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미정,Kim, Mijeong 한국통계학회 2017 응용통계연구 Vol.30 No.5
이진 데이터는 일상 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데이터이다. 이진 데이터를 회귀 분석하는 방법으로 로지스틱(Logistic), 프로빗(Probit), Cauchit, Complementary log-log 모형이 주로 쓰이는데, 이 방법 이외에도 Liu(2004)가 제시한 t 분포를 이용한 로빗(Robit) 모형, Kim 등 (2008)에서 제시한 일반화 t-link 모형을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유연한 분포를 이용하면 유연한 회귀 모형이 가능해지는 점에 착안하여, 이 논문에서는 Theodossiou(1998)에서 제시된 기운 일반화 t 분포 (Skewed Generalized t Distribution)의 이용하여 우도 함수를 최대로 하는 이진 데이터 회귀 모형을 소개한다. 기운 일반화 t 분포를 R glm 함수, R sgt 패키지를 연결하여 이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R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 피마 인디언(Pima Indian) 데이터를 분석한다.
김미정,Kim, Mijeong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7
경쟁위험에 대한 연구 중 주로 쓰이는 방법은 Cause-specific 위험 모형과 subdistribution을 이용한 비례 위험 모형 방법이다. 그 이후에도 많은 모형이 제시되었지만, 추정 방법 면에서 설명력이 부족하거나 알고리즘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잘 활용되고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Cause-specific 위험 모형, subdistribution을 이용한 비례 위험 모형과 비교적 최근에 제시된 이항 회귀 모형(direct binomial model), 절대 위험 회귀 모형(absolute risk regression model), Eriksson 등 (2015)의 비례 오즈 모형(proportional odds model)을 소개하고 추정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각 모형에 대하여 SAS와 R을 이용한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 두 가지 경쟁위험이 존재하는 데이터를 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계열 자료에서 불변하는 인과성 탐색: 원-달러 환율 데이터에 적용
김미정,Kim, Mijeong 한국통계학회 2021 응용통계연구 Vol.34 No.5
Evaluating or predicting the effectiveness of economic policies is an important issue,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n economic variable which causes a significant result because there are numerous variables that cannot be taken into account. A randomized controlled experiment is the best way to investigate causality, but it is not realistically possible to control through randomization and intervention in time series data such as macroeconomic data. Although some analysi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find causality, the methods such as Granger causality method and Chow test are insufficient to explain causality. Recently, Pfister et al. (2019) proposed invariant causal prediction methods which can be applicable in time series data.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method of Pfister et al. (2019) and use the method to find macroeconomic variables invariantly affecting the won-dollar exchange rate.
김미정,Kim, Mijeong 한국통계학회 2015 응용통계연구 Vol.28 No.6
Logistic models with a random intercept are useful to analyze longitudinal binary data. Traditionally, the random intercept of the logistic model is assumed to be parametric (such as normal distribution) and is also assumed to be independent to variables. Such assumptions are very strong and restricted for application to real data. Recently, Garcia and Ma (2015) derived semiparametric efficient estimators for logistic model with a random intercept without these assumptions. Their estimator shows the consistency where we do not assume any parametric form for the random intercept. In addition, the method is computationally simple. In this paper, we apply this method to analyze toenail infection data. We compare the semiparametric estimator with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penalized quasi-likelihood estimator and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estimator.
김미정,Kim, Mijeong 한국통계학회 2022 응용통계연구 Vol.35 No.5
함수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수집되고 있으며, 집단 간의 함수 데이터를 비교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럴 경우 점별 분산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통합된 결과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제안되었으며, 최근에 R 패키지 fdANOVA로 구현되었다. 이 논문에서 우선 분산분석 및 다변량 분산분석을 설명하고, 최근에 제안된 다양한 단변량 및 다변량 함수 데이터 분산분석을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R 패키지 fdANOVA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고, 이 패키지를 이용하여 서울과 부산 지역의 주별 기온을 단변량 함수 데이터 분산분석을 통해 비교하고, 손글씨 이미지를 다변량 함수 데이터로 변환하여 다변량 함수 데이터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김용준(金瑢俊, 1904-1967)의 월북 이후 활동과 회화 연구
김미정(Kim Mijeo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9 No.-
1950년에 월북했던 김용준은 1950-60년대 북한미술계의 중심부에서 사회주의 사실주의 민족미술의 형식으로서 조선화를 내세우며, 조선화의 형식을 개변(改變)하고자 했다. 1950년대 중반 ‘조선화’라는 용어의 사용을 미술계에 제기했던 그는 과학원 소속의 연구자로서 고구려 고분벽화와 김홍도 등의 미술사 연구를 진행하며 그 성과를 집약해 연구서들을 출간했다. 월북 직후에는 북한 미술계의 동향에 따라 사회주의 사실주의 유화를 창작했지만, 1950년대 중반 조선화 화가로 다시 전향했다. 조선화 화가로서 각종 전람회에 출품했던 1950년대 중 · 후반 그의 작품들은 인물 · 풍경 · 화조 등 다양한 소재로 필획이 살아있는 수묵담채 화풍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1957년 조선화분과 위원장으로 선출된 후, 그는 〈춤〉으로 《세계청년학생축전》에서 1위를 수상함으로써 북한회화의 위상을 높였다. 김용준은 1960년 이후 채색화 담론의 장에서 조선화 화가들에게 다양한 채색을 구사해 조선화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키기를 독려했고, 이에 발맞춰 조선화에 적용시킬 창작기법과 채색기법을 이론으로 재정리했다. 아울러 조선화 화가들에게 요구되었던 천리마 시대에 걸맞은 ‘현실의 약동하는 기상’과 ‘혁명투사들의 투쟁 장면’을 주제로 채택해 채색화로 그려내면서 미술계의 변화에 부응했다. 그러나 조선화의 형식이 ‘몰골 진채’로 이양되어 가는 과정에서도 김용준은 화조화 분야에서 만큼은 전통 수묵화의 사의성을 화폭에 담아내고자 했다. 즉, 김용준은 당시 미술 형식의 변화에 부응하면서도 월북 이전부터 추구해왔던 필획과 먹색의 조화를 근간으로 하는 전통 문인화풍을 완전히 내려놓지 않았던 것이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reviewed his writings and paintings by using North Korean literature to show concretely what he did after Kim Yong-jun moved to North Korea. He moved to North Korea in 1950 and tried to change the form of Joseonhwa(朝鮮畵) by emphasizing Joseonhwa through the form of socialistic realism and national art in the center of North Korean art circles in the 1950s and 60s. Shortly after moving to North Korea, he created oil paintings of socialistic realism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North Korean art circles, but from the mid-1950s, he turned back as a painter of Joseonhwa. As a Joseonhwa artist, he exhibited works at various exhibitions and showed the art style of a light-colored picture with indian ink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portraits, landscapes, flowers and birds. He was elected chairman of the Joseonhwa Division in 1957, and raised the status of North Korean painting by winning the first place in the “World Festival of Youth and Students” with a work called ‘Dance’. As a researcher belonging to academy of science, who first introduced the term “Joseonhwa” to the art world, he studied art history, including Goguryeo tomb murals and works by Kim Hong-do, and published research papers by summarizing the results. After 1960, he encouraged Joseonhwa painters to make an innovation of Joseonhwa by using various colors in the field of coloring discourse, and also rearranged the creation technique and coloring technique to be applied to Joseonhwa. In addition, he responded to the changes in the art world by drawing colored paintings that matched the age of Chollima, with the theme of ‘the creative energy of reality’ and ‘the fighting scenes of champions of revolution’, which were required to Joseonhwa painters. In the 1960s, as Kim Il-sung’s Juche Ideology was established in North Korea, the form of Joseonhwa changed to ‘Molgol Jinchae’. Despite this situation, he tried to contain in his paintings the Sauisung(寫意性) of the traditional ink painting in the field of Flower Bird Paintings. In other words, he responded to changes in art form, but did not completely give up the style of traditional literary paintings based on the harmony of stroke and ink he had pursued before moving to North Korea.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감교육이 왜 혐오전성시대에 자기배려와 연결되는가
김미정 ( Kim Mijeong ) 경희대학교 글로벌인문학술원 2021 비교문화연구 Vol.64 No.-
This paper examined how “the care of the self,” which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pursued in his later years, can be related to the literary education by which we teach listening, empathy, and communication to overcome the hateful sentiments prevalent in our society and restore human rights sensitivity.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d why empathy is difficult, why it is problematic in representing the pain of others, and nevertheless, why empathy education is necessary, and why it leads to “the care of the self” in the so-called era of hate. In short, the question “how to treat the other” leads to the question of “how to treat humans,” and “what is humanity?” reflecting on “why do humans have to be human in order to be like a human?” Why this corresponds to the (ethical) care of the self (epimeleia heautou: take care of your soul) and “self-practice” in Foucaultian terms, is self-evident, as those Greek and Roman thinkers sought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by asking “what and how am I doing?” and “what should I build myself into?” rather than dwelling on the epistemological question of “who am I?” In the context of Foucaultian, the care of the self,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empathy education, is to form the groundwork for ethically re-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self-construction (or self-transformation), in which individual citizens constitute themselves as ethical subjects.
시·도 교육청 교수학습지원센터의 웹 접근성 준수 정도 분석
김미정 ( Mijeong Kim ),김자미 ( Jamee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는 K-12의 구성원 및 관계자들에게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시·도 교육청의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대한 웹 접근성 준수 실태 분석을 통해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9개의 교수학습지원센터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전문가 2명에 의한 1차 전문가 수동평가와 18명의 사용자가 진행하였다. 사용자 평가는 청각장애인, 시각장애인, 뇌병변장애인, 고령자, 다양한 브라우저 사용자, 다양한 운영체제 사용자 등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전문가와 사용자 평가에서 웹 접근성을 준수하고 있는 교수학습지원센터는 1곳도 없었다. 전문가 평가 결과, 웹 디자인 개선, HTML 소스 오류 수정, 장애인을 위한 대체 수단 제공 등에 대한 오류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개선한 웹 접근성 평가 방법을 통해 향후 국내 웹 접근성 평가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the directio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by analyzing the state of abiding by the web accessibility by the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at the education offices in cities and provinces which provide the learning and teaching materials to the K-12 members and the interested people. For this aim, nine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were evaluated. The primary manual evaluation by two experts and the evaluation by 18 users were conducted. The users were comprised of hearing-impaired people, visually-impaired people, brain-disabled people, the elderly, various browser users, and a variety of operating system us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ot a singl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had conformed to web accessibility in the expert evaluation and the user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expert evaluation, the errors regarding web design improvement, HTML source error correction, and provision of alternative measures for the disabled were fou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provided various discussions with regard to the direction of the future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based on the improved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method.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을 위한 의사결정규칙 개발
김미정(KIM, Mijeong),정은비(Jeong, Eun-Bi),오철(O, Cheol)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68 No.-
교통사고는 인적요인, 도로 기하구조요인, 교통류요인, 환경적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이러한 교통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고원인 및 사고특성에 대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전국 고속도로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교통사 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의사결정트리(Decision tree)를 이용하여 교통사고의 원인 및 특성을 분석하 였으며,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을 위한 의사결정규칙을 개발하였다. 종속변수를 사고심각도로 설정하고 사고심각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인적요인, 도로 기하구조요인, 환경적요인 등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고속도 로에서 사고 발생 시 심각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는 날씨(기상)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사고직전속도, 복합선형, 종단 구배, 평면선형, 주야, 조명유무로 나타났다. 맑음 또는 흐림의 정상기상에서의 사고는 주야, 승용차유무, 사고직전속도, 복합선형, 종단구배, 요일이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악천후 기상에서의 사고는 복합선형, 주야, 평면선형, 조명유무가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의사결정규칙은 향후 교통사고 심각도 감소를 위한 정책 결정 및 교통안전을 위 한 교통안전정책, 교통류관리전략 등 정책 수립을 위한 의사 결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