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미김의 대중국 진출을 위한 마케팅믹스 전략 연구

        김석민 ( Kim Seog-min ),전의천 ( Jun Eui-cheon ),최인녕 ( Choi Lin-yeong ),한상옥 ( Han Sang-ok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한·중 FTA의 대표적 수혜품목으로 주목받고 있는 조미김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 중국 시장진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의 주요내용과 방법으로, 먼저 세계와 한·중 양국 김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관련 기관의 통계 및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한 후, 한국과 중국의 김산업 무역구조와 국제경쟁력을 분석하였다. 중국 시장 내 한국, 태국, 일본 및 대만산 조미김의 국제경쟁력을 시장점유율(Market Share), 무역특화지수(Trade Specialization Index) 및 현시비교우위(RCA)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015년 기준 한국의 MS가 65.14, TSI가 1.0, RCA가 1.37로 가장 높게 나타나 한국이 중국시장 내에서 절대적인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태국이 일본의 중국시장 점유율 감소분을 대부분 흡수하면서 2015년 이후 시장점유율, 무역특화지수 및 현시비교우위지수를 빠른 속도로 증가시키면서 한국과의 경쟁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으로 조미김의 위생검역 및 라벨링 규정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한 문제점과 준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 조미김 유통시장 분석을 통한 마케팅믹스(Marketing Mix) 전략을 중국 소비자 요구에 맞는 다양한 맛의 제품 개발, 가공형상의 다양화, 건강 또는 선물세트 개발 등을 통한 가격차별화, 전문 및 온라인 유통채널 개발방안 등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는 한·중 FTA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는 중국의 조미김 관련 과도한 위생 검역기준을 완화시키기 위한 한중 검역·검사 협력 MOU를 체결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업차원에서는 OEM 수출방식을 지양하고 한·중 FTA로 인한 중국 내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이미지 제고효과를 적극 활용하여 중국 소비자들에게 한국산 조미김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하게 인식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propose the strategy for seasoned seaweed, which is gaining attention as a representative product that will benefit from the Korea-China FTA, to penetrate into the Chinese market. As for the main contents and methods of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the seaweed industry (both in Korea and China) was analyzed using statistics and preceding researches from both countries. Also the trade structure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nd Chinese seaweed industry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erms of market share, the Trade Specialization Index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Index of 4 competing countries within China; Korea, Thailand, Japan and Taiwan, Korea`s MS was 65.14, TSI was 1.00 and F-H RCA was 1.37 in 2015. This indicates that Korea had secured an absolute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Chinese market. Moreover, as a strategy to penetrate into the Chinese market, this study systematically proposed a measure involving Sanitary and Phytosanitary as well as compliance with the labelling regulations for the seasoned seaweed. In addition, a Marketing Mix strategy based on the analysis of China`s distribution market for seasoned seaweed was suggested. In conclusion,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Korea-China FTA, the government has to engage in entering into a MOU for sanitary and phytosanitary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relieve the excessive sanitary and phytosanitary criterion with regards to the seasoned seaweed of China. Furthermore, from the company`s perspective, they have to not be oriented on OEM export methods, and efforts must be made to strongly promote the brand image of Korean seasoned seaweed to the Chinese consumer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中國文化産業的國際貿易壁?硏究

        김석민 ( Seog Min Kim ),유유 ( Yu Liu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0 동북아연구 Vol.25 No.1

        도하개발아젠더(DDA)에서는 시청각서비스와 출판산업을 중심으로 한 문화산업관련 서비스분야 협상이 현재 진행 중이다. 앞으로 문화산업은 DDA협상 결과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 진 국제규범의 적용을 받을 것이다. 한편 2001년 WTO에 가입한 중국은 유구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문화산업을 급속하게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문화산업 발전추세에 맞추어 세계 주요 선진국가들을 중국의 문화산업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노력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중국의 문화산업에 대한 시장진입은 복잡한 행정규제 등 많은 무역장벽에 가로막혀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문화산업의 현황과 국제무역장벽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한국 문화산업의 대중국 진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일차적으로 문화산업과 국제문화무역, 그리고 문화무역장벽과 관련한 한국, 중국, 그리고 기타 국가들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는 국제문화무역의 개념과 현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Grubel-Loyd의 산업내무역지수를 활용하여 미국, 독일,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등의 문화산업무역 발전국가들의 산업내 무역구조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 문화산업의 국제무역장벽을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국제무역장벽의 개념과 종류를 고찰하였으며, 중국의 문화산업 국제무역장벽을 복잡한 행정규제의 측면에서 사전심사 및 허가제도, 인쇄출판물의 감독과 규제, 수출입규제 등으로 구분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Audio-visual services and publishing industries that were proposed in the DDA as the center of the field of cultural industries related services agreements are in progress. On the other hand, China`s centuries-old cultural heritage suddenly became a cultural industries which was rapidly developing after China joined the WTO from 2001. Aimed at the trend of China`s cultural industries, the main developed countries are all making an effort on entering the market of China`s cultural industries. Whereas, China`s cultural industries related administration managements are the barriers. Therefore,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ng of the international trade barriers of China`s cultural industries to elicit suggestion for entering of Korea`s cultural industries to China. Therefor, the study firstly reviews related antecedence researches between Korea、China and other countries. In succession, the concept of international cultural trade was analysed, and the Grubel-Loyd index was used in empirical analysing the evaluating the development of intra-industry trade of US, UK, Italy and France. Meanwhile, in order to analyse the barriers of China`s cultural industries, first of all, the study reviews the concept and sort of international trade barriers, and then the study analyses the barriers of examine and approve in advance, printed publications control and import and export control which based on China trivial details administration management.

      • KCI등재

        알코올중독자의 병식 수준과 심리적 특성의 관계

        김석산(Seog-San Kim),신재정(Jae-Jung Shin),황인복(In-Bok Whang),채숙희(Suk-Hi Chai)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02 중독정신의학 Vol.6 No.1

        Objectives:When we treat alcoholism, we frequently meet the alcoholic patients’ defense mechanism such as denial, minimization, projection, rationalization and so on. For successful recovery, alcoholic patients must have the true insight. But most alcoholic patients rarely have i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ght leve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alcoholic patients. Method: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147 alcoholic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alcohol dependence by DSM-IV and NAST and were admitted to Dasarang Alcohol Hospital, Kwang-ju between April and October, 2001.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insight level. Subjects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about the sociodemographic data, clinical data, HAIS, alcohol problem scale, self-esteem scale, social support scale, BDI and STAI. Results:Among 147 subjects, 33 (22.4%) were ‘good insight group’, 73 (49.7%) were ‘fair insight group’, 41 (27.9%) were ‘poor insight group’. This study showed the group of lower insight level was the older alcoholic patients. Insight level was higher when the patients’ admission type was voluntary, when alcoholic patients had admitted in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ecause of alcohol related physical illness and when frequency of admission was high. Both Lower BDI score and absence of current physical illness were shown in the groups who were higher insight level. The ‘poor insight group’ was shown the highest BDI and STAI scores and the lowest social support scor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hich considered sociodemographic, clin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simultaneously, showed that the insight of alcoholics was significantly predicted from frequency of admission, occupational-social problem, age, education and behavior problem. Conclusion:If the insight level is lower, the alcoholic will be more depressed and anxious. To increase the alcoholic patients’ insight, 1) it is effective for them to confront their own occupational-social and behavior problem. 2) we should help alcoholic patients enter to therapy when alcohol problem occur. The sooner, the better.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비소세포폐암과 염증성 폐질환에서 가래와 혈액 및 조직에서 p16<sup>INK4a</sup> Promoter 과메틸화

        정표,경미,권순석,영균,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안중현,Kim, Jeong Pyo,Kim, Kyong Mee,Kwon, Soon Seog,Kim, Young Kyoon,Kim, Kwan Hyoung,Moon, Hwa Sik,Song, Jeong Sup,Park, Sung Hak,Ahn, Joong Hyun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6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0 No.2

        연구배경 : 종양억제유전자인 $p16^{INK4a}$는 promoter region의 과메틸화로 인해 비소세포폐암의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폐암의 진단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는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비소세포폐암과 염증성 폐질환 환자의 가래와 혈액 및 조직에서 $p16^{INK4a}$ 메틸화의 발현 정도와 발현 일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폐종양을 주소로 내원하여 혈액, 가래 및 조직 검사를 시행한 후 최종적으로 비소세포폐암(18명)과 염증성 폐질환(5명) 진단을 받은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표본에서 DNA를 추출한 후 메틸화 특이성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p16^{INK4a}$ promoter region의 메틸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혈액에서는 비소세포폐암 그룹(88.9%, 18명중 16명)이 염증성 폐질환 그룹(20.0%, 5명중 1명)보다 $p16^{INK4a}$ 메틸화 발현이 증가하였으며(P=0.008), 가래에서는 비소세포폐암 그룹(12명중 10명)과 염증성 폐질환 그룹(5명중 4명)의 발현 차이는 없었다(P=1.00). 조직은 비소세포폐암 그룹에서 8명중 6명(75.0%)이 $p16^{INK4a}$ 메틸화가 나타났다. 혈액, 가래 및 조직에서 $p16^{INK4a}$ 메틸화의 발현 일치율은 7명 중 4명이 일치한 57.1%를 보였다. 결 론 : 비소세포폐암 그룹에서 염증성 폐질환 그룹보다 혈액의 $p16^{INK4a}$ 메틸화가 증가하였고 조직과의 일치율도 높았다. 따라서 폐암이 의심되는 고 위험 인자가 있는 환자에서 혈액의$p16^{INK4a}$ 과메틸화는 비소세포폐암과 염증성 폐질환을 감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 The aberrant promoter hypermethylation of p16INK4a, as a tumor suppressor gene, is contributory factor to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However, its potential diagnostic impact of lung cancer is unclear. This study measured the level of $p16^{INK4a}$ promoter hypermethylation in the sputum and blood, and compared this with the level measured in the tissue obtained from NSCLC and pulmonary inflammation. Methods : Of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Our Lady of Mercy Hospital in Incheon, Korea for an evaluation of a lung mass and underwent blood, sputum, and tissue tests, 23patients (18 NSCLC, 5 pulmonary inflammatio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DNA was extracted from each sample and the level of p16INK4amethylation was determined using methylation-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 $p16^{INK4a}$ methylation of the blood was observed in 88.9% (16 of 18) and 20.0% (1 of 5) of NSCLC and from pulmonary inflammation samples, respectively (P=0.008). Methylation of the sputum was observed in 83.3% (10 of 12) 80.0% (4 of 5) of NSCLC and pulmonary inflammation samples, respectively (P=1.00). Among the 8 NSCLC tissue samples, methylation changes were detected in 75.0% of samples (6 cases). Four out of seven tissue samples (57.1%) showed concordance, being methylated in both the blood and sputum. Conclusions : There was a higher level of $p16^{INK4a}$ methylation of the blood from NSCLC patients than from pulmonary inflammation. The tissue showed a high concordance with the blood in the NSCLC sampl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16^{INK4a}$ promoter hypermethylation of the blood can used to discriminate between NSCLC and pulmonary inflam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