “Idee”. Nevertheless, Habermas criticize that his philosophy is still "Bewußtseins- philosophie" and he can’t overcome the problem of legal philosophy. This problem is to be got over by communication theory. Habermas says that moral and law must be based on rationality which is produced by communication in "Lebenswelt". Therefore moral principle(universalization principle) U and legal principle(democracy principle) Dm are based on discourse principle D. Principle U is not superior to Dm, rather these principles helps each other. Law is more important than moral in the complicated contemporary society. Moral norm is not able to play a role without the assistance of legal norm. Hence Moral legislation must be manifested into legal principle by rationality which is based on democracy principle. Law transmits the normal aspects which "Lebenswelt" requires into system on the one hand, and protects "Lebenswelt" from the invasion of system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세계시민주의에 대한 현대적 쟁점과 칸트

        김석수 ( Suk Soo Kim ) 한국칸트학회 2011 칸트연구 Vol.27 No.-

        Today, many problems, such as terror, tyranny of multinational corporation, and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occur. There are three positions to meet these problems. They are radical cosmopolitanism, anti-cosmopolitanism, and soft cosmopolitanism. Radical cosmopolitanism argues that we must set up a world state and government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On the other hand, anti-cosmopolitanism says that radical cosmopolitanism can be down to imperialism or despotism, and so must fortify the autonomy of national state. And then soft cosmopolitanism will make up for their shortcomings and synthesize them. This position endeavors to go toward the world civil society on the base of respecting the originality of national culture and the autonomy of state. Today, the importance of the third position is gradually being emphasized. Kant`s cosmopolitan theory is also close to this position. Because Kant made efforts to go toward the world civil society on the base of rather the union and federation of national states than the world state. He took the progressive method which realizes justice among states on the base of respect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autonomy of the national state. The idea of the world civil society has a regulative relation to the autonomous states, and makes up for the shortcomings of the 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law. His theory has an advantage to resist against the economical and cultural colonization, and to go toward the world civil society seeking for the harmony of national states. Therefore, Kant`s cosmopolitan theory can be still a meaningful theory even in today`s age of globalization.

      • KCI등재

        현대 실천철학에서 칸트 공통감 이론의 중요성

        김석수(Kim, Suk-soo)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3 No.-

        현대철학에 이르러 많은 철학자들이 근대철학을 흔히 주체철학, 의식철학으로 규정하고, 이 철학의 유아론적인 면을 극복하기 위해 의사소통이론, 해석학, 해체론 등을 통해 다양한 모색을 하고 있다. 실천철학의 영역에서도 이들, 특히 공동체주의자들은 근대 자유주의 철학이 주체의 자유와 권리만을 정당화하는 고립된 자율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따라서 타자와의 관계도 형식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통적인 공동체의 연대성을 붕괴시키고 말았다고 비판한다. 이들은 칸트철학에 대해서도 똑 같은 맥락에서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칸트는 자기 이전의 근대 주체철학이나 자유주의 철학을 그대로 추구하지 않고 이들의 한계를 비판하고 극복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그는 주체성에 머물러 있는 철학자가 아니라 주체와 주체 사이의 소통 가능성 문제에 대해서도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 대표적인 곳이 바로 ‘공통감’을 다루는 부분이다. 그는 이곳에서 상상력의 자유로운 놀이를 통한 지성과의 합치를 취미판단과 연관을 짓고, 또 이 취미판단의 보편적 타당성의 가능근거로서 공통감을 요청하고, 이것을 취미판단에 대한 당위적 원리이자 이념으로 설정하고 있다. 취미판단의 주관적 원리로서의 이 공통감은 ‘판단 주체의 자기 내적 관계’에만 머무르지 않고 ‘공동체적 감각의 이념’으로서 ‘판단 주체들 사이의 소통 가능성’에도 관계한다. 공통감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들의 조화를 모색하는 그의 이러한 시도는 오늘날 자유주의가 중시하는 자율성과 공동체주의가 중시하는 연대성 사이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특히, 그의 공통감 이론이 ‘비판적 해석학’과 ‘관계적 자율성’의 이론으로 발전될 경우, 그의 이론은 전통사회와 근대사회의 부정적 요소를 극복하고 현대사회의 고립적 자아들 사이의 갈등을 넘어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길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칸트 공통감 이론은 현대철학, 특히 자율성과 연대성을 둘러싸고 논의되는 오늘날의 실천철학에서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Many contemporary philosophers argue that modern philosophy is only the philosophy being imprisoned in subject and consciousness without communicating other subjects with language. They criticize that it is solipsistic. Today, those who are taking part in the communication theory, hermeneutics, and de-constructivism are trying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practical philosophers, especially those who advocate communintarianism criticize that modern libertarianism is not free from the isolated autonomy and breaks the solidarity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with treating formally others. They criticize Kant’s philosophy in the same way. But it is unreasonable. Because Kant was not the philosopher who pursued the same philosophy of subjectivity and liberalism as the earlier modern philosophers pursued. He tried to criticize its limits and overcome them. Especially he did not remain within the modern subjectivity, but rather tried to come up with the inter-subjectivity communicating between subjects. He showed this side through the ‘sensus communis’. He thought of a judgement of taste as an effect resulting from the free play between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and postulated the ‘sensus communis’ as a ground of the universal validity of this judgement. Therefore this ‘sensus communis’ is the subjective principle of a judgement of taste. Furthermore, he did not treat this ‘sensus communis’ merely as a self-relation of a subject, but rather developed it into an communicative relation among subjects. This position of Kant enables us to seek the harmony between the aesthetic sphere and social-moral sphere, and to overcome the conflicts between the autonomy of the liberalism and the solidarity of the communitarianism. Especially, his ‘sensus communis’ can be developed into the ‘critical hermeneutics’ and the ‘relational autonomy’. Therefore his ‘sensus communis’ has th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negative points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and the modern community, and to overcome the conflicts among the isolated selves occurring in today’s society. Hence Kant’s ‘sensus communis’ has still the important values in the contemporary philosophy, especially in the practical philosophy being now discussed over the relation between autonomy and solidarity.

      • KCI등재

        블로흐 철학과 유대주의

        김석수(Kim Suk-Soo)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0 No.-

        인류의 역사는 때로는 종교의 이름으로 때로는 경제의 이름으로 질료를 비하하거나 도구화하기도 했다. 그리고 인간의 폭력과 야만도 이와 함께 해왔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유대주의와 반유대주의라는 굴레 속에 작동해온 ‘지배-차별-배제’라는 구조였다. 유대인으로서 철학하기를 수행해온 블로흐는 누구보다 이 문제에 천착했다. 그는 질료에 폭력을 행사해온 제도 종교와 자본의 부조리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 개념과 마르크스의 실천 개념을 새롭게 재구성하여 희망의 철학을 제시한다. 아울러 그는 이를 통해 ‘질료의 역동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한 칸트의 비판철학과 헤겔의 변증법철학의 한계도 넘어서고자 한다. 그는 이 역동성에 기초하여 추상적 보편성 추구가 낳은 폭력을 극복할 수 있는 길, 이른바 ‘구체적 초월’을 모색한다. 그의 이러한 철학적 정신이 그의 희망의 철학, 즉 ‘아직-아님’의 철학에 잘 응축되어 있다. 그의 철학은 과거적 완결성이나 미래적 완결성으로 과정 속에 살아가는 질료적 개체들의 삶을 억압·차별·배제하는 잘못된 유토피아를 극복하려고 한다. 분명 그의 이런 철학은 종교와 자본이 결합하여 부당하게 지배해온 전체주의를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의 전투적 낙관주의에 깔려 있는 관점, 즉 질료에 대한 긍정적 관점이나 이에 기초한 그의 저항 정치에는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다. 사실 그의 철학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 부분에 대한 좀 더 심화된 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 글은 블로흐 철학과 유대교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어, 또한 지면의 한계로 인해,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다루고자 한다. The history of mankind has degraded or instrumentalized matter sometimes in the name of religion and sometimes in the name of economy. And human violence and barbarism have been with it. The representative case was the structure of dominance – discrimination - exclusion that has been operating in the bonds of Judaism and anti-Semitism. Ernst Bloch, who has carried out his philosophy as a Jew, was more committed to this issue than anyone else. He thoroughly digs into the absurdities of institutional religion and capital that have caused violence to the matter, and proposes a philosophy of hope by reconstructing Aristotle s concept of material and Marx s practice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addition, he inten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Kant s critical philosophy and Hegel s dialectical philosophy, which have not fully exploited the dynamism of material. Based on this dynamic of material, he seeks the so-called concrete transcendence(konkretes Überschreiten) that can overcome the violence resulting from the pursuit of abstract universality. Through this transcendence, he tries to overcome the abstract transcendence that has been practiced in the name of religion or capital, and at the same time, overcomes the violence brought about by it. His philosophical spirit is condensed in his philosophy of hope, the philosophy of not yet(Noch-Nicht) . His philosophy of not-yet(Noch-Nicht) contains a strong will to overcome the wrong utopia that oppresses, discriminates and excludes the lives of the material entities living in the process with past or future perfection. Clearly, his philosophy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totalitarianism, which has unfairly dominated through combination of religion and capital. However, there remains room for controversy over his militant optimism - a positive view of matter and his resistance politics based on it. In order to properly evaluate his philosophy, further discussion is needed. However, this article is primarily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loch’s philosophy and Judaism, and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e space, I will discuss this in the next opportun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