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미군 캠프타운 한국 여성에 대한 한 민족지적 연구: 일과 정체성

        김미덕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4 아태연구 Vol.21 No.3

        This article aims to interpret the material realities of Korean women(mostly 40s-70s) in U.S. camptowns. Based on the field research in 2006 and 2007, this article explores the women's own perceptive on their lives and identity question. This article started from two findings during the fieldwork research. First, women’s narratives were centered on work, adjustment and current situations rather than liaisons with foreign soldiers and sex trade itself. Second, most informants neither identified themselves as sex workers, nor did they deny that they are not sex workers even when they clearly spoke about knowledge of the sex trade. I have suggested main reasons for their reticence through various forms of dis/identification from social class, sex trade as a form of work throughout their entire lives: Sex trade is work in that it is on the continuum of other informal and temporary jobs. It includes legal marriage to GIs their dis/identification is not grounded on sex trade itself but, rather class and the form of work they exert various forms of identities ranging from identification, dissimulation to disidentification from social positions. Thus the narratives of their past and the experiences of the sex trade is adjustment rather than total denial or shame(by not speaking about the experience of sex trade). This includes subtle, qualitative transformation such as ‘abundance from hard labor’ from the subsistence perspective and ‘pure vitality from poverty.’ It implies that suffering such as poverty involve not only violence but also embed the possibility of recuperation and patience that make them move forward for better life. 이 글의 목적은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미군 캠프타운에 거주하는 한국 여성들(40-70대)의 삶을 분석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 참여자의 공통된 구술의 특징은 스스로를 성 노동자로 규정하지도 않았고, 성매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에도 일을 부정하지도, 변명하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캠프타운에서의 생활(법적 결혼 포함)은 여성들이 거친 여러 비공식적, 임시직의 일환이었기 때문에 대중적인 부정적 호칭으로 자기정체화할 필요가 없었다고 설명한다. 이는 여성들의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로서, 동일시, 탈동일시, 무시, 적응 등 다양한 정체성 수행방식을 살펴보았다. 여성들은 빈곤, 캠프타운에서의 일, 파트너와의 긴장과 불화 등 많은 어려움에 놓여 있었다. 그런데 이는 여성들이 피해자로서 운명에 순응하며 살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적응’, ‘힘든 노동으로부터의 풍요로움’, 그리고 ‘가난뱅이들의 억척스럽고 모진 청청함’이라는 언술들의 통찰에서 알 수 있는데, 예컨대 빈곤은 당연히 폭력이지만 동시에 인내와 회복의 가능성 또한 내재하고 있어 삶을 앞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힘을 갖는다고 보았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캠프타운 여성에 대한 성애의 물신화 경향과 숙명론을 문제 제기하면서 지식의 정치적 성격을 살펴보고자 했다.

      • KCI등재

        1940-1970년대 미국 적십자사의 한국에서의 활동에 대한 한 연구: 클럽과 레크레이션 서비스를 중심으로

        김미덕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2 현상과 인식 Vol.4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군정기 이래 한국에서 활동한 미국 적십자사의 클럽과 이동클럽 서비스, 그 업무를 맡았던 여성들의 이야기를 살피는 것이다. 전쟁과 관련한 적십자사의 활동에는 군부대 복지서비스와 군병원 서비스 이외에도 부대 안팎에서의 클럽(오락센터)과 이동클럽 운영이 있었다. 이동클럽은 여성들이 지프, 트럭, 밴 등을 타고 전방이나 고립된 지역으로 가서 군인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간단한 게임이나 대화를 하고, 도넛과 커피 등을 나누어주는 활동을 하였다. 적십자사는 한국에서 미군정기 이래 클럽과 레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1953년 정전회담 이후 이동클럽에 집중하였다. 1953년을 기점으로 1973년 종료되었고 899명이 활동했다. 이후 유럽과 베트남에서도 유사하거나 동일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담당 인력은 20대 초중반의 여성으로서 대학 졸업이 필수 조건이었고, 1년에서 18개월까지 근무가 가능했다. 대부분 중상계층의 백인여성이 모험과 여행의 욕구를 실현하고자 이국에서의 일을 선택했다. 프로그램의 목적이 군인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것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상징적·물리적 존재는 고향에 두고 온 어머니, 여자친구, 여동생, 누나, 즉 미국의 규범적인 여성을 재현했다. 이 때문에 그들은 압도적으로 남성 중심적인 공간이었음에도 군인들로부터 비교적 정중한 대우를 받았다. 한편 그 여성들의 물리적·상징적 존재는 전통적인 성역할을 재생산했지만 당사자들의 세계 탐험의 욕구, 가정성 이데올로기를 탈피한다는 면에서 적극적인 행위자로서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베트남 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

        김미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5 여성학논집 Vol.32 No.1

        이 글의 목적은 군사주의와 젠더 관점에서 베트남 전쟁 당시(1962-1975)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을 살피는 것이다, 적십자는 1881년 클라라 바톤의 창설 이래 미 정부 및 군 당국과의 밀접한 연계 속에서 군인과 군인 가족 지원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적십자는 베트남에서 11년간 활동 했는데 주요 활동으로 군과 고향을 연계한 부대 서비스, 군병원 서비스, 오락센터와 이동클럽을 운영한 해외오락보충부대가 있었다. 특히 해외오락보충부대는 1965년 가을 베트남 다낭에 처음 도착하였고 1972년에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 이 부대 소속의 여성들은, 군 기지 근처에 클럽을 세워 군인들에게 오락과 휴식을 제공하고, 센터가 없는 외딴 곳에 있는 부대는 여성들이 직접 방문해 커피나 도넛을 나눠주고 오락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적십자 여성 노동자는 대개 20대 중반의 미혼 여성으로서 대학교육과 사회경험을 우대했기 때문에 백인 중산계층 배경의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주요 임무는 군인의 사기 진작과 건전한 오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고향의 어머니, 애인, 여동생이나 누나의 역할을 대행했고 남성 군인이 지켜야 하는 조국의 여성을 상징했다. 활동의 어려움에는 열악한 생활환경,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은 공간에서 파생하는 젠더문제, 전쟁으로 인한 긴장과 무력감 등이 있었다. 이들의 활동은 군사주의와 젠더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적십자 여성의 활동은 남성의 사기 진작을 목적으로 보살핌과 위로라는 전통적인 성역할에 충실했다. 둘째, 다만 그들의 존재는 고향에 두고 온 어머니, 애인, 누이동생의 이미지로 상징적으로 활용되었다. 따라서 성적 대상화가 부재한 것은 아니었지만 대체로 군인들로부터 예의바른 대우를 받았다. 셋째, 여성들의 나이가 군인들보다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소녀라 불리며 보호와 위안의 교환이라는 젠더 위계의 재생산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군인들이 보호해야 하는, 정숙한 미국 여성의 도덕성과 그렇지 않은 현지 여성의 부정적 이미지 간의 이분법 또한 작동하였다. 한편 여성 자신에게는, 다른 국가를 접하고 전통적으로 남성 영역인 전쟁에 참여하는 도전과 기회의 장이라는 것 또한 분명했다. 이 글은 베트남 전쟁 시 미국 적십자 여성의 활동의 이러한 모순적이고 복잡한 상황을 보이고자 했다. This article aims to discover the activities of American Red Cross(ARC) women during the Vietnam War(1962-1975) and to explain them with the prism of militarism and gend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ARC by Clara Barton in 1881, the organization has supported the soldiers and their families with the close cooperation of the U.S. government and the military authority. During 11 years of the activities of ARC in Vietnam, it provided three main services, Service to Military Installations(SMI), Service to Military Hospitals(SMH), and Supplemental Recreational Activities Overseas(SRAO). In particular, the first SRAO unit was arrived in September 1965 in Da Nang, Vietnam and the program was ended in 1972. The SRAO program ran recreation centers to provide recreation and rest to soldiers and delivered active audience participation programs. For the small scale troops where no service clubs were available, the women served coffee and doughnuts with a clubmoible. ARC women were required to be college graduated, in middle 20s, and thus predominantly consisted of white middle class women. The main activities were to boost soldiers’ morale and to provide wholesome recreations, and the women were symbolically represented as mothers, sisters, and lovers in the States. Difficulties included poor working environment, gender issue in terms of overwhelmingly male-dominated environment, and the powerlessness from the war. The women’s activities can be explained in relation to gender and militarism as such. First, the clear aim of their presence during the vietnam war was to boost soldiers’ morale and their activities reproduce the traditional sex role such as care and comfort. Second, along with the comfort service, they were represented as symbols of the America’s mother, sister and lovers whom soldiers should protect and fight for rather than having direct sexual contacts. Although there was not absence of sexual objectification of the women, it is safe to say that they were politely treated by the soldiers in general. Third, we can confirm gender hierarchy in that they were simply called girls although they were older than soldiers. Fourth, the dichotomy between respectable American women and negative images of local women was also assumed. In the meantime, since the motivation of their voluntary work overseas were to experience foreign countries challenging traditional sex role in the States and to participate a war considered conventionally as men’s sphere, the women wielded their agencies. This article tries to show such a paradoxical and it complicated situation relating the activities of ARC during the Vietnam War.

      • KCI등재

        고등학교 도덕과 시민교육과 생태 시민성

        김미덕,이경무 한국윤리학회 2022 倫理硏究 Vol.138 No.1

        The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ship was neoterically begun to discuss in histo-genetic. And then it was included in a category of citizenship that means not a civil rights but a civic attitudes or civil virtues. So ecological citizenship thematics and contents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civic education in high school moral subject curriculum. An objection-oriented activity and a prescription-oriented activity were circularly and complementarily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high school moral education. Therefore we examined the connections between civic educations and contents of ecological citizenship in high school moral education from a present and a future viewpoints each other. First, in a present viewpoint, we reflected totally and synthetically both the substances of civic education and the thematic details of ecological citizenship those have been in forced. And, in a future viewpoint, we critically considered both improved contents for civic education and progress plans for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those would be in forced. The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projects of progress plans will deal with the problems of global system as an unique ecologic community. Nevertheless, those are not clarified the hierarchies and connections between civic and community likewise environmental-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of present plans. So that, we could not able to reveal the sameness of a subjectivity between democratic citizen and ecologic citizen. And than we could not able to generalize the ident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and ecological citizenship as a whole citizenship.

      • KCI등재

        내부고발(자)의 근본적 특징:파레시아, 진실 말하기 혹은 비판 (Parrhesia, Truth-Telling or Critique)

        김미덕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19 민주주의와 인권 Vol.19 No.4

        A whistleblower in English is translated into a claimer for public interest or internal discloser in Korean legal system and public discourse. The reason for the multiple translations is that the perception and nature of whistleblowing(whistleblower) are still problematic. In this article I characterize a fundamental, significant feature of whistleblowing as the act of speaking the truth, parrhesia. The term goes back to the ancient Greek and has been popularized in international academia since 2010s due to the powerful influence of Mitchell Foucault’s studies on the archaeology of the term in 1980s. Based on interviews with 25 whistleblowers I found the main and essential part of whistleblowing is that they ‘speak’ of ‘the truth(wrongdoing of organizational members/organization where they work)’ to others・other institutions. According to Foucault,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of parrhesia in ancient Greek system is frankness, truth, danger, critique and duty and the last two characteristics are visibly presented in whistleblowing too. That is, both two acts have a risk by taking an issue toward those who has more power than the speaker. For duty, the former means free men’s duty to a state and the latter is considered as public interest. For frankness and truth, since the latter means the congruence of speaking act, content and the speaker him/herself, the speaker does not confront any distrust in terms of the speaker’s frankness and courage. But contemporary whistleblowing should be explored to prove speakers’ truthfulness in an institutional・legal level. This is the most distinguishable difference between them. I consider in this introductory work of whistleblowing, one of main features of whistleblowing the act of speaking the truth (which beget a political judgement and accompanying impacts), critique and several specific issues surrounding whistleblowing will be followed in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후보

        정치적 동원과 모성에 대한 연구:아르헨티나의 마요광장 어머니회를 중심으로

        김미덕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0 민주주의와 인권 Vol.20 No.2

        This study, a part of discovering cases of women's movement, examines the history and activities of Mothers of the Plaza de Mayo(established in 1977; hereafter the Mothers) during the miliary dictatorship and for the democracy movements after the period. This study further seeks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hood, female actors, and political mobilization・collective action. In Argentina, during the military dictatorship called the ‘dirty war’ (1976- 983), forced disappearance of 30,000 people considered to be dissidents came to happen. The disappearance meant kidnapping・torture・murder. The Mothers formed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whereabout of the missing sons and daughters in 1977, became a symbol of democratization movement through various activities(march at the Plaza de Mayo, establishment of local branches, petition to public institutions, lecture, international solidarity activities, etc.).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elected government in 1983, the Mothers has begun to diverge in terms of the government’s policies toward the dirty war. On the government's proposals of exhumation, financial compensation, and commemoration issue, the Mothers was uncompromising to make missing children a social memory even if they actually died, while another mother’s organization named the Mothers of Plaza de Mayo-Founding Line sought to cooperate with the government and thought the final decision should be up to an individual. And the grandmothers wanted to find grandchildren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remains, and until 2017 it turned out that 127 grandchildren were confirmed by DNA identification. Exploring the specific situation of the Mothers and Founding Line, I demonstrate the movement has not been operated from the traditional・patriarchal・feminine value of motherhood itself. Rather this study shows that the political mobilization has been proceeded from the interest of people who were lost their children by the government with sociably accepted motherhood for women, which is not that different from other social movements at all.

      • KCI등재

        북한 소설문학에 묘사된 대학교원의 상(像)과 지식인 문제

        김미덕 상허학회 2012 상허학보 Vol.35 No.-

        This article examines how university professors and researchers are represented in North Korean novels in terms of Juche(self-reliance) realistic literature and discourse on intellectuals in South Korea. The main novels analyzed are Kang, Seon-gyu(1946~)’s 「Gyojeongui Yunri(The Ethics of Campus)」(2000) and 『Dalajin Seontaek(The Altered Choice)』(2008), which were based on the author’s real experiences. The novels employ comparative techniques through positive and negative characters. Through diverse plots, the novels present the perspective of university education, the ideal type of professors, the ideal attitude toward knowledge production, and the problems of formalism and bureaucracy that are faced at an institutional level in the university. An ideal professor embodies a noble personality, excellent academic ability, and contribution to a nation and to the next generation scholars which is the ultimate object of education. As for the barriers, individuals’ unprincipled behaviors like ignorance and two-faced behaviors, and bureaucracy inflicted by the nation are pinpointed. However, the ideal professor in North Korean novels is interpreted as non-existent or romanticized for enlightenment of socialism. Such an interpretation is still common and is made due to an overwhelming political and ideological approach to North Korean literatur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ideal type is made possible by incorporating an as cetic perspective of Juche realistic literature, such as the critique of naturalism, revolutionary optimism, and recognition of socialism. This article considers the representation of intellectuals in South Korean literature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for North Korean novels. It turns out that similar stories and arguments are presented in the South Korean novels, too.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on professors lie in ideal type and alternatives:While in the case of North, the ideal researcher/professor is a person with superior academic ability and dignity, the critiques are mostly toward institutional level with some exceptions. Through such process, I demonstrate that North Korean literature is to approach in terms of authors’ writing ability, his/her ideology, and messages instead of an ideological interpretation. 이 글은 북한의 소설, 주체사실주의 문학의 특징, 남한에서 진행되는 지식인 논의를 염두에 두고 북한의 소설문학에서 대학교원을 포함한 지식인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북한 소설문학을 이해하기 위해 북한의 공식 문예이론인 주체사실주의를 살펴보았고, 남한 지식인 소설과 지식인 논의를 비교함으로써 북한 소설문학에 대한 이념적 이해를 문제제기하고 하였다. 주된 분석 소설작품은 강선규의(1946~)「교정의 륜리」(2000)와 『달라진 선택』(2008)으로서 두 작품은 모두 대학을 배경으로 한 체험문학이다. 이 소설들은 대조의 기법을 통해 부정 인물과 긍정인물을 통한 인간문제, 교육관, 북한 사회주의가 지향하는 바람직한 지식인과 연구의 자세를 다루고, 관료주의, 형식주의 등의 제도적인 수위에서의 대학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있다. 그런데 남한에서의 문학 분석과 달리 북한사회의 바람직한 지식인상과 지식에 대한 원칙적 내용들은, 북한문학 분석에서 팽배한 이념적 해석 때문에 비혀실적이라거나 이상화되었다고 해석된다. 먼저 그러한 전형 인물은 자연주의에 대한 비판, 혁명적 낙관주의, 사회주의 제도에 대한 긍정을 기반으로 하는 주체문예이론의 미적 입장과 창작기법 속에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더불어 남한문학에 대한 이해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이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남한의 지식인 소설 등을 포함한 논의도 인간문제와 제도 수준에서의 비판이 동일하게 제기되고 있다. 차이점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제도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것인데 남한의 경우 신자유의 논리가 침투한 대학사회에 대한 비판, 북한의 경우는 관료주의와 형식주의 문제를 들고 있다. 더 나아가 바람직한 지식인상에 대한 문제는 북한은 실력과 인품을 겸비한 연구자가 강조되고, 남한은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 제도적 수준에서의 비판이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 이 글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북한 소설문학에서 이념적 해석을 경계하면서 남한문학 분석의 수위와 마찬가지로 작가의 창작적 능력과 전하는 메시지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