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의 세계와 아동문학교육의 의미 탐색

        김상한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eans of play in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Play is an important area of life that characterizes the world of children’s help to navigate with children, and let the world around him and forming a relationship. The play follows the rules and has absolutely binding within the limits of day-to-day and some other fixed time and space. In addition, as a voluntary act or thing in itself, and there is a purpose, there is no suspense and fun. The play can be a bridge between children’s literature and reality to the child. Although the game can not do anything here that will help you do nothing yourself as detached from reality and reality. However, the play offers the opportunity of a free and creative experience shows that did not look at the reality. Also playing will raise during space to imagine and create freely in a safe place to let children. And in literature appreciation course of interactivity interaction occurs for children and actively. Also experience the fallacy of allowing the imagination of children and children’s literature as a voluntary participation helps to emotion and stable development of the child. 이 연구의 목적은 놀이의 속성을 아동문학과 관련지어 살피고 아동문학교육에서 놀이의 의미를 찾는 데 있다. 놀이는 아동의 세계를 특징짓는 삶의 중요한 영역이며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 주변과 세계를 탐색하고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놀이는 일상과 다른 어떤 고정된 시간과 공간의 한계 안에서 절대적 구속력을 가지는 규칙을 가진다. 그리고 자발적 행위 또는 일로서 그 자체의 목적이 있으며 어떤 긴장감과 즐거움이 존재한다. 또한 놀이는 현실에서 보이지 않던 것을 보여주고 자유롭고 창의적인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즉 놀이는 아동으로 하여금 안전한 곳에서 자유롭게 상상하고 창조하는 시․공간을 마련한다. 이러한 놀이는 아동에게 아동문학과 현실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 놀이가 아동문학교육에서 가지는 의미는 아동에게 문학을 경험하게 하는 즐거움을 스스로 가지도록 하고, 아동의 문학 감상 과정에서 상호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한다. 그리고 아동으로 하여금 아동문학의 상상을 체험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아동의 정서발달과 안정에 도움을 준다.

      • KCI등재

        초등문학교육 목표로 ‘즐거움 가능력’ 탐색 -평가와 연계 방안을 중심으로-

        김상한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9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leasure potential’ as the goal of elementary literary education and to find a way to connect it with evaluation. Methods: The goal of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can be subdivided from the standpoint of looking at literary ability, the goal of literary education, as potential, and pursuing potential, continuity, and divergent values. In other words, the goal of elementary literary education is set as ‘capability’, which is a power with potential and continuity, so that the world of literature texts and the world of readers can be mutually negotiated. Results: The goal of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is set to ‘increase the competency of pleasures’, and the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al content in the elementary literature field of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is specifically examined. And based on this, we design an evaluation that each learner can develop and propose a meaningful evaluation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Conclusion: The evaluation target for elementary school literature education is main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valuation to enhance students’ abilities should be conducted, not for selection or ranking. Therefore, evaluation in elementary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by identifying the intensity and density of individual students’ experience of literary texts. 목적: 이 연구는 초등문학교육의 목표로 ‘즐거움 가능력’을 탐색하고, 평가와의 연계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문학교육의 목표인 문학능력을 가능태로 보고 잠재성, 지속성, 발산적 가치를 지향한다는 입장에서 초등문학교육의 목표를 세분화할 수 있다. 즉 초등문학교육의 목표는 잠재성과 지속성을 지닌 힘인 ‘가능력’으로 설정하고, 문학 텍스트 세계와 독자 세계를 상호교섭할 수 있는 경험으로 나갈 수 있도록 한다. 결과: 초등문학교육의 목표를 ‘즐거움 가능력 신장’으로 설정하고,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문학 영역에 있는 교육 내용과 연계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개개인이 발달할 수 있는 평가를 설계하고 교수․학습에 유의미한 평가 방안을 제안한다. 결론: 초등문학교육의 평가 대상은 초등학생이 중심이며 선발이나 서열화를 위한 평가가 아니라 학생들의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초등문학교육에서 평가는 학생들 개개인이 문학 텍스트를 체험하는 강도와 밀도를 파악하여 알맞은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초등 국어교육에서 웃음 교육을 위한 텍스트 이해와 교육 방안 탐색

        김상한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9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 웃음 교육의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웃음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교육과정에서 살피고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실린 웃음을 유발하는 글에 대한 이해와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웃음 교육을 하려면 웃음을 일으키는 것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교과서에 제시된 웃음을 유발하는 글의 유형을 크게 상황의 희극성, 말의 희극성, 성격의 희극성으로 나누어 살핀다.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을 활용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글의 구성을 이해하고 분석한 후에 교육 방안을 찾는다. 물론 웃음을 유발하는 글에서 웃음의 요인에 대해 세 가지로 명확하게 구별하여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그렇지만 웃음에 대한 교육을 할 때 웃음을 유발하는 글을 유형화하고 분석하여 이해함으로써 웃음 교육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of laughing elementary education in language education. First, I look into the contents of laughter education in the course of education. Next, I use the texts in the textbooks to find ways of laughing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laughter, it is based on Bergson’s laughter classification. First, the comedy of the situation is when laughter occurs in the context or context surrounding the person. Second, the comedy of language is a case where laughter occurs due to the formal composition of language. Third, the comedy of personality is when laughter occurs when characteristics or contrast of characters appear. Use three type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writing that causes laughter. And I look for a plan of laughter education.

      • KCI등재

        아동문학에서 현실과 환상의 관계 설정과 의미 탐색

        김상한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9

        이 연구는 아동문학에서 현실과 환상의 관계를 살피고 아동문학에 담긴 환상의 역할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우리의 삶은 실재와 환상이 공존하고 있다. 오히려 환상이 우리의 삶에서 그 영역을 더 크게 확장하고 있다. 아동문학에서 현실과 환상의 관계는 뫼비우스의 띠와 같이 공존한다는 것을 살필 수 있었다. 아동문학에서 현실과 환상은 원통형의 띠처럼 안과 밖이 구분된 이분법적 관계로 접근하기보다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안과 밖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관계로 볼 수 있다. 안과 밖의 구별이 생기지 않고 안과 밖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뫼비우스의 띠가 되기 위해서 ‘꼬임’이라는 환상의 발생, 현실의 균열 지점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 현실에서 출발하여 이러한 꼬임의 지점을 통과한 인물은 환상을 겪은 후에 동일한 현실을 맞이하더라도 그 현실 속에 담긴 새로운 이면을 살필 수 있게 된다. 환상을 통해 인물의 삶에 있는 안과 밖, 현실의 표면과 현실의 이면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현실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삶의 지혜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아동문학교육은 인물이 현실 세계에서 환상 세계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꼬임’이 일어나는 환상의 발생 지점을 찾을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 그림동화를 활용한 이야기 구성과 교육 방안 -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

        김상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5 한어문교육 Vol.33 No.-

        This study is wordless picturebooks for students to read and understand the aspects examined in the educational plan. The proposed study, only the picture exist the wordless picture book of Raymond Brigg's "The Snowman" read and understand themselves. After they construct story. This study analyzed the student's story and educational measures were also found, how to teach for education. Students see a wordless picture book, after make story themselves configure compared to the 'reflection', 'Delete', 'distorted', 'added' to the four analyzed and looked for the cause.

      • 콘서트홀의 음향특성에 관한 연구(Ⅱ) : 부산산업대학교 콘서트홀의 음압분포에 관하여 about the distribution of sound pressure levels in Concert Hall of Busan San ub university

        김상한 慶星大學校 1986 부산수산대학 논문집 Vol.7 No.2

        본 논문은 부산 산업대학교 콘서트홀에 대한 음향특성을 조사 함에 있어 특히 음압의 분포상태를 조사한 것인데 그 결과를 요학하면 다음과 같다. 1. 환경소음압 준위는 각 객석의 위치(1번∼12번)에서 측정한 값은 약 20∼32dB이 었다. 2. 냉방을 위한 공조 작동시의 소음압 준위는 48∼52.5 dB이 었다. 3. 무대위의 음향반사판은 사용하는 편이 미관상 뿐만 아니라 실내 음압도 5dB 정도 높일 수 있고 음압분포상태도 그로 인해 좋은 분포상태가 된다. 4. 실내 음압 분포 상태를 조사 할 때 단음을 발산하는 pistol의 폭음 보다 연속음을 발사하는 Audio Signal Genarator를 사용하는 것이 sound level meter를 사용하며 음압측정하는데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5. 주파수 1000Hz의 연속음을 발생하는 음원(S)에 대해서 104.3dB의 음압준위가 2번의 위치에서 85dBdls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1번에서 14번까지 위치의 음압준위(82.5∼83dB)가 균일한 분포를 하고 있다. In many cases, the sound transemission from a speaker to a listener is not perfect, which may result in reduced speach intelligibility. The evaluation of the intelligibility for an auditorium, Concert Hall or a public-address system comprises several aspects such as; -mapping the intelligibility throughout the Concert Hall; -investigating the contribution of various background noise levels; -evaluating the contribution of apublic-address system in condition is with various background noise levels or different sound source position. The acoustics of this hall had certainly improved, and which was confirmed by comparing sound pressure levels take before and after the above improvement. Generally for the acoustic improvement of Concert Hall it is necessary to increase both spatial-impression and loudness. The main Concert Hall of Pusan san ub university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