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Pepsin으로 수식된 정어리 myofibrillar protein의 특성

        김병묵,김병열,Kim, Byung-Mook,Kim, Byung-Ryul 한국식품과학회 199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26 No.2

        효소적수식에 따른 정어리 myofibrillar protein의 특성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1/100량의 pepsin으로 $37^{\circ}C$. pH 1.65에서 각각 1, 4, 8, 12, 24시간 부분가수분해시킨 후 단백질의 물리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정어리 myofibrillar protein은 pepsin에 의하여 가수분해 1시간까지는 직선적으로 가수분해율이 증가되어 약 30%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고 가수분해 4시간에는 약 40%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에는 더 이상 가수분해되지 않아 가수분해 24시간에도 가수분해율은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전기영동상은 분자량 40,000정도의 굵은 band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고 비교적 분자량이 큰 것으로 보이는 상층부의 몇몇 엷은 band와 분자량이 작은 하층부의 band가 가수분해가 진행되면서 소실되었다. 중간부위에 위치하는 몇몇 엷은 band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나면서 하나로 뭉쳐지는 듯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Gel여과 pattern은 두개의 큰 peak와 세개의 작은 peak를 나타내 주고 있는데 가수분해 1시간에 작은 peak는 모두 사라지고 앞쪽의 큰 peak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작아지고 뒷쪽의 큰 peak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약간씩 뒤로 밀려가는 경항을 나타내었다. 유화활성과 유화용량은 pepsin 가수분해에 의하여 모두 감소되었으며 특히 유화용량은 가수분해 시간이 경과되면서 현저히 감소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약 59%로 저하되었다. 유화활성은 가수분해기간중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아 가수분해 24시간에도 약 94%의 유화활성이 유지되었다. 기포력은 크게 증가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대조구의 1.9배나 증가되었다. 거품안 정성은 반대로 감소되어 가수분해 8시간에는 약 0.6배로 감소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다시 증가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약 0.8배로 감소율이 둔화되었다. 열응고성은 pepsin수식에 의하여 0.55 내지 0.69배로 감소되었으며 점도는 가수분해시간이 길어지면서 점차 증대되어 가수분해 24시간에는 약 1.36배 증대되었다. 흡수율은 현저히 떨어져 가수분해 1시간에 약 0.32배로 감소되었고 용해도는 현저히 커져 가수분해 1시간에 약 1.46배로 증대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흡수율이나 용해도 모두 더 이상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용해도의 pH의존성은, pH 5와 9부근에서 다소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었으며 pepsin수식에 의하여 이러한 경향은 가수분해 초기인 1시간에는 더욱 뚜렸이 나타났다가 가수분해 후기인 24시간에는 크게 둔화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enzyme modification on the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myofibrillar protein prepared from the frozen sardine, Sardinops melanostica, the protein was hydrolyzed with pepsin under the enzyme-substrate ratio 1:100 at $37^{\circ}C$ and pH 1.65 for 1, 4, 8, 12, and 24 hr, respectively. The properties of pepsin-modified sardine myofibriliar protein were determined. The extents of proteolysis with pepsin as a fuction of time was showed a typical enzyme hydorlysis curve with an initial region of 4 hour period followed by plateau region. The SDS-acrylamide slab gel electrophoresis patterns of pepsin-modified proteins showed mainly disappearances of minor protein bands, but no changes of main protein bands. The gel filtration patterns through Sephadex G-75 of sardine myofibrillar protein showed two big peaks and three small peaks. All the small peaks were disappearanced by proteolysis with pepsin in one hour. and during the period of proteolysis the fast big peak became gradually smaller and the late big peak eluted more slowly. By proteolysis, the emulsifying activity and emulsifying capacity of sardine myofibrillar protein were all decreased. The effects of pepsin-modification on emulsifying capacity were greater than those on emulsifying activity of protein. The aeration capacity of the protein was increased about 1.9 folds and the foam stability decreased to 0.6 folds of control by pepsin-modification. The pepsin-modified sardine myofibrillar proteins showed about 0.6 folds of heat coagulation and 1.4 folds of viscosity of control. The pH dependence of solubilities of sardine myofibrillar protein showed two isoelectric areas of pH 5 and 9. The pepsin-modified protein showed more clear pH dependences at the early stage but not at the late stage of proteolysis.

      • SCOPUSKCI등재

        고려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중의 조(組) $\beta$-amylase의 분리와 그 성질

        김병묵,Kim, Byung-Mook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4

        고려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중의 $\beta$-amylase를 연구하기 위하여 조(粗)인삼 $\beta$-amylase 를 분리한 후 그의 성질을 조사하였다. 조인삼 $\beta$-amylase는 ammonium sulfate 0.2$\sim$0.6포화분획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조제되었다. 조제된 본 효소는 전형적인 $\beta$-amylase의 작용을 하여 starch에서 maltose만을 생산하였으며 maltase의 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본 효소는 pH5$\sim$9(특히 pH7$\sim$8), $40^{\circ}C$ 이하의 조건하에서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최적pH 5.0, 최적온도 $35^{\circ}C$를 나타내었다. 본 호소는 기질(starch)농도 l2mg% 이하에서 기질농도에 비례하여 호소활성이 증가하였으며 Km치는 4.76mg%이었다. 또 본 효소는 $K^{+}$, $Na^{+}$, $An^{++}$,$Ca^{++}$, $Co^{++}$,$Mn^{++}$ $Zn^{++}$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Ag^{+}$, $Hg^{++}$,$Cd^{++}$, $Cu^{++}$,$ Al^{3+}$, and $Fe^{3+}$ 등에는 현저한 저해를 받았다. Curde $\beta$-amylase was prepared by frationation of the water extracts from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ith 0.2-0.6 saturation of ammonium sulfate. The enzyme showed the typical properties of $\beta$-amylase, producing only maltase from starch. The enzyme preparation also showed no maltase activity. The enzyme was stable at the pH 5-9 and at the temperature below $40^{\circ}C$. The enzyme showed the optimum pH at 5.0 and the optimum temperature at $35^{\circ}C$. Its activities had proportional relations with substrate concentration below 12 mg%, showing Km V slues of 4.76 mg%. The enzyme was inhibited by $Ag^{+}$, $Hg^{++}$, $Cd^{++}$, $Cu^{++}$,$ Al^{3+}$, and $Fe^{3+}$.

      • SCOPUSKCI등재

        고려인삼 중의 인베르타아제에 관한 연구 -제 2 보 : 인삼 인베르타아제의 정제와 물리화학적 성질-

        김병묵,채수규,Kim, Byung-Mook,Chae, Soo-Kyou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8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4 No.1

        고려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중의 인베르타아제(invertase)를 연구하기 위하여 조(粗)인삼 인베르타아제를 분리 조제한 후 DEAE-cellulose 관크로마트 그래피, Sephadex G-75를 통한 젤 여과 등의 방법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인베르타아제는 specific activity가 조(粗)인베르타아제에 비해 64.7배 증가되었으며 효소활성의 recovery는 약 19.5%였다. 정제된 인베르타아제는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에 의해 균일성(homogeneous)을 나타내었고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에서는 2개의 subunits로 분리되었다. 두 subunits의 분자량은 각각 28,000과 20,000이었고 따라서 인삼 인베르타아제의 분자량은 48,000으로 계산되었다. 정제된 인베르타아제는 전형적인 단백질의 UV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An invertase from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ayer) was purified by means of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and gel-filtration through Sephadex G-75. The homogeneity of the purified invertase was proved by polyacrylamide gel disc electrophoresis. The enzyme was separated into two subunits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howing its molecular weights as 48,000. The enzyme preparation showed a characteristic protein UV-spectra.

      • 트랙터 장착형 일관작업 둥근두둑 복합기의 PTO 토크 및 견인력 특성분석

        김병묵 ( Byung Mook Kim ),구영모 ( Young Mo Ko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최근 농산물 수입개방과 ‘로컬푸드’ 선호 추세에 따라 밭농업의 경쟁력을 증대하기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 수행되었던 견인력에 관한 연구들은 조방농업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집약농업이 중심인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지 않는 측면이 있다. 집약농업 생력화를 위하여 기존의 농작업 기계들을 하나로 합일시켜 농작업을 일관 수행할 수 있게 복합작업기를 고안하였고 특성분석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둥근 두둑 복합기를 장착한 트랙터의 포장 실험을 통해서 측정된 견인력과 PTO 토크를 분석하고 집약농업에 있어서 밭농업의 특성을 분석하여 운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견인동력계를 이용하여 6분력을 측정하여 모멘트를 분석하고, 트랙터의 PTO 축에 토크미터를 설치하였다. 실험은 PTO회전속도(RPM), 기어단수에 따른 주행속도(SPD), 경심(DEP)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여 각 3회 반복수행(REP)하였으며 같은 실험을 2회 반복(SET)하였다. 견인력은 경심에 유의하였고, PTO 토크는 PTO회전속도, 주행속도, 경심에 유의하였다. 견인력은 경심이 깊어질수록 커졌으며, PTO 토크는 PTO회전수, 경심, 기어단수가 증가할수록 커졌다. 경운피치와 비견인력, 비토크는 지수함수 관계에 있으며 비견인력 경운피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비토크는 증가하였다. 수직력과 연관된 후륜반력이 모두 경심에 대하여 유의하였고 경심의 증가에 따라 후륜반력은 감소하였다. 후륜반력과 슬립의 회귀선은 감소 지수함수를 보였다. 후륜축의 총 반력을 2700kgf 정도까지 감경하면 슬립을 적정수준인 15% 내외로 유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현실적인 제언으로 전방 평형추의 중량을 증가시켜 후륜반력을 경감하거나, 구동륜의 반력을 줄이기 위해서 카테고리 1급 트랙터로 복합기를 운영할 수 있다. 이때는 정적 후방전도의 안정성을 위하여 전방버켓을 평형추(ballast)의 역할로 대치할 수 있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트랙터 장착형 일관작업 둥근두둑 복합기의 동력 및 연료소비특성

        김병묵 ( Byung Mook Kim ),구영모 ( Young Mo Ko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최근 농산물 수입개방과 ‘로컬푸드’ 선호 추세에 따라 경쟁력을 증대하기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집약농업 생력화를 위하여 기존의 농작업 기계들을 하나로 합일시켜 농작업을 일관 수행할 수 있게 복합작업기를 고안하였고 특성분석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요동력과 연료소비의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로터리를 기본으로 한 복합작업기의 집약 밭농업에서의 효율적인 작업 운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포장 실험은 PTO회전속도(RPM), 기어단수에 따른 주행속도(SPD), 경심(DEP)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여 각 3회 반복수행(REP)하였으며 같은 실험을 2회 반복(SET)하였으며 견인력과 주행속도, PTO회전속도, 토크 및 연료소모량을 측정하였으며 소요동력은 견인동력, PTO동력, 구동륜의 축동력의 합으로 계산하였다. 견인동력은 작업속도가 빨라질수록 증가하였고. PTO 동력은 회전속도와 주행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PTO 동력이 증가하였다. 축동력은 견인동력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소요동력은 PTO 동력의 경향과 유사하였으며 PTO동력이 소요동력의 60-80%를 구성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비체적 연료소비율(Specific volumetric fuel consumption)은 경심이 깊어질수록, PTO 회전속도가 빠를 수록, 주행속도가 빠를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소요동력의 증가율이 연료 소비량의 증가율보다 크기 때문에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트랙터의 최저 비체적 연료소비율은 0.31L/kWh 수준으로 최대 동력의 0.72일때로 판단되며 포장실험에서는 작업기의 무게로 인한 정적 후방전도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Category Ⅱ 트랙터를 사용하여 최대 출력의 0.5-0.6수준으로 나타났다. Category Ⅰ 트랙터를 사용하여 연료의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트랙터 전면 평형추(ballast)로서 전방 버킷 로더를 장착하여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