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農村住民의 吸煙實態 調査

        金相淑 최신의학사 1976 最新醫學 Vol.19 No.2

        This surve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ut rural Koreans' smoking habits and attitudes toward smoking in Bongyang Myon, Euiseong Gun, Kyungpook Province through questionnaire interview by calling on 1,052 residents in age over 20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1, 1975. The mean smoking rate among respondents was 81.5 per cent in male and 33.3 per cent in female. Socioeconomic strata being classified into upper, middle, and low classes, the smoking rate of the upper class showed 69.9 per cent, that of the middle 69.6 per cent, and that of the low 82.2 per cent. Comparison of the smoking rates of the religious groups revealed some differences; The unreligious group showed the highest rate in percentage (79.1 %), Followed by the Roman Catholic group (78.6%) and by the Buddhist group(74.0%), and the Protestant group was found to be the lowest group (40.0%) .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laborers, farmers, salariates, salesmen and the unemployed by their vocations. And the average smoking rates of them in turn were 87.2, 76.5, 72.2, 69.1, and 55.1 per cent respectively. Among the current smokers, 82.9 per cent in male and 79.1 per cent in female believed that something was hazard to their health. And 57.5 per cent of both sexes did that morbidity is due to smoking, 57.3 per cent of males, and 59.4 per cent of females respectively. The average smoking amounts of cigarettes per day was 12.0 (12.5 in male and 8.2 in female). About 36 per cent of the current smokers started in smoking under the age of 20 and 84.4 per cent under the age 25 in male, but 27. 0 per cent under 30 and 82.3 per cent under 45 in female. Of the current smokers, the rates of 62.2 per cent in male and 64.4 per cent in female wanted to antismoking. And the rates of 47. 8 per cent in male and 32. 2 percent t in female had experienced antismoking. Among the current nonsmokers, 47. 2 per cent in male did not start smoking owing to health hazard and 51.6 per cent in female owing to damage of appearance. And the rates of nonsmokers who have smoked were 37.9 per cent in male and 13.3 per cent in female.

      • KCI등재
      • ‘진실화해법’ 개정과 2기 ‘진실화해위’의 과제

        김상숙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20 민주주의 이슈와 전망 Vol.51 No.-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기본법」 개정안이 6월 9일 마침내 공포되었다. 이 글에서는 1기 진실화해위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2기 진실화해위가 ‘과거사의 완전한 정리’라는 목표를 향해 앞으로 나아가려면 어떤 과제를 해결해야 하며, 어떤 원칙이 필요한지 살펴보았다. 1기 진실화해위는 많은 성과를 냈지만, 신청 기간과 조사 기간의 제한으로 조사를 완료하지 못했거나 미진한 사건들이 많았고, 국가기관의 후속 조치도 미흡했다. 2기 진실화해위는 1기 진실화해위가 미처 조사하지 못한 미신청ㆍ미조사 사건을 처리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미군 사건, 의문사 사건 등 1기 진실화해위가 진실규명 불능 또는 각하 결정한 일부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는 것도 2기 진실화해위가 해야 할 주요한 과제이다. 그리고 2기 진실화해위에서는 1기 진실화해위의 권고사항을 분석하고 그 이행 정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배·보상 관련 특별법 제정과 과거사연구재단 관련 법 제정 등, 후속 조치에 대해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위원회 활동 초기부터 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피해자 관점에 의해 진상을 규명하고 성 평등(gender) 관점에 의해 과거청산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1기 진실화해위와 달리 정세 변화나 특정 정치 세력의 이해관계에 흔들리지 않도록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정립해 소통과 연대를 바탕으로 한 거버넌스 조직으로서의 특성을 살려 나갈 필요가 있다. 물론, 1기 진실화해위와 마찬가지로 2기 진실화해위도 한시적 기구이며 수사권 부재 등 조사의 법적 권한에 한계가 있다. 1기 진실화해위 때까지만 해도 생존해 있던 피해자, 현장 목격자, 가해자 등이 상당수 사망한 점도 진상 규명에 난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 하더라도 국가기구에 의한 진상 규명은 과거청산의 가장 기본적인 출발점이 되는 작업이다. 올해 12월에 출범하는 2기 진실화해위는 피해자, 유족의 염원을 수용해 과거청산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주춧돌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금강밀의 제분 수율에 따른 밀가루 품질 특성 비교

        김상숙,곽한섭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8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wheat flour according to the milling yields. Domestic wheat cultivar (var. Keumkang) was used for milling and the wheat flour samples consisted of 60∼90% yields (Y60∼Y90). As the yield ratio increased, the protein, ash, fat, red color (a*), and yellow color (b*) increased for the wheat flour, but the lightness (L*) was decreased due to the addition of short and bran. The pasting properties of peak viscosity, trough viscosity, breakdown and final viscosity, and the setback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yield of flour increased. Adding wheat short and bran to increase milling yield seemed to generate lower values for the pasting properties and it may also have negatively influenced the quality of wheat flou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nset, peak, and end temperatures of wheat flours across the yield ratios, as determin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ranges of total aerobic counts, fungi, and yeast were 2.76∼3.95 log CFU/g, 2.83∼3.36 log CFU/g, and 0.00∼2.79 log CFU/g, respectively.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from 2.48% (Y60) to 10.91% (Y95) as the yield was increas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increased from the yield ratios Y60 (3.24 mg GAE/g) to Y80 (5.22 mg GAE/g), and the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slightly decreased. 우리밀 금강 품종으로 60~95%까지의 제분 수율을 가진 밀가루를 제분하여 제분 수율에 따른 밀가루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단백질, 회분, 지방, 적색도 및 황색도는 수율이 높아지면서 증가하는 경향성이 있었으나, 명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제분 수율에 따른 밀가루의 용매보유능은 밀가루라 할 수 있는 Y70까지는 기존에 보고된 우리밀 중력 밀가루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밀분과 밀기울이 첨가되는 Y75부터는 용매보유능이 능가하여 밀가루의 품질이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밀가루의 점도 특성은 밀분이 혼합되기 시작하는 Y75부터 최고점도와 최저점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특성은 밀가루 반죽 및 제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에 밀분과 밀기울이 첨가된 수율 75% 이상의 시료에서는 setback 값이 낮아져 노화 억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에 따른 상변이 특성은 호화개시온도, 호화최고온도, 최종온도에서 제분 수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상변화에 필요한 열량은 4.82(Y90)~7.59(Y60) J/g으로 시료 간에 유의차가 있었으나(P<0.05), 일정한 증가 또는 감소의 형태가 나타나지 않았다. 미생물 분석에서는 제분 수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있었으나(P<0.05), 제분 수율의 증가 또는 감소와 연관되는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총균수는 2.76~3.95 log CFU/g, 곰팡이수는 2.83~ 3.36 log CFU/g, 효모수는 Y60과 Y65에서 발견되지 않았으나, 그 외의 시료에서는 2.48~2.70 log CFU/g이 측정되었다. DPPH 활성은 Y60에서 2.48%였으며, 제분 수율이 높아지면서 Y95에서 10.91%로 증가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Y60에서 3.24 mg GAE/g에서 제분 수율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Y80에서 5.22 mg GAE/g으로 가장 높았다. 금강밀의 제분 수율에 따른 밀가루의 품질은 clear 밀가루의 첨가에 따라서는 변화가 없으나 밀분 및 밀기울의 첨가에 따라 품질이 급격히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품질의 밀가루 생산을 위해서는 B1~R3 단계에서 생성되는 straight 밀가루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최고의 수율과 적절한 품질을 위해서는 straight 밀가루에 부산물에서 걸려 나오는 clear flour를 더해서 밀가루를 생산하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松毬果와 海松毬果의 精油成分 比較硏究

        金相淑,高英秀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1990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9

        The essential oils of the pine and pinenut cone were isolated using water distillation method to determine flavor compounds. They were dilluted with ethylether before they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GC). Among the flavor compounds from the pine cone, terpineol(39.11%) was predominant along with α-pinene(23.78%), β-pinene(20.08%), myrcene(13.01%) and camphene(4.02%) in decreasing order. In the pinenut cone, limonene(55.57% ) was the most and α-pinene(25.49%), β-pinene(8.09%), myrcene(7.22%) and camphene(0.35% ) were follow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kinds and levels of the compound in two cones were similar except the major ones. To examine the edibility of the oily component from the pine and pinenut cone, the petroleum ethersoluble component was methylated and analyzed by GC. In the pine cone, △8 (9) -isopimaric acid (26.09%), abietic acid (22.77%), palustric acid (14.88%) which are resin acids formed the major proportion. Some fatty acids were also found ; C18:2 (8.18%), C18:1 (4.93%), and C18:0 (3.25%). In the pinenut cone, major components were △8 (9) -isopimaric acid (23.39%), abietic acid(21.52%), palustric acid(10.08%) which are resin acids. Fatty acids were C16:1(4.37%) C18:2 (4.27%), C18:1 (4.09%), and C18:3 (2.74%). The analysis indicated these two cones had practically the same composition. The proportion of fatty acids were lower than that of resin acids The proportion of essential fatty acid, (C18:2) was higher compared to other fatty acids. Total lipids of pine and pinenut cone were analyzed by thinchrograph. In these two cones, major component was triglyceride. In addition, they had same composition in free sterol and polar lipid. Percentage of free fatty acid in pine cone was three times of that in pinenut cone. Considering seasonal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cones, periodic analyses along the year seem to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