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WOT분석을 통한 사회적 경제조직의 전략과제 정립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김문준,Kim, Moon-Jun 산업진흥원 2020 산업진흥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조직(충남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제와 전략방향정립을 위해 기존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SWOT분석하였으며, 분석된 SWOT결과를 전문가를 통하여 전략과제와 전략방안을 다음과 같이 정립하였다. 첫째, 사회적 경제조직에 대한 SWOT분석결과 강점(S), 약점(W),기회(O), 위협(T)에 대한 요인에 대해 각각 4개 요인으로 총 16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둘째, 사회적 경제조직에 대한 전략과제는 SWOT분석을 통해 정립된 요인에 대해 SO전략, ST전략, WO전략, W전략에 대한 1제를 도출하였다. 셋째, 사회적 경제조직의 활성화를 위한 16개의 전략과제에 대한 전략방향은 다음과 같이 정립하였다. 전략방향 1은 '사회적 경제조직의 지원정책 기반 고도화'로 사회적 경제조직이 지속가능 경영체계정립으로 자생력을 향상하기 전략방향으로 정립하였다. 전략방향 2는 '사회적 경제조직의 성장기반 조성'으로 사회적 경제조직이 자생적으로 성장과 발전할 수 있는 전략방향을 의미한다. 전략방향 3은 '사회적 경제조직의 발굴 및 육성'으로 사회적 경제조직이 지역 내 다양한 문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역특성에 부합된 조직을 발굴하고 육성하여 지속성장할 수 있는 전략방향을 의미한다. 전략방향 4는 '사회적 경제조직의 홍보 및 육성'으로 하였으며 이는 사회적 경제조직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홍보와 구성원 교육 육성에 대한 전략방향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d SWOT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data to establish strategic tasks and strategic directions for revitalization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Chungnam region). First, as a result of SWOT analysis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 total of 16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factors for strength (S), weakness (W), opportunity (O), and threat (T), with 4 factors each. Second, for strategic factors fo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16 strategic tasks were derived from SO strategy, ST strategy, WO strategy, and WT strategy through SWOT Matrix Mapping for factors established through SWOT analysis. Strategic direction 1 was established as a strategic direction to improve self-sufficiency by establishing a sustainable management body as a "advancing the support policy bas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Strategic Direction 2 is "Creating a Growth Foundation fo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which means a strategic direction fo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to grow and develop on their own. Strategic direction 3 is "discovering and foster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which means a strategic direction for sustainable growth by discovering and fostering organizations that meet local characteristics so that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can solve various problems in the region. Strategic direction 4 was 'promotion and promotion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which means strategic directions for promotion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promotion of education for employees.

      • A Comparative Study on Overseas Renewable Energy Support Policy

        김문준 ( Moon-jun Kim ),두성림 ( Cheng-lin Du ) K·기업경영연구원 2019 KBM Journal(K Business Management Journal) Vol.3 No.2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핵심성공요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소상공인이 경영활동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성공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 소상공인의 성공적인 창업과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소상공인에게 핵심 성공 요인을 제시하고 예비창업자와 현재 사업을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의 자생력 향상과 경쟁력 확보에 도움을 주는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소상공인의 현항과 역할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소상공인의 핵심 성공 요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셋째, 창업과정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넷째, 경영자의 특성 요인에 대한 제시한다. 다섯째,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을 도출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상공인의 마케팅 차별화 전략을 고객 지향성, 창업 과정의 요인과 경영자의 특성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이들 요인이 소상공인의 경영성과를 유발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했다. 둘째, 고객 지향성 요인이 소상공인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비금융성은 고객 관계 관리와 고정고객(단골)의 매출 비중이 실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재무적 성과는 고객 관계 관리만으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 과정 요인이 소상공인 실적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사업 기회, 사업계획, 전문가 상담 등이 모두 비금융이나 금융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oday, investment in renewable energy is being made around the world. Leading by advanced renewable energy countries, such a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hich have taken the lead since the past, they are putting their lives and lives into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vestment in this field. This study aims to compare overseas new and renewable energy support policies, and the purpose of Korea is to find ways to utilize new and renewable energy according to the land use plan for a low-carbon energy-saving national plan. Specifically, first,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concep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Second, it presents the environmental added valu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hird, I would like to compare policies to support subsidies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overseas. Fourth, the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drawn.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producing renewable energy is an advantageous industry as a company. Second, in reality, domestically produced products lose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domestic market due to environmental technical regulations or standards already in place. Third,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not a problem to foster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but that it affects the sovereignty of the exporting country and infringes at times by applying its own laws to imported goods entering its territory outside the region. Fourth, as the renewable energy market gradually grows and related trade increases, the likelihood of a trade dispute resulting from the difference in subsidies between countries will increase.

      • A Study on Marketing Strategy for Real Estate Sales Agency Service

        김문준 ( Moon-jun Kim ),김택근 ( Taek-keun Kim ),이종호 ( Jong-ho Lee ) K·기업경영연구원 2019 KBM Journal(K Business Management Journal) Vol.3 No.1

        부동산 시장의 변화에 따라 건설업체와 부동산 개발업체는 기존 공급업체 중심의 시장에 적용했던 모든 사고에서 벗어나 부동산 개발 환경 변화에 적응 가능한 세부적인 전략과 조직적으로 부동산 수요 고객인 매수자를 감동하게 할 수 있는 부동산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 분양대행서비스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연구하기 위한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동산 분양대행서비스 산업의 개념을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 부동산 분양대행서비스 산업의 마케팅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연구 결과와 시사를 도출한다. 본 연구을 통해 나타낸 부동산 분양 마케팅의 성공하게 향상시킬 수 있기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첫째, 철저한 수요 분석을 바탕으로 초기 분양 성공을 위해 적극적인 고객 발굴과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펼쳐야 한다. 둘째, 지역 특성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리할 필요가 있다. 부동산의 특성은 지역성과 개별성이 있다. 셋째, 부동산 정보화 경향에 맞추어 Internet을 이용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As the real estate market changes, construction companies and real estate developers must break away from all the accidents that have been applied to the existing supplier-oriented marke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tailed strategy that can adapt to changes in the real estate development environment and a real estate marketing strategy that can systematically impress buyers who are real estate demand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marketing strategy of real estate sales agency service. First,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ncept of the real estate sales agency service industry. Second, I would like to look at the marketing strategy of the real estate sales agency service industry. Third, it derives research results and current events. The main contents to be able to successfully improve real estate sales marketing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a thorough demand analysis, active customer discovery and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must be implemented for the success of initial sales. Second, there is a need to repair marketing strategies tailor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are locality and individuality.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ctive marketing strategy using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trend of real estate informatization.

      • KCI등재

        관리자의 코칭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문준 ( Moon-jun Kim ),김수희 ( Su Hee Kim ),김용이 ( Yong-i Kim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1 기업경영리뷰 Vol.12 No.3

        본 연구는 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관리자(리더)의 코칭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 학습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요인과 자기주도 학습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을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종 289명의 진단 결과를 통계프로그램인 Window용 SPSS 21.0와 AMOS 21.0을 활용하여 설정된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검증하였다. 첫째, 가설 1인 코칭리더십은 학습몰입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어 채택되었다. 즉, 코칭 리더십이 향상되면 될수록 조직구성원의 학습이 향상됨에 따라 조직구성원은 학습몰입을 통해 직무수행 역량 향상과 조직의 경영목표 달성과 지속가능경영 고도화를 위해서는 관리자(리더)의 코칭 리더십을 효과적으로 정립하고 실행 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및 제도적인 지원의 중요성이 요구되었다. 둘째, 가설 2인 코칭리더십과 자기주도 학습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내었다. 관리자(리더)의 코칭 리더십이 체계적으로 구현될수록 조직구성원의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실행력은 향상 됨을 나타냈다. 셋째, 가설 3인 자기주도 학습과 학습몰입 간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구성원의 학습몰입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달성하고자 한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그를 위해 주체적인 자기주도 학습을 향상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과 체계적인 실행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that the coaching leadership of managers (leaders) perceived by organizational members of a company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immer-s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on learning immersion. To this end, the research hypothesis establish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SPSS 21.0 for Windows and AMOS 21.0 for the final diagnosis results of 289 patients was verified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 coaching leadership, was adopted as it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In other words, as coaching leadership improved, organizational members’ learning improved, and orga-nizational members were required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capabilities through learning immersion. In addition, the need to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reinforce the coaching leadership of managers (leaders) has emerged in order to advance the achievement of the organization’s management goal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self-directed learning, which is hypothesis 2,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was shown that the more systematic the coaching leadership of managers (leaders) was implemented, the better the executive abil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for self-directed learning. Third,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Hypothesis 3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immersion. In other words,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immers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ne-cessity of setting learning goals to be achieved by themselves and improving independent self-directed learning was emphasized.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마을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문준 ( Moon-jun Kim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20 혁신기업연구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마을기업의 지역 활성화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마을기업 이론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마을기업의 개념과 태동 그리고 필요성에 대해 검토한다. 셋째, 우리나라 마을기업 태동과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넷째, 마을기업의 지역 활성화 과정에서 의미와 역할을 제시한다. 다섯째, 연구 결과에 따라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한다. 첫째, 마을 기업들도 기업이기 때문에 경영 성과가 미흡하더라도 최소한의 이익(인건비)은 보장되지 않으면 수요자들이 원하는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고 판매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수익사업보다 지역주민들의 수요에 맞는 공익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생활문화공동체 사업비의 비중도 있는 것으로 보여 올해 사업이 마무리돼 운영비를 마련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셋째, 조합 주민의 기대와 애착이 남다를수록 교류농산물 홍보와 판매망 증대, 조합원 확대와 충실한 고객확보, 지역단체와 마을공동체 능력 강화사업 추진 등 생산성 있는 사업개발에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 넷째, 홍보는 매우가 부족하다. 다섯째, 마을 기업들은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사업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에 직결된 경우가 많다. 여섯째, 평생에 정부 지원이 필요한 노숙자들에게 마을기업을 통하여 자신이 스스로 생계를 유지하며, 근로 욕구 상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enterprises in Korea. Specifically, the first is to consider the theory of village enterprise based on prior research. Second, review the concept of village enterprise, its rudeness, and necessity. Third,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village enterprise in Korea. Fourth, it presents the meaning and role of village enterprises in the process of regional revitalization. Fifth, the implications are deriv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First, since village enterprises are also enterprises, they should be able to develop and sell differentiated business models that consumers want if minimum profits (labor costs) are not guaranteed even if management performance is insufficient. Second, it is urgent to take measures to raise operating costs as the project is completed this year, as it is operating public utility projects that meet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rather than profit projects and the proportion of project costs for living and cultural communities is also seen. Third, the more expectation and attachment of the residents of the cooperative, the more self-sustaining the development of productive projects, such as promoting exchange agricultural products and increasing the sales network, expanding union members and securing loyal customers, and promoting project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local organizations and village communities. Fourth, publicity is very scarce. Fifth, village enterprises often have a direct connection to the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of their businesses in their social networks. Sixth, homeless people who need government support for life should earn their own livelihood through village enterprises and increase their desire to work.

      • KCI등재후보

        체험형 마을기업에 관한 연구

        김문준 ( Moon-jun Kim ),오병조 ( Byong-jo Oh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20 혁신기업연구 Vol.5 No.2

        오늘날 농촌과 농업은 대내외적으로 급격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우선 내부적으로는 농촌 인구의 고령화를 들 수 있고, 외부적으로는 여러 국가와 체결하는 FTA를 들 수 있는데, FTA로 인해 외국산 농산물이 한국 농산물과 한국 시장을 놓고 경쟁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험형 마을기업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체험형 마을기업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고, 지역 자원의 적극적인 활용 및 마을기업 활성화 방안과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커뮤니티 비즈니스에 대한 개념과 구성요소,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유형 중 하나인 마을기업의 개념, 현황 및 요건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농촌 체험 관광에 대한 개념과 발전단계별 특징 및 체험 관광의 구조를 정회하고자 한다. 셋째, 체험형 마을기업의 4례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체험형 마을기업의 성공사례 선정 방법과 마을기업 성장 과정 및 성공 요인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넷째, 연구 결과에 따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에 따라 나타낸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 자본의 보완 사항으로는 마을기업을 운영함으로써 마을기업의 구성원뿐만 체험 교육 프로그램 운영해야 한다. 둘째, 금융 자본에 대한 보완 사항으로 마을기업 둘째 년도 사업 종료 후 마을기업은 스스로 발전 할 수 있는 재정 자립도가 제고해야 한다. 셋째, 지속 가능한 네트워크는 우수한 마을기업 이외에도 경제적인 어려움에 직면하는 마을기업이 스스로의 노력만으로는 다양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Today, rural areas and agriculture are facing rapid change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First of all, there is an aging rural population. On the other hand, externally, there are FTAs concluded with various countries. In other words, the FTA is expected to result in foreign agricultural products competing for the Korean market with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focus on experience-type village enterprises. Therefore, the success factors of experience-based village companies are analy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it was attempted to suggest the following ways to actively utilize local resources and activate village enterprises. First,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ommunity business, and the concept, status, and requirements of a village enterprise, one of the types of community business, are examined. Second, the concept of rural experiential tourism,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velopment stage, and the structure of experiential tourism will be summarized. Third,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ase of an experience-based village enterprise.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s how to select success cases of experience-based village companies, the process of growing village companies, and factors of success. Fourth, I would like to deriv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main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supplement to human capital, it is necessary to operate an experiential education program for the members of the village enterprise by operating a village enterprise. Second, as a supplement to the financial capital, after the village enterprise has completed its business, the village enterprise must improve the degree of financial independence to develop itself. Third, sustainable networks face economic difficulties in addition to excellent village enterprises. In other words, village enterprises should build various social networks with only their own efforts.

      • KCI등재

        연구논문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교양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김문준 ( Moon Jun Kim ),이철성 ( Chul Sung Lee ),김형곤 ( Hyung Gon Kim ),김지형 ( Ji Hyung Kim ),이훈병 ( Hun Byou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1

        외국인 유학생들로 하여금 한국문화 및 대학문화에 대한 이해와 적응을 위한 기본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교양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해 유학생들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하여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생들은 유학생활을 위한 준비와 한국어 준비에도 불구하고 언어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학생들은 언어적인 문제 다음으로 문화적 차이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한국대학문화”와 “교우관계” 에서 적응의 어려움을 겪는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한국어 관련 교양 및 한국문화 관련 교양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상의 요구에 비추어 볼 때,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교양교육의 방향은 전공한국어, 한국어 프리젠테이션 등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양과정과 한국생활관련 및 생활예절 관련 등 문화 및 생활적응을 위한 교양으로개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학생들의 학교 및 사회적응을 위하여 다양한 상담 및 적응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liberal arts for foreign student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searching the problems in living and studying in the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the concrete processes used to carry out the research.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of their adaptability to the living and the various requirements about liberal arts in the University. So,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s;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gap are difficult to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requirements about liberal arts are Korean language and living culture.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is research suggests Korean language and presentation programs, Korean living culture understanding programs, life adaptation and development programs, manners programs, and counseling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지능이 직무배태성과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외국근로자를 중심으로

        김문준 ( Moon Jun Kim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1 기업경영리뷰 Vol.12 No.4

        본 연구는 국내의 외국근로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화지능이 직무배태성과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배태성의 매개역할을 확인하고 하였다. 이를 위해 부직포 산업과 일반 제조업에 종사하는 국내 외국근로자를 대상으로 최종 196부에 대하여 SPSS WIN 21.0 통계 프로그램과 AMOS 21.0을 통해 설정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첫째, 문화지능의 하위요인인 초인지적 문화지능, 인지적 문화지능, 동기적 문화지능, 행동적 문화지능은 잡 크래프팅에 모두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문화지능의 하위요인인 초인지적 문화지능, 인지적 문화지능, 동기적 문화지능, 행동적 문화지능은 직무 배태성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직무배태성은 잡 크래프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넷째, 문화지능과 잡 크래프팅 간의 관계에서 직무 배태성의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모형에 따라 설정된 가설 1~4는 모두 채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두된 주요 이슈는 첫째, 조직의 지속가능경영 체계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외국근로자의 지속적인 증가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다문화된 경영환경 변화에 있어 문화지능 인식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둘째, 조직의 경영진, 관리자 리더, 실무자는 외국 근로자가 인식하고 있는 잡 크래프팅과 직무 배태성의 향상을 통한 지속가능경영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문화지능 인식의 변화를 위해 체계적인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그에 따른 실행 지속성이 요구되었다.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cultural intelligence recognized by foreign workers in Korea on job embeddedness and job crafting and the mediating role of job embeddedness were confirmed.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as follows through the SPSS WIN 21.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21.0 for the final 196 copies of domestic foreign workers engaged in the nonwoven industry and general manufacturing industry.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ntelligence and job crafting, hypothesis 1, the cultural intelligence’s metacognitive cultural intelligence, cognitive cultural intelligence, motivational cultural intelligence, and behavioral cultural intelligence all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job crafting. Second, sub-factors of cultural intelligence, such as metacognitive cultural intelligence, cognitive cultural intelligence, motivational cultural intelligence, and behavioral cultural intelligenc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job embeddedness. Third, job embeddedness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crafting.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embedd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ntelligence and job crafting. Therefore, all established hypotheses 1 to 4 were accepted. In other words, for the advancement of the organization’s sustainable management system,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ultural intelligence awareness was emphasized in the change of the multicultural business environment, which is newly emerging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of foreign workers. Accordingly, a new approach to the cultural intelligence of foreign workers was required for the organization’s executives, managers, leaders, and practitioners. In order to improve job crafting and job embeddedness recognized by foreign workers, it is necessary to promote sustainability management through a change in cultural intelligence perception. For this, the development of a systematic capacity building program and the continuity of its execution we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