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처리 및 단조조건에 따른 알루미늄 6056 소재의 특성변화 및 자동차의 피스톤 블록 설계

        김민석,정병덕,박효영,최정묵,김정민,박준식,Kim, Min Seok,Jung, Hyung Duck,Park, Hyo young,Choi, Jeong Mook,Kim, Jeong Min,Park, Joon Sik 한국재료학회 2015 한국재료학회지 Vol.25 No.10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s of Aluminum 6056 alloy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use in the fabrication of a piton block. The EN-AW6056 alloys exhibited a tensile strength of 375 MPa for a solution treatment temperature of $550^{\circ}C$ for 2 h followed by an aging treatment at $190^{\circ}C$ for 4 h. The microstructures of the heat treated specimen showed that the $Mg_2Si$ phase with a size of 3~5 um was dispersed throughout the aluminum matrix when the heat treatment was done. Moreover, in order to identify the forgeability of the specimen, upsetting tests were done. For up to 80 % of the upsetting ratio, the specimen maintained its original shape, and at above 80 % of the upsetting ratio, the specimen underwent crack development. The specimen was successfully forged without any defects with the examined material conditions. The material conditions together with the forging condi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 KCI등재

        복시환자의 임상양상

        김민석,최진,김정훈,김재석,이주화,Min Seok Kim,Jin Choi,Jung Hoon Kim,Jae Suk Kim,Joo Hwa Lee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11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causes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diplopia. Methods: All patients presenting with diplopia from October 2010 to March 2012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3 months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59 patients with diplopia were identified. There were 42 males and 17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50 years. Binocular diplopia accounted for 54 cases (92%) and 5 cases (8%) had monocular diplopia. Cranial nerve palsies were the most common cause of binocular diplopia (28 cases, 52%). Within the cranial nerve palsies group, 14 cases (50%) were accompanied by hypertension or diabetes mellitus. Binocular diplopia spontaneously resolved in 35 cases (65%) by 3 months rising to 41 cases (76%) by 7 months. Thirteen (93%) out of 14 cases of cranial nerve palsies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resolved spontaneously by 3 months. Conclusions: Binocular diplopia was caused most commonly by cranial nerve palsy and resolved after 3 months in 65% of patients. A spontaneous recovery from diplopia was observed after 3 months in 93% of patients with cranial nerve palsies and microvascular disease such as hypertension or diabetes. Therefore, the initial observation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would be sufficient in these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11):1772-1777

      • KCI등재

        강우의 시간해상도와 자료기간에 따른 설계홍수량의 변동성

        김민석,이정환,문영일,Kim, Min-Seok,Lee, Jung-Hwan,Moon, Young-Il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7

        대부분의 수문분석은 시 단위 강우를 기반으로 확률강우량과 강우시간분포를 산정하고, 확률강우량과 강우시간분포의 자료기간을 달리 적용하는 방법으로 강우-유출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형태(시 단위와 분 단위 강우자료)와 확률강우량과 강우시간분포의 다른 자료기간 적용에 따른 설계홍수량 변화를 정량화 하고자, 자료형태와 자료기간에 따라 지점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 산정과 Huff의 4분위 방법을 통한 강우시간분포를 산정하였다. 또한, 확률강우량과 설계강우 시간분포의 자료기간을 달리 적용한 강우-유출분석으로 설계홍수량 변동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료형태에서는 분 단위 강우가 시 단위 강우보다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인 강우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확률 강우량과 강우시간분포의 다른 자료기간을 적용하여 산정된 설계홍수량의 차 보다 자료형식에 따른 설계홍수량 결과가 보다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분 단위 강우를 활용한 수문분석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Most hydrological analysis such as probability rainfall and rainfall time distributions have typically carried out based on hourly rainfall and rainfall - runoff analysis have carried out by applying different periods of rainfall time distribution and probability rainfall. In this study, to quantify the change of design flood due to the data type (hourly and minutely rainfall data) and the probability rainfall and application of different data period to the rainfall time distribution, probability rainfall is calculated by point frequency analysis according to data type and period and rainfall time distribution was calculated by Huff's quartile distributions. In addition, the change analysis of design flood was carried out by rainfall - runoff analysis applying different data periods of design rainfall time distribution. and probability rainfall. As a result, rainfall analysis using minute rainfall data was more accurate and effective than using hourly rainfall data. And the design flood calculated by applying different data period of rainfall time distribution and probability rainfall made a large difference than by applying different data type.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hydrological analysis using minutely rainfall.

      • KCI등재

        대규모 자유도 문제의 구조해석을 위한 병렬 알고리즘

        김민석,이지호,Kim, Min-Seok,Lee, Jee-Ho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3 No.5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자유도 시스템의 병렬처리를 위하여 2단계로 이루어진 영역분할법(Domain Decomposition Method) 기반의 병렬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분할된 영역의 내부 및 외부 경계를 상위영역문제로 정의하고 국부영역문제는 변위 경계조건이 모두 주어지는 분할영역에서의 Dirichlet 문제로 구성한다. 상위영역에서는 전체 상위영역에 대한 강성 행렬의 어셈블이 필요없는 반복법을 통하여 변위를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부영역에서 Multi-Frontal Sparse Solver (MFSS)를 이용하여 변위를 계산한다. 상위영역문제의 연산에서 프로세서 간의 데이터 교환을 최소화하여 계산효율을 유지하며, 동시에 해석 가능한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병렬 PCG(Preconditioned Conjugate Gradient)법 기반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 프로세서 수가 증가할수록 계산성능의 손실없이 해석 가능한 자유도가 비례하여 증가하는 선형 확장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대규모 자유도 문제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n efficient two-level parallel domain decomposition algorithm is suggested to solve large-DOF structural problems. Each subdomain is composed of the coarse problem and local problem. In the coarse problem, displacements at coarse nodes are computed by the iterative method that does not need to assemble a stiffness matrix for the whole coarse problem. Then displacements at local nodes are computed by Multi-Frontal Sparse Solver. A parallel version of PCG(Preconditioned Conjugate Gradient Method) is developed to solve the coarse problem iteratively, which minimizes the data communication amount between processors to increase the possible problem DOF size while maintaining the computational efficiency.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suggested algorithm provides scalability on computing performance and an efficient approach to solve large-DOF structural problems.

      • KCI등재

        소유역에서의 토사유출 산정을 위한 GeoWEPP model과 USLE의 비교.적용 연구 - 이천시 단월동 유역을 사례로

        김민석,김진관,양동윤,Kim, Min-Seok,Kim, Jin-Kwan,Yang, Dong-Yo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 자원환경지질 Vol.40 No.1

        GIS와 연계시켜 만든 분산형 모델의 대표적인 경험식인 USLE model과 물리학기반의 GeoWEPP model을 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한 소유역에 적용하여 2004년 1월에서 2005년 1월까지 1년간의 토사유출량을 비교하였다. 연구기간동안의 유출된 토사량은 실제관측결과 270.54 ton, USLE 모델 적용 시 358.1 ton, 그리고 GeoWEPP 모델 적용 시 283.30 ton으로 각각 산출되었다. 각각의 모델을 적용한 산출량은 실제 산출량보다 과대하게 산출되었으며, 산출결과만을 볼 때, GeoWEPP 모델을 적용한 토사유출량이 USLE 적용 산출량 보다 관측량에 더 근사한 산출량을 보였다. 모델 적용 산출량이 과대산출 된 원인으로는 실험웨어를 월류하여 빠져나간 부유물에 대한 양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The empirical USLE and the physically-based GeoWEPP which were distributed model linked with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were applied to small natural catchment located in Icheon-si, Gyeonggi-do, South Korea. The results using by two models were total sediment yield from study catchment between January, 2004 and January, 2005. During the study period, the observed total sediment yield was 270.54 ton and the total sediment yield computed by USLE and GeoWEPP model were 358.1 ton and 283.30 ton, respectively. Each of results computed by USLE and GeoWEPP overestimated more than the observed total sediment yield, but, based on the results, the total sediment yield computed by GeoWEPP approximated to the observed result. We suggest that the reason why the total sediment yield using by models overestimated was that computed amounts by two models did not contain the amount of suspended sediment flowed over the weir.

      • KCI등재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한 샥-하트만 파면 센서의 측정범위 확장에 대한 연구

        김민석,김지연,엄태경,윤성기,이준호,Kim, Min-Seok,Kim, Ji-Yeon,Uhm, Tae-Kyung,Youn, Sung-Kie,Lee, Jun-Ho 한국광학회 2007 한국광학회지 Vol.18 No.6

        샥-하트만 센서는 렌즐릿 배열을 이용하여 파면의 국부적인 기지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파면의 왜곡된 정도를 측정하는 파면측정 센서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점영상에 대한 중심점을 추출하여 기준 점영상의 중심점에 대한 상대적 이동량을 통해 파면의 국부 기울기를 계산, 전체 파면을 복원하는 원리이다. 따라서 하나의 점영상에 대한 정확한 중심점의 추출을 위하여 해당하는 하부개구 내에 점영상이 존재하여야 한다. 하지만 큰 기울기의 파면이 샥-하트만 센서에 입사하게 되면 측정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파면의 국부적인 기울기를 계산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 측정시스템에만 국한된 알고리즘이 아닌 모든 파면에 대해 측정 가능하면서도 추가적인 장비 없이 일반적인 샥-하트만 파면 센서가 지니고 있는 측정범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각 점영상에 대한 유동적인 탐색영역을 설정하고 이러한 탐색영역 내에서 중심점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 점영상 대응법을 적용하여 측정 점영상과 기준 점영상을 일대일 대응시킴으로써 전체 측정파면을 복원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함으로써 측정범위에 제한 없이 파면왜곡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안된 알고리즘을 샥-하트만 파면 센서 시스템을 이용한 초점벗어남 측정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The Shack-Hartmann wavefront sensor is composed of a lenslet array generating the spot images from which local slope is calculated and overall wavefront is measured. Generally the principle of wavefront reconstruction is that the spot centroid of each lenslet array is calculated from pixel intensity values in its subaperture, and then overall wavefront is reconstructed by the local slope of the wavefront obtained by deviations from reference positions. Hence the spot image of each lenslet array has to remain in its subaperture for exact measurement of the wavefront. However the spot of each lenslet array deviates from its subaperture area when a wavefront with large local slopes enters the Shack-Hartmann sensor.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spot image searching method that finds the area of each measured spot image flexibly and determines the centroid of each spot in its area Also the algorithms that match these centroids to their reference points unequivocally, even if some of them are situated off the allocated subaperture, are proposed. Finally we verify the proposed algorithm with the test of a defocus measurement through experimental setup for the Shack-Hartmann wavefront sensor. It has been show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expand the dynamic range without additional devices.

      • KCI등재

        심층신경망 구조에 따른 구개인두부전증 환자 음성 인식 향상 연구

        김민석,정재희,정보경,윤기무,배아라,김우일,Kim, Min-seok,Jung, Jae-hee,Jung, Bo-kyung,Yoon, Ki-mu,Bae, Ara,Kim, Wooil 한국음향학회 2019 韓國音響學會誌 Vol.38 No.6

        본 논문에서는 구개인두부전증(VeloPharyngeal Insufficiency, VPI) 환자의 음성을 효과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컨볼루션 신경망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장단기 모델(Long Short Term Memory, LSTM) 구조 신경망을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HMM)과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의 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축하고 모델 적응 기법을 적용하여, 기존 Gaussian Mixture Model(GMM-HMM), 완전 연결형 Deep Neural Network(DNN-HMM) 기반의 음성 인식 시스템과 성능을 비교한다. 정상인 화자가 PBW452단어를 발화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기 모델을 학습하고 정상인 화자의 VPI 모의 음성을 이용하여 화자 적응의 사전 모델을 생성한 후에 VPI 환자들의 음성으로 추가 적응 학습을 진행한다. VPI환자의 화자 적응 시에 CNN-HMM 기반 모델에서는 일부층만 적응 학습하고, LSTM-HMM 기반 모델의 경우에는 드롭 아웃 규제기법을 적용하여 성능을 관찰한 결과 기존 완전 연결형 DNN-HMM 인식기보다 3.68 % 향상된 음성 인식 성능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LSTM-HMM 기반의 하이브리드 음성 인식 기법이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려운 VPI 환자 음성에 대해 보다 향상된 인식률의 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This paper proposes speech recognition systems employ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Long Short Term Memory (LSTM) structures combined with Hidden Markov Moldel (HMM)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speech of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VPI) patients, and compares the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systems to the Gaussian Mixture Model (GMM-HMM) and fully-connected Deep Neural Network (DNNHMM) based speech recognition systems. In this paper, the initial model is trained using normal speakers' speech and simulated VPI speech is used for generating a prior model for speaker adaptation. For VPI speaker adaptation, selected layers are trained in the CNN-HMM based model, and dropout regulatory technique is applied in the LSTM-HMM based model, showing 3.68 % improvement in recognition accuracy.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LSTM-HMM-based speech recognition system is effective for VPI speech with small-sized speech data, compared to conventional GMM-HMM and fully-connected DNN-HMM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