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인두강 낭성 종물로 발현된 제2새열 낭종 1례

        김병하,도남용,조성일,박준희,Kim, Byung Ha,Do, Nam Yong,Cho, Sung Il,Park, Jun Hee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12 大韓氣管食道科學會誌 Vol.18 No.2

        Second branchial cleft cysts are usually present as a fluctuant neck mass along the anterior border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When they are found in this typical location, accurate diagnosis on initial presentation is not difficult. Parapharyngeal presence of the branchial cleft cyst is very rare. We report a case of second branchial cleft cyst presenting as a parapharyngeal cystic mass in 51-year-old male. Before coming to our clinic, the patient had been diagnosed as parapharyngeal abscess, resulting in several attempts at removal. However, symptoms and parapharyngeal abscess recurred. We performed complete surgical resection of the parapharyngeal cystic mass via transoral approach only with oropharyngeal incision. The cystic mass was located in the parapharyngeal space and did not have tract-like structure. Histopathologic examination confirmed that the excised cyst was branchial cleft cyst. Patient discharged without any surgical complication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for 2 years follow-up.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의 정립

        김병하 ( Byung H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의 정립을 위한 현상적 문제와 그 과제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기존의 특수교육이 진단-처방적 교정 모형에 따라 Tyler식 목적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몰두해 오는 동안 장애에 수반된 기능개선 훈련을 곧 교육인 것처럼 착각해 왔다. 따라서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 활동은 장애교정을 위한 부차적인 활동쯤으로 인식 되어 왔다. 특수교육의 재구조화는 교육본질을 복원 하는데 있으며, 교육본질의 복원은 교과를 그 본래의 의미로 되돌려 놓는것으로부터 가능하다. 교육에서 내용이 방법을 규제하지 방법이 내용을 규정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지금까지 특수교육은 특수아동의 장애보상과 그 지도방법에 지나치게 관심을 쏟은 나머지 교과내용을 교과답게 다루는데 상대적으로 무관심 했다. 교과를 교과답게 다루기 위해 특수교사는 그가 가르치는 교과내용에 정통해야 하고, 가르칠 내용에 정통한 교사만이 교과교육을 본래의 의미대로 수행할 수 있다. 바로 이런 관점에서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은 재정립 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오늘의 농교육은 의사소통 기능을 중심으로 한 ‘방법’문제에서부터 교과내용을 교과답게 다루는 ‘내용’문제에로의 패러다임적 전환이 요구된다. This paper is to inquire the present problems and issues of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specially focused on the deaf education. Traditionally, speci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had been controled by the diagnosis-treatment instructional model according to applied Tyler``s model which was the purpose-based curriculum. Reconstructing special education means to reconceptualiz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then the essentiality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is to reconstruct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In priority, the subject contents precede rather than teaching method of the subjects. Basically, the subject contents regulate teaching method on the subjects, but teaching method do not control the contents. Howev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has been focused on the therapeutic activities and teaching methods, and relatively subject``s instruction was implemented as a secondary activities in the curricular managing. Teache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should be establish an authority in their subject``s instruction. To keep highly qualified competency in the subject``s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teacher``s professionality should be demonstrated in teaching the subject contents. In this context, deaf education require a paradigm shift from the method in communication skill to the contents in subject matter.

      • KCI등재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국특수교육의 역할과 쟁점

        김병하 ( Byung H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1

        이 연구는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국특수교육의 역할과 쟁점을 다음 세갈래로 논의하였다. 첫째는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의 역사적 함의를 유럽과 미국중심의 세계화에 대응하는 정족론(鼎足論)의 입장에서 평화의 간절한 메시지로 제기하였다. 그러나 우리에게 동아시아 공동체는 여전히 ‘신화와 현실’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어, 특수교육분야만이라도 동아시아 네트워크 복합체 구축에 적극 기여하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로 동아시아 특수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ㆍ중ㆍ일의 역할과 과제는 서로 다르면서 같다. 21세기의 통합교육 지향시대에 동아시아 3국의 특수교육은 ‘이원적 일원화’(二元的一元化)의 공통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일본은 ‘특별지원교육’ 체제로의 전환을 통해 통합교육에 한 발앞서 있는 반면에, 중국은 분리교육으로서의 특수학교교육과 일반학교 내의 통합교육을 ‘동시발전’ 모형으로 압축해서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이원적 일원화’ 체제로서의 한국특수교육은 일본과 중국의 중간쯤 어디에서 자기 정체성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동아시아 공동체의 무늬를 띤 세계 속의 한국특수교육 정체성 정립을 위해 필자는 ‘화이부동(和而不同), 법고창신(法古創新),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한국특수교육론을 제기하였다. 우리는 이제 남이 알아듣고 읽을 수 있는 담론으로 ‘한국특수교육론’을 동아시아를 비롯한 세계무대에 당당히 발설(發說)해야 한다. This paper presents three critical aspects on the role and issue of Korean special education for building an East-Asian special education community. First, I discuss the historical implications for building an East-Asian community in special education. Particularly, for three different regional areas (Korea, China, and Japan) building an East-Asian community of special education is an important goal to accomplish in the future. One of the key essences is a collaborative work among the three countries throughout sharing partnership for building an East-Asia community network in special education. Second, I discuss about issues on a common focus of the above three countries. It is successfully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Although all three countries’ ultimate goal is accomplishing inclusive education, these countries’ common reality is that special education is still separated from gener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of Japan has been developed by taking a ‘supportive syste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since 2007, which presents a relatively progressive attempt for accomplishing inclusiv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China seems to be in the early stage of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given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educate students with disability in special schools although they also try to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Last, I suggest that we need to establish the discourses of Korean special education based on our tradition, history, and philosophy for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build an East-Asian community of special education. I emphasize that we need to discuss about establishing a ‘Korean special education’ using the discourse in the way that everyone can hear, read, and understand.

      • KCI우수등재

        이조전기에 있어서의 대일남해물산무역 ( 상 )

        김병하 ( Byung Ha Kim ) 한국경제학회 1965 經濟學硏究 Vol.13 No.1

        南海貿易의 解明은 李朝時代에 있어서의 對日貿易의 性格을 究明하는데 있어서 重要하다고 보아 着手한 것이 本稿이다. 本稿의 第一章 蘇木貿易은 日本의 `社會經濟史學會 第33回大會`에서 報告한 것이고 第二章 香藥貿易(胡??貿易을 中心으로 한)은 天理大學에서 있었던 `第16會朝鮮學會大會`에서 報告한 것이다. 따라서 前者와 後者의 內容은 各論的으로 되었으나 本稿에서는 若干 改筆하여 報告當時의 論調를 살려가면서 兩者를 統合하려고 試圖하였다.

      • KCI우수등재

        이조전기에 있어서의 대일남해물산무역 ( 하 )

        김병하 ( Byung Ha Kim ) 한국경제학회 1967 經濟學硏究 Vol.15 No.1

        The present paper is a study of the imortation from Japan to Korea of sapanwood, pepper, and other spices and medicines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During this period, the official trade between Korean and Japan consisted of the Japanese exchanging the special products of South Asia with the Korean government for cloth, cotton goods, rice, beans, and other essential goods. Japan at this time, with the exception of 2 or 3 mineral products, had little to offer in the form of special products which were acceptable to the Korean nobility. Consequently, the Japanese bought sapanwood, pepper, aloes wood, sandalwood, clove, camphor, tin, water buffalo horn, and other goods from the Ryukyu Islands and exported them to Korea. The Ryukyu Islands purchased the above goods on the Malayan Peninsula, Sumatra, Java, and nearby areas and relayed them to the Japanese. When studying the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is perio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goods exported. In this paper I attempted a quantitative analysis, focussing on the change in the demand for some of the above goods in Korea and the change in the supply of these goods from Japan. In particular, large quantities of sapanwood were traded during the 15th century, but this trade was interruped for about 5 years during the 16th century. I have searched for a decline in the trading power of the Ryukyu Islands as the cause of this interruption. As the number of vessels dispatched from the Ryukyus to the Sumatra area decreased, it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pepper and other spices which were even more expensive than sapanwood. Not only did trade increase more in the second half of the 16rh century than in the first, but the price rises vigourously demanded by the Japanese were also probably for this reason. In addition, I have included my theories on the trade route between the Ryukyus and Korea.

      • KCI등재

        농문화와 농학: 그 현상과 과제

        김병하 ( Byung Ha Kim ),박경란 ( Kyung Ran Park ),이정옥 ( Jung Ok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이 연구는 장애학(disability studies)의 입장에서 농문화와 농학(Deaf studies)의 현상과 과제를 밝히기 위해 다음 세 측면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째는 장애학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왜 ‘농학’이 별개로 존재하는가? 둘째는 공학과 의료기술의 개가(凱歌)라 할 수 있는 인공와우이식수술(cochlearimplatation)의 발전과 보급이 왜 농의 정체성 위기를 야기하는가? 셋째는 우리나라에서 농문화와 농학의 현상과 그 정립과제는 무엇인가? 농학의 입장에 의하면 농(deafness)은 결코 장애가 아니다. 농문화의 정체성정립과 더불어 농학에서는 특히 다음 세 측면을 강조한다. 즉, 첫째는 농 프라이드를 앞세워 농(deafness)을 결함으로 보지 않고 또 다른 이상세계로서 소위 Deaf-topia를 지향한다. 둘째로 농인의 고유한 언어권으로서 수어(sign language)를 언어학 내지는 언어사회학적인 측면에서 독자적인 자질과 세력을 지니는 언어로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농인 스스로의 능동적이고 품위 있는 참여에 의한 정치적 세력화로서‘Empowerment’를 강조한다. 최근 기술공학적·의료적 혁신에 힘입어 청각장애영유아에 대한 인공와우이식수술의 급속한 파급은 농문화와 농세계를 향해 심각한 정체성 위기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농학의 입장에서 볼 때 인공와우이식수술은 이 지구상에서 농의 존재를 제거하려는 일종의 신식민주의(neocolonialism)로 인식되고 있다. 이 신식민주의적 파고는 메인스트리밍, 인공와우이식수술, 유전인자의 인위적 수정 등 세 갈래로 엉켜 몰아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농학’은 농과 농신분(deafhood)에 대한 정당한 인식론과 존재론을 정립하기 위해 청세계(hearing-world)를 향한 탈식민주의(decolonialism)운동으로서 농 집산주의(collectivism)를 제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농문화와 농학의 정립은 아직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품위 있는 농문화의 정립을 위해 무엇보다 농인계 내부로부터 소위 ‘Deaf Pride’를 당당히 제기하는 각종 문화 활동이 다양하게 축적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특수교육으로서 농교육은 그 일차적 책임을 절감해야 한다. 농세계(Deaf-World)스스로의 긍정적 자기표현과 더불어 청세계(Hearing-World)의 농인에 대한 공감적이해와 똘레랑스 역시 중요하다. 나아가 정부 차원에서 농문화 정립을 위한 적극적지원과 대학에서 농학에 대한 학제적(學際的)관심이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ree points regarding the issues: (1) Why deaf studies should exist as a special meaningful part of disability studies? (2) Why cochlear implants threaten the identity of deaf people? (3) What is the issues and challenges to construct the deaf culture and deaf studies in South Korea? The deaf culture has formed its own discourses under the Deaf studies before the discourses of disability studies were established. Deaf studies emphasizes the empowerment of the deaf people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a new social movement. Currently, the cochlear impantation threatens the identity of Deaf pride. In this viewpoints, the future of Deaf studies depends on how the ontology of the deafness and the status of the deafhood will be embodied in our society in order to create the collectivism of deaf culture in a positive meaning. This year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education for the deaf in our country, however the identity of the deaf education is not yet clear, and the same goes for the deaf culture and Deaf studies. The reality of the Korean deaf culture is very poor and the level of supports and interests from hearing people are also very low. The primarily effort to build the identity of the deaf culture should be made by the deaf themselves, while the understanding and supports from the hearing people are also very important.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개론」 (1963)에 나타난 이태영(李泰榮)의 특수교육관

        김병하 ( Byung-h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특수교육 교사양성 대학을 설립(1961)하고, 특수교육 전문도서로 최초로「특수교육개론 : 문제아지도」(1963)를 저술한 이태영의 특수교육관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정 저술중심으로 특정인의 ‘특수교육관’을 문제삼는 것은 그것이 우리나라 특수교육학사(特殊敎育學史) 정립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개론」(1963)에 나타난 이태영의 특수교육관을 특수교육 총론, 각론, 그리고 한국특수교육의 과제 등 세 갈래로 나누어 논의하고, 결론에서 이태영의 특수교육관을 총체적으로 논평하면서, 이 저술의 추기(追記)에 나타난 논점을 중심으로 이태영의 특수교육관을 현대적 기준에서 해석하고자 했다. 이태영의 특수교육관에 반영된 ‘장애’에 대한 관점은 전통적으로 의료적.개별적 모델을 반영하고 있으나, 한국 특수교육의 개혁 과제에 대한 이태영의 주장은 40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대단히 크며, 특히 통합교육에 대한 이태영의 구상과 전망은 21세기특수교육의 지향성에 대한 정확한 통찰을 반영하고 있다. 우리는 1960년대초 이태영의「특수교육개론」에 나타난 한 개인의 특수교육관이 당대와 그 이후의 ‘특수교육론’정립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예증(例證)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Rhee, Tae Young``s viewpoint on special education presented in「Education for the Exceptional Children」(1963). Tae Young Rhee established Korea Social Work College in 1961 to prepare teacher of special education, and he published「Education for the Exceptional Children」(1963, Daegu : Jipmoon Printing Company). In this book, Dr Rhee``s viewpoint on disability/handicap were indicated as individual tragedy or medical model. However, Dr Rhee``s viewpoint on integrative education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y were indicated full inclusion by school restructuring for all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