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루이비통의 모노그램을 모티브로 한 네일 디자인 연구

        김미소ㆍ정숙영(Mi so KimㆍSook young Jeong)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6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7 No.1

        In the modern era, buying an imitation product or having luxury brand logos on nails has substituted for the purchase of the luxury items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ubstitute for the pattern of over-consumption in which people buy expensive items to make themselves look better. For this, a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regarding the creation of nail art design. The luxury brand ‘LOUIS VUITTON’ was selected, and the monogram from this brand was used as a motif in nail art. After dividing the nail design into two groups (a group of the nail art design preferred by people in their 20-30s, a group of the designs preferred by people aged 40-50s), treatment methods were diagramed, and a scope of research was set.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using luxury brand logos in nail art temporarily satisfies modern women’s desire for buying a luxury brand item and creates general image coordination.

      • KCI등재

        폐 리튬 이차전지로부터 회수된 황산코발트 제조 및 이를 이용해 합성된 산화리튬코발트 양극활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김미소,하종근,박세빈,안주현,최임식,조권구,Kim, Mi-So,Ha, Jong-Keun,Park, Se-Bin,Ahn, Jou-Hyeon,Choi, Im-Sic,Cho, Kwon-Koo 한국전기화학회 2014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폐 리튬이차전지의 스크랩으로부터 순도 높은 황산코발트($CoSO_4$) 용액을 회수하고, 회수된 용액을 이용하여 리튬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인 $LiCoO_2$를 제조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황산코발트의 제조는 황산과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하여 원료물질로부터 금속물질을 녹여내기 위한 침출단계, 가성소다를 이용한 pH 조절로 1차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중화공정 및 D2EHPA와 $CYANEX^{(R)}272$를 이용하여 2차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용매추출공정을 거쳐 고순도의 용액을 회수한다. 회수된 황산코발트는 증류수와 희석하여 6 wt.% 황산코발트 용액으로 만들고, 다시 옥살산과 혼합 및 교반 후 건조, 하소 및 리튬의 원료가 되는 $Li_2CO_3$ 분말과 혼합 후 합성 공정을 거쳐 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인 $LiCoO_2$를 제조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전극을 조립하고,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본 실험에서 합성된 $LiCoO_2$와 상업용 $LiCoO_2$(Aldrich사)를 비교하였으며, 결과는 유사하거나 혹은 합성된 $LiCoO_2$가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양극활물질의 재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using the cells assembled with the synthesized $LiCoO_2$(LCO)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The LCO was synthesized from high-purity cobalt sulfate($CoSO_4$) which is recovered from the cathode scrap in the wastes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LIB). The leaching process for dissolving the metallic elements from the LCO scrap was controlled by the quantities of the sulfur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The metal precipitation to remove the impurities was controlled by the pH value using the caustic soda. And also, D2EHPA and $CYANEX^{(R)}272$ were used in the solvent extraction process in order to remove the impurities again. The high-purity $CoSO_4$ solution was recovered by the processes mentioned above. We made the 6 wt.% $CoSO_4$ solution mixed with distilled water. And the 6 wt.% $CoSO_4$ solution was mixed with oxalic acid by the stirring method and dried in oven. $LiCoO_2$ as a cathode material for LIB was formed by the calcination after the drying and synthesis with the $Li_2CO_3$ powder. We assembled the cells using the $LiCoO_2$ powders and evaluate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then, we confirmed possibility of the recyclability about the cathode materials for LIBs.

      • KCI등재
      • KCI등재

        수열합성법에 의한 Zinc Selenide 나노 분말 합성 및 미세구조 특성 연구

        김미소,홍현선,Kim, Mi-So,Hong, Hyun-Seon 한국재료학회 2017 한국재료학회지 Vol.27 No.9

        Nano-sized Zinc selenide (ZnSe) powder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using Zn and Se precursors in a hydrothermal process. Temperature for the synthesis was varied from $95^{\circ}C$ to $180^{\circ}C$ to evaluate its influence on the 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the synthetic particles. ZnSe powder thus fabricated was characterized using various analytical tools such as SEM, XRD, TEM and UV-Vis methods. Two types of ZnSe particles, that is, the precipitated particle and the colloidal particles, were identified in the analysis. The precipitated particles were around 100 nm in average size, whereas the average size of the colloidal particles was around 20 nm. The precipitated particles made at $150^{\circ}C$ and $180^{\circ}C$ were found to be a single phase of ZnSe; however, an inhomogeneous phase was obtained at the lower synthesis temperature of $95^{\circ}C$, suggesting that the temperature for the synthesis should be over $100^{\circ}C$. The precipitated particles were inactive in the UV-Vis absorption investigation, whereas the colloidal particles showed that absorptions occurred at 380 nm in the UV-Vis spectrum.

      • KCI등재

        산림자원에서 추출한 유지자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검토

        김미소(Mi-So Kim),박준형(Joon Hyung Park),임호정(Ho-Jeong Lim),김다솜(Da-Som Kim),김회성(Hoe-Sung Kim),이경태(Kyoung-Tae Lee),박용배(Yong Bae Park),신의철(Eui-Cheol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에서는 산림자원에서 추출한 유지자원의 이용에 대한 잠재력을 확인하고자 지용성 영양성분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이화학적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 영양성분의 경우 높은 불포화 지방의 비율(>80%)을 보였고, 지용성 비타민인 tocopherols과 식물성 스테롤인 phytosterol의 다양한 함량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화학적인 특성을 볼 때 1차 산화생성물인 산가와 과산화물가의 값은 안정적인 값이었으며, 2차 산화생성물의 지표인 p-anisidine value의 값을 확인하였다. 갈변도와 색도의 경우 유지 자체의 색도를 포함한 값으로 인해 신선도를 판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색도에 대한 정보를 통해 적용 분야를 적용할 수 있는 근거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산화안정성의 지표인 산소유도기간에서도 불포화지방산과 지용성 항산화제인 α-T의 함량에 따른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인 결과를 산림유지 자원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다고 판단된다. Nutri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pids of forest resources were studied in order to examine their practical utilization in the lipid industry. In this study, Garae, Dongback, Mougwi, and Muwhanja were chosen as sources of fat-soluble components. Fatty acid profiles of forest resources showed more than 80%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otal fatty acids. For total tocopherol contents, Garae showed higher content than others; moreover, Dongback was a good source of α-tocopherol. Phytosterols of forest resources ranged from 55.96±2.23 to 194.94±21.42 mg/100 g, and Muwhanja showed the highest phytosterol contents. Chemical properties such as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p-anisidine value showed good oxidative stability of lipids of forest resources. For physical properties, browning intensity and color parameters were studied. Induction times, as an indicator of oxidative stability, were measured and ranged from 0.70±0.01 to 18.40±1.02 h in four forest resources. Taken together, contents of lipid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preliminary database for utilization of lipids of forest resources.

      • KCI등재

        다산 공부론 : 戒愼恐懼의 愼獨을 중심으로

        김미소(Kim Mi so)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2

        이 논문에서는 朱子와 茶山의 未發觀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1) 주자의 미발은 감정의 미발임과 동시에 '思慮의 미발'이다. 오직 수동적 지각만이(知覺不昧) 존재하기 때문에 어떤 대상에 대한 의도적인 思慮 · 分別 · 計較 · 造作 의식이 불가능하다. 주자는 감정 · 사려의 미발 상태를 '戒愼恐懼'라고 설명하는데, 이것은 미발이 어떤 도달해야 할 경지나 형이상학적 실체가 아닌, 마음의 상태를 형용한 것이다. (2) '戒愼恐懼'는 미발공부로서 마음의 '약간의 긴장 상태'로서 멍한 상태나 의식의 단절을 의미하지 않는다. 반면에 '愼獨'은 철저하게 이발공부로서 감정 · 사려가 활발하게 드러난 상태이며, 지나간 나의 행동 · 생각들을 점검하는 것이다. (3)반면에 다산은 미발을 '희노애락의 미발', 즉 '감정의 미발'로만 해석함으로써 주자가 미발을 '思慮未萌, 知覺不昧'라고 해석한 것과 차이를 보인다. 때문에 미발은 대상과 접하기 전에 감정이 드러나지 않은 상태이므로 미발 상태에서 우리의 이성적 활동은 그 어떤 상태에서보다 활발해질 수 있다. 결국 다산은 미발의 '戒愼恐懼'와 이발의 '愼獨'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게 된다. 감정적 유발이 없는 상태[未發]에서는 이성이 보다 선명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이 때에 우리는 더 많이 이런 저런 생각을 하고 계획을 세우고 모략을 꾸미기도 한다. (4)그러므로 자신만이 알고 있는, 머릿속에 일어나는 나쁜 생각마저 점검하려는 것이 다산의 '戒愼恐懼의 愼獨'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a Tasan's theories of Cultivation comparing with Zhu Xi. I demonstrated that Tasan's 'wei-fa' is only the meaning of a not yet intentional state before human sentiments. But Zhu Xi's 'wei-fa', including a not yet reflective thinking, is aroused. Also, the notable portion in 'Tasan's theory is that the objective of 戒愼恐懼 and 愼獨 is not to have certain mysterious experience or mysterium tremendum. Tasan argued that 'to be careful-cautious and fearful-anxious'(戒愼恐懼) are regarded as 'practical aspect' which is identical to 'to be cautious when one knows alone'(愼獨). Lastly, 'cultivation of practical aspect' is the meaning of continuous effort to be cautious when one knows alone(愼獨) and to be careful-cautious and fearful-anxious'(戒愼恐懼) daily life.

      • KCI등재후보

        고전기 동남아시아의 로카나타 신앙과 지역적 특징 -도서부 동남아시아의 4비(四臂)로카나타상 유형과 도상을 중심으로-

        김미소 ( Kim Mi-so ) 동양미술사학회 2020 동양미술사학 Vol.11 No.-

        대자대비한 관음보살에 대한 신앙은 동아시아뿐 아니라 동남아시아에서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종교를 기반으로 문명을 꽃피웠던 시기인 고전기(9~14세기)에 도서부 동남아시아 왕조를 중심으로 밀교에 기초한 관음신앙이 확대되었다. 이는 이 시기에 조성된 다량의 다비관음보살상을 통해 뒷받침할 수 있다. 지리적으로는 오늘날 태국 최남부에 위치한 끄라 지협(Isthmus of Kra)에서 바닷길을 따라 남쪽으로 이어지는 말레이반도, 수마트라섬, 자바섬에 위치한 왕조에서 다비관음상 조성이 성행하였고, 12세기부터는 대륙부 동남아시아에서도 그 영향력이 간취된다. 이처럼 9세기 이후 도서부 동남아시아에서 다비관음상이 다량 제작된 연원은 인도 팔라왕조와의 교류를 통해 수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수마트라섬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슈리비자야 왕조와 중부 자바 일대를 중심으로 성립된 샤일랜드라 왕조는 문헌적 근거뿐 아니라, 조각에서도 팔라 왕조와의 교류상을 살필 수 있다. 밀교의 성행과 함께 팔라 시대의 관음상은 존명과 도상 특징이 구체화된 반면, 도서부 동남아시아 왕조의 관음보살상은 힌두적 요소와의 융합과 현지의 특색에 맞춘 변용된 도상들이 발견된다. 특히 본고는 도서부 동남아시아에서 조성된 4비관음보살상 가운데 명문을 통해 “로카나타”라는 존명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에 주목하였다. 흥미롭게도 로카나타라는 관음의 별칭은 팔라 시대의 밀교 의궤집과 조각의 명문 등에서도 확인된다. 본 연구에서는 의궤의 기록과 달리 명문이 확인되는 조각이 매우 다양한 도상으로 조성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게다가 인도의 로카나타 조각과 동남아시아의 로카나타 조각에도 도상적인 차이가 발견된다. 이를 통해 본고는 로카나타라는 존명이 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밀교의 다양한 형상의 관음보살을 지칭하는 광의(廣意)의 명칭으로 인식되었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The belief in the Great benevolent Bodhisattva, Avalokiteśvara Bodhisattva much developed in Southeast Asia with the entry into the Classical period.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Bodhisattva, which was created in Southeast Asia during the Classical Period, was that it was made into a multi-armed statue due to the influence of Tantrism. What's interesting is that only during the 9th and 11th centuries, a large number of four-armed Avalokiteśvara statues were created. This was also the time when various shapes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were established in the Pala Dynasty, which had an active relationship with the Southeast Asian dynasties. In Southeast Asia, which has the direct exchanges with some dynasties in India through the land and sea routes, the belief on the Bodhisattva developed almost at the same time. In Southeast Asia, Avalokiteśvara was also called “Lokeśvara” as well as “Lokanathā”. These different names could be found not only in sculptures unearthed in Southeast Asia, but also in Indian literature, such as Sadhanamala. In a broad sense, Lokanatha, a name of Avalokiteśvara, was used as the term to cover all of the various shapes, rather than to refer to the single Bodhisattva who has a particular appearance. In India, complex and diverse shapes of Lokanathā were gradually expanded, while in Southeast Asia, four-armed statue with the same pattern were the most popular in all regions at the same time. These changes are well found in the art of the Śrivijaya and the Śailendra dynasties, which were located in the Maritime Southeast Asia. Śrivijaya and Śailendra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through royal intermarriage, but it can see local features in the style of Lokanathā sculptures.

      • KCI등재

        율곡(栗谷)의 “이(理)” 철학(哲學) 연구(硏究)

        김미소 ( Kim Mi So ) 동양철학연구회 2018 東洋哲學硏究 Vol.93 No.-

        栗谷의 “理” 철학을 살펴보고자 한다. 율곡 역시 퇴계 못지않게 理를 중요시 했는데 학자마다 동일한 개념에 부여하는 의미가 각기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율곡 철학 속에서 理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율곡의 理가 무엇이며 그가 理를 주목함으로써 그려가는 철학적 방향을 따라가 보려고 한다. 율곡은 理를 두 가지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다. 첫째, 율곡의 理는 형이하의 실재성이 없다. 형이하의 실재성이 없는 理는 현상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원인’ 구실을 할 수 없다. 그는 리를 철저하게 본체가 현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시키고 있다. 둘째, 율곡은 형이상의 실재로서 理를 결코 부정하지 않았다. 그가 형이상의 실재로서 리를 부정하지 않은 이유는 이 세계 현상들이 아무런 법칙성이 없거나 혹은 모든 현상이 다 올바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율곡이 형이상의 실재로서 理를 이해하는 방식은 현상 저 너머에 있는 본체가 실재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하며 이것은 결국 ‘性善에 대한 확신’을 말한다. 결과적으로 율곡의 理철학은 형이하의 실재성이 없는 理와 형이상의 실재로서 理를 엄밀하게 구분하려고 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겠다. 율곡은 이러한 ‘형이하의 실재성이 없는 理’를 통해서 인간의 도덕 수양(浩然之氣)을 강조하게 된다. If we have the assumption that T'oegye's philosophical emphasis is on li through the neo-confucian controversy of T'oegye·Gobong and Ugyae·Yulgok, the point of the controversy can be reoriented into the difference of the interpretation of li between the two streams. According to some previous studies, Yulgok regarded the subject of determination as li(moral principle)· qi(physicality) and also regarded mutual determination of li·qi. In fact, we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how Yulgok interpreted li in his philosophy, although what the concept of li referred to may be different among scholars. I will analyze Yulgok's li from two different angles. First, Li that is without reality does not function as a cause because it has no effect on the phenomenon. Li can not be interpreted as the subject influencing the phenomenon i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ssence and the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the way things are. In this regard, the demand for moral cultivation(vast-flowing energy) is strongly postulated. Second, it is never denied that li is the metaphysical reality in Yulgok's philosophy, which led to his strong confidence in the good of human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