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때 바느질실습 수업 경험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과 요구

        김상미,권영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16 1st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of their perceptions and needs on sewing practice class, which had been experienced during their 6th grade elementary school year.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for sewing practice class to be drawn from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 were higher than the median value(3.00). Among the subareas of class evaluation, participation scored the highest average, followed by interest, difficulty, necessity, importance, and utilization. In the entire subareas, girl students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n sewing practice classes than boy students. Secondly, satisfaction with the practice contents has an effect on all subareas of class evaluation. The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learning method has an effect on participation, interest, importance and utilization. Lastly, as for the practice contents, they would prefer household items and ornament, and want to choose sizes freely. As for students’ needs for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which students are allowed to freely make objects or create works through a group activity, it wa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This study showed that practice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 ar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lass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ewing practice class should be conducted freely choosing of practice contents, making the group works, group or student-led activities. If sewing practice class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and students’ needs for class, students’ perceptions on class is expected to change in a positive way. 본 연구는 중학교 1, 2학년 남녀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6학년 때 경험한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과 현재의 요구를알아보고, 중학교 바느질실습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습내용이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값(3.00)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수업 평가의 하위 영역 중참여도가 평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흥미도, 난이도, 필요도, 중요도, 활용도 순이었으며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바느질실습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정교사는 이를 염두에 두고 수업을 설계하거나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의 원인이나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바느질실습 수업 평가에 성별, 실습내용, 교수・학습 방법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가정교사는 성별이나 학년에 상관없이 실습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실습내용을 자유롭게 선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습내용으로 실습하기 위해서는 학생 중심 활동이나 모둠 중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생활용품과 장식품을 만들거나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만들기를 희망하였다. 구상한 것을 자유롭게 만들거나 모둠 활동을 통해 모둠 작품을 만드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요구나 도출한 시사점을 가정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는데 반영한다면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 KCI등재

        4분기 투자효율성과 회계정보의 질

        김상미,한종수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회계정보연구 Vol.33 No.4

        In an efficient capital market, investment opportunities should determine investment decisions of a firm. However, the existence of market friction such as moral hazard and information asymmetry disturbs th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process in the investment decision. Capital budget theories state that managers could choose inefficient investment decision especially before the fiscal year-end. That is because managers have an incentive to exercise managerial discretion to use up the remaining balance of investment budget to ensure that they have a similar or higher budget next year. Therefore, investment efficiency of the fourth quarter can be lower than that of other quarters.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high accounting quality enhances the fourth quarter investment efficiency by reducing market friction such as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s and outside investors. This paper investigates two issues related to the fourth quarter investment efficiency: (1) whether investment efficiency is lower in the fourth quarter than in other quarters, and (2) whether the fourth quarter investment efficiency depends upon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We use McNichols and Stubben(2008) model with Korean listed firms’ quarterly financial data over the period of 2004 and 2010. Our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investment efficiency is lower in the fourth quarter than in other quarters for both the over- and under-investment situations. Second, we find that high quality accounting information reduces the fourth quarter investment inefficiency only in the over-investment situ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high quality accounting information enhances investment efficiency by reducing information asymmetry. These findings, combined together, provide implications to auditors and investors that they may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budget policy and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적정한 자본투자는 기업가치 창출 및 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만약 투자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기업이 부실화되고 기업가치는 하락하게 되기 때문이다. 투자는 투자기회에 따라 적정하게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정보비대칭이나 대리인 문제로 인하여 경영자는 사적이익을 극대화하는 투자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4분기의 투자비효율성이다. 즉, 경영자는 사업연도 종료 전에 사용할 수 있는 예산의 제약이 경영자의 효율적인 투자를 억제하여 4분기의 투자효율성이 다른 분기에 비하여 낮을 수 있다. 그러나 회계정보의 질이 높다면 정보비대칭의 정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비효율적 투자의 발생이 감소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4분기 투자효율성과 함께 회계정보의 질이 4분기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4년부터 2010년까지 유가증권상장법인의 분기별 자료를 McNichols and Stubben(2008)모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4분기의 투자효율성이 다른 분기에 비하여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4분기의 비효율적인 투자는 과잉투자와 과소투자 양 방향에서 모두 발견되었다. 그리고 회계정보의 질이 과잉투자 상황에서 4분기의 투자효율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회계정보의 질이 높을수록 4분기의 과잉투자 경향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회계정보의 질이 높을수록 경영자와 이해관계자간의 정보비대칭을 감소시켜 투자효율성을 증가시킴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면에 회계정보의 질이 과소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소투자로 인한 기업가치의 하락이 장기적이고 무형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점과 과소투자로 인한 영향은 회계적으로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투자효과에 대하여 감사인과 투자자 등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예산정책 및 회계정보의 질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공식기억 창출과 전쟁교육 장치로서의 전쟁기념관 : 전쟁기념관의 전시사진을 중심으로

        김상미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전쟁기념관의 전시사진이 표상하는 한국전쟁의 공식기억이 창출되는 구조를 검토하고, 공식기억을 전승하는 교육적 장치로 기능하는 전쟁기념관의 문화 정치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전쟁기념관에서 한국전쟁에 관한 공식기억이 창출되는 구조가, 전시 사진의 자의적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진 점이라는 사실과, 이 과정에서 개개인의 ‘자전적 기억’이 배제되고 공식적으로는 망각되어 버리는 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전쟁기념관은 사진이라는 매체가 지닌 미디어적 특성과 ‘전시’라는 재생산 양상을 모두 살필 수 있는 공간이며 특히 상설전시관인 6.25전쟁실의 경우 기념관의 건립목적 하에 공식기억을 창출하는 사진과 그에 관련한 디오라마를 ‘선택’하거나 ‘배제’하였다. 전쟁기념관의 사진은 언론매체에서 파편적으로 제시된 이미지보다 연속적이며 집약적으로 제시하여 언론매체에 수록된 사진에 비해 교육적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전쟁기념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목표가 ‘반전’이나 ‘평화’ 혹은 ‘인류애’라는 보편적인 가치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안보’라고 하는 변형된 형태의 전쟁의 논리를 합리화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전쟁기념관은 점차로 다양한 교육방식을 동원하여 국가의 공식기억을 전승하고 있고 그 내용의 중심은 어디까지나 ‘국가안보’에 맞춰져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전쟁 자체의 비극성을 강조하며 전쟁에 대한 비판적 사상이나 반전(反戰)에 관한 내용과는 상반된 것이라 볼 수 있다. 현 시점에서 요구되는 것은 한국전쟁에 대한 단일한 기억이 아니라, 복수의 기억, 복수의 이미지를 표상하는 과정에서 전쟁의 비극과 평화에 대한 가치의 인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전쟁기념관을 ‘대상’으로 삼아 작품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일군의 전후 사진가들의 작업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e where official memories of the Korean War are created by exhibiting wartime photographs in a war memorial museum, and analyzes war memorial museum’s cultural-political meaning that functions as an educational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official memories. While the official memories of the Korean War are arbitrarily ‘selected,’ individuals’ ‘autobiographical memories’ are excluded and some part of memories officially disappear into oblivion. The wartime photographs in the war memorial museum have complex aspects of photograph as medium. It is medium for recording but at the same time artistic works. The war memorial museum is the place where both photographs’ characteristic as media and reproduction of ‘wartime’ can be examin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6.25 permanent exhibition, photographs, which can produce official memories and its diorama, were ‘selected’ or ‘excluded’ based on the museum’s purpose. The photographs in the war memorial museum play a more significant roll than the photographs that are inscribed in the press. While the former provides images in a consecutive and intensive way, the latter provides them as fragments. Education that is provided by the war memorial museum does not emphasize universal values such as ‘anti war,’ ‘peace,’ or ‘humanity.’ Instead, it focuses on rationalizing the transformed logic of war- ‘security.’ In other words, the war memorial museum places priority to ‘national security’ by using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nd passing down national official memories; this is opposite to the critical ideas on war. What needs to be brought an attention is the awareness of the tragedy of war and value of peace, which is able to only by representing multitude memories and images rather than homogeneous memories of the Korean War. In this sense, a group of photographers who target the war memorial museum itself as an ‘object’ should be newly magnified.

      • 매도가능금융자산에 대한 공정가치 서열체계 정보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김상미,한종수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4 No.1

        본 연구는 2011회계연도부터 K-IFRS로의 전환에 따라 확대 적용되는 공정가치 회계의 정보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금융지주, 은행, 증권 및 보험을 포함하는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매도가능금융자산 에 대한 공정가치 서열체계정보의 가치관련성(value-relevance)을 실증 분석한다. K-IFRS는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가치평가기법과 관련된 투입정보의 순위를 정하기 위하여 공정가치 서열체계를 정하였다.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의 활성시장의 공시가격(수준1)에 가장 높은 순위를 부여하고 자산과 부채에 대하여 직·간접적으로 관찰 가능한 시장정보에 의해서 뒷받침되는 투입정보는 수준2로 분류하며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수준3 투입변수)에 가장 낮은 순위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공정가치 서열체계가 낮을수록 관측 가능하지 않은 변수를 이용하여 공정가치가 측정되므로 측정오류 및 경영자의 재량으로 인한 신뢰성 하락을 예측할 수 있다. 동 연구는 위와 같은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특징에 관심을 두고 이에 대한 시장의 차별적 반응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수준 1과 수준2는 양(+)의 가치관련성을 가지는 반면, 수준3은 음(-)의 가치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수준3 측정에 대한 정보비대칭, 측정오류 및 경영자의 재량에 대한 시장의 부정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준3을 평가방법에 따라 구분하거나, 수익률모형에 따라 분석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공정가치 평가를 통한 금융기관의 중요한 감독지표인 자본적 정성 지표 조정에 대한 유인이 있을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시장의 반응에 대하여 검증한 결과, 자본적정성이 낮은 경우, 자본적정성이 증가할수록 수준3에 대한 가치관련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준 3을 이용한 자본적정성 조정가능성에 대하여 시장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urrently, the application of fair-value accounting, which is a major part of K-IFRS, keeps expanding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fair value hierarchy information disclosures by financial institutions are relevant for equity valuation. Especially, this study using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to examine the value relevance of the fair value hierarchy information disclosure is very meaningful research because it can be used in well-timed to accounting standard setters. Under K-IFRS 1113, “Fair value measurement”, companies are required to distinguish between assets and liabilities reported at fair value based on observability of the inputs used in the measurement process; Level1 (observed inputs from quoted prices in active markets), Level2 (indirectly observable inputs from quoted prices of comparable items in active market or other market-related information) and Level3 (unobservable, firm-generated inputs).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rn that fair value of the financial assets not traded in active markets and using unobservable input are too unreliable to be used in financial reporting. We find that coefficients on the Level 3 are consistently lower than those of Level 1 and Level 2, and the coefficient of the Level 3 shows negative and significant. Additional analysis suggests the lower value relevance of Level3. Collectively we concluded that equity investor recognize Level3 information unreliable due to intrinsic measurement error and management-induced error caused by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s and investors. In addition we find evidence that the lower value relevance of Level 3 is deteriorated by increasing the capital adequacy ratio for firms with lower capital adequacy. The results suggests that equity investor suspect the earning management through Level3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capital adequacy ratio for firms with lower capital adequacy ratio.

      • KCI등재

        고의적 자해 입원 환자의 우울증 관련 요인

        김상미,안병기,이현숙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1

        Purpose: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WHO in 2017, the suicide rate of South Korea was ranked 4th in the world. It is urgent for South Korea to establish mental health policy for depression and early detection, in order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uicide attemp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atus of depression among the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with intentional self-harm, furthermore to utilize the current situation as basic data, establishing mental health promotion policy of intentional self-harm patients. Methods: Data was selected from the KNHDIIS(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database which was produced by KCDC(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rom 2014 to 2015. Frequency, chi-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patients with total intentional self-harm and with whom classified in presence or absence of depression. The statistical program, STATA 12.0, was used, with significance level of all analyzes set as 5 percent. Result: Among the total 1,218 patients, 339 patients(27.8%) had depression. As a results of analyzing depression factors: risk factors [financial problems(OR, 4.446, 95% CI. 2.813-7.028), psychiatric problems(OR, 3.984, 95% CI. 2.806-5.656), physical problems(OR, 2.721, 95% CI. 1.571-4.711) and family conflicts(OR, 1.830, 95% CI. 1.217-2.753) than unknown(OR, 1)], gender[female(OR, 1.594, 95% CI. 1.199-2.120) than male(OR, 1)] were significantly higher. While longer length of stay(OR, 1.013, 95% CI. 1.005-1.022), residences [city (OR, 0.571, 95% CI. 0.425-0.767) and country(OR, 0.615, 95% CI. 0.402-0.941) than metropolis(OR, 1), death [yes(OR, 0.406, 95% CI. 0.187-0.882) than no(OR, 1)] were significantly lower.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suicide due to depression, systematic collection is necessary, of information on hospitalized patients after intentional self-harm. Based on the research, the suicide rate can be reduced by establishing the medical support system: high–risk group's advance grasp, continuous treatment, integrated medical service support system, and linkage plan of community-centered. 연구목적 : 2017년 WHO의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자살 사망률은 세계 4위를 차지하였다. 다양한 자살 관련요인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우울로 인한 자살율을 낮추기 위하여 우울증이 있는 환자군과 자살 시도자를 적극적으로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등의 정신건강정책이 시급할 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의적 자해로 입원한 환자 중에서 우울증 현황 및 관련 요인을 살펴 고의적 자해 환자의 정신건강증진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4년부터 2015년까지의 질병관리본부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전체 고의적 자해 입원환자를 우울증 유무로 구분하였고 빈도, 백분율, 교차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TATA 12.0을 이용 하였으며, 모든 분석의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 전체 1,218명의 환자 중 339명(27.8%)에서 우울증이 있었다. 우울증 요인을 분석한 결과, 위험요인이 미상 또는 기타인 경우보다는 재정적 문제(OR, 4.446, 95% CI. 2.813-7.028), 정신적 문제(OR, 3.984, 95% CI. 2.806-5.656), 육체적 질병(OR, 2.721, 95% CI. 1.571-4.711), 가족 구성원과의 갈등(OR, 1.830, 95% CI. 1.217-2.753)이 있을 때, 남자보다는 여자인 경우(OR, 1.594, 95% CI. 1.199-2.120) 우울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우울증이 있는 경우 재원일수(OR, 1.013, 95% CI. 1.005-1.022)가 유의하게 길었다. 그리고, 거주지가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인 경우(OR, 0.571, 95% CI. 0.425-0.767), 군 지역인 경우(OR, 0.615, 95% CI.0.402-0.941), 생존보다는 사망인 경우(OR, 0.406, 95% CI. 0.187-0.882)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울증이 낮았다. 결론 :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을 예방하기 위하여 고의적 자해 시행 후 입원한 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 수집 방안이 수립되어야겠다. 이를 바탕으로 고위험군의 사전 파악 및 지속적 치료를 위한 의료지원체계의 수립 및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의료서비스 지원체계와 연계 방안 등을 수립하여 자살율을 감소시켜야겠다.

      • 근대 과학적 방법과 Descartes, Hume, 그리고 Bentham과 Mill의 윤리학 - Peter Kreeft의 “Being Good And Being Scientific : Can Morality Be a Science?”를 중심으로 -

        김상미 한국의회학회 2020 한국의회학회보 Vol.5 No.1

        윤리학에서 근대과학의 근원이 되고 있는 사상가는 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ò Machiavelli)이다. 그가 사망한 후 새로운 과학적 방법을 윤리학에서 일관성 있게 구 축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17세기의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8세기의 데이 비드 흄(David Hume), 19세기의 제러미 벤덤(Jeremy Bentham)과 존 스튜어트 밀 (J. S. Mill)이다. 이들의 철학은 일반적으로 합리주의, 경험주의, 공리주의로 일컬어지 고 있지만 윤리학에 더욱 확고한 토대를 제시할 필요가 있었던 과학적 방법을 시도 하였다는 점이 공통적이다. 데카르트의 합리주의가 거둔 대표적 성과물이『방법서설』이다. 그는 도덕의 가치를 논하는 윤리학을 모든 학문의 결론에 가져다 놓는 위상을 부여하였지만 도덕 준칙들 인 잠정적 윤리학을 언급하는데 그쳤다. 영국 경험주의를 완성한 흄은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윤리적 관념들을 감정들로 설명 하며 윤리적 감정들이란 느낌들이라고 하였다. 미덕과 악덕의 구별이 이성의 대상인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의 대상인 주관적 사실에 있다고 하였다. 그의 윤리학은 도덕감을 일으키는 원인에 대한 심리학적 설명이 무엇인지 기술하는 것이므로 윤리학을 심리학으로 환원했다는 평가가 있지만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므로 윤리학이 사실적인 것이 아니라고 하여도 사회과학이 될 수 있다. 에피쿠로스주의를 계승한 공리주의는 경험주의에서 발전한 윤리학이자 근대과학의 정신을 추구한다. 벤덤과 밀은 윤리학을 경험적 관찰과 수학적 측정이라는 근대과학 적 방법에 의하여 연구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밀은 선을 행위자 개인의 고유한 행 복이 아니라 모든 사람의 행복이라고 간주하여 도덕적 의무론을 주장하였다. 데카르트, 흄, 벤덤과 밀의 네 철학자들이 제기한 과학적 윤리학은 도덕영역에서도 실천이성이 우리가 따라야 하는 도덕법칙을 스스로 규정한다고 한 임마뉴엘 칸트 (Immanuel Kant)에 의해서 완성되는 길잡이가 되었다. The thinker who is regarded as the root of modern science in ethics is Niccolò Machiavelli. After his death, there were attempts to consistently build new scientific methods in ethics. They are René Descartes in the 17th century, David Hume in the 18th century, Jeremy Bentham and J. S. Mill in the 19th century. Usually, their philosophies are respectively referred to as rationalism, empiricism and utilitarianism, but they are in common that they attempted scientific methods that needed to provide more resolute foundation for ethics. The representative achievement that Descartes' rationalism made is 『Discourse on the Method』. Although he gave the status of bringing ethics from debating the value of morality to the conclusions of all disciplines, it ended up referring to provisional ethics which are moral rules. Hume, who completed the British empiricism, explained that our ethical ideas are emotions, and he called ethical emotions feelings. He asserte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virtue and vice is not based on objective facts that are the object of rationality, but subjective facts that are the object of emotions. As his ethics describes in which way the cause of morality can be explained in the psychological manner, therefore there is an evaluation that he reduced ethics to psychology. However, as he uses scientific methods, there is also an evaluation that even if ethics is not realistic, it can be a social science. Utilitarianism, which inherited Epicureanism, pursues the spirit of modern science as well as ethics developed from empiricism. Bentham and Mill argued that ethics can be investigated by modern scientific methods which are empirical observation and mathematical measurement. Mill also argued the moral deontology, regarding goodness as the happiness of all, not the inherent happiness of each doer. The scientific ethics raised by the four philosophers Descartes, Hume, Bentham and Mill became a guideline, which was completed by Immanuel Kant, who said that the scientific ethics self-defines the moral laws that practical rationality must follow even in the moral rea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