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 4학년 고유어 명사 파생 접미사의 생산성 연구

        김명광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8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aspects of use of suffixes and grasping the coinage ability in terms of productivity in fourth grade children after extracting derivatives using suffixes from the origin Korean appeared in their diary corpus. Since 4th grade, the development of Concrete operation starts. Their diary corpus, therefore, are good at identifying their vocabulary ability manifesting their thought through glossary. With the reason, this study tries to extract derivatives using suffixes from the origin Korean appeared in the diary corpus of 4th grade with analysis of meta-quantitative research. This article formulates the “Using productivity” to “GP = n1(T)/)N(only if N≧2)” after existing methods of measuring productivity by examin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m. The result of assignment to the formula is that the order of productivity of suffixs is “-thusʌŋi, -tsaŋi>-k’un>-po>-ki…….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clarified the realities of using individual suffixes in the four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features of hapax legomena which make the productivity hi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kens of established words and productivity,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the productivity of derivatives and the type of bases, their comparison to each the suffixes which have a high numbers of types productivity, the psycho-cognitive features of derivatives generated by the students of the fourth grade. 이 글은 초등학교 4학년의 일기문 말뭉치에서 나타나는 고유어 명사 파생접미사로 형성된 파생어를 추출한 후, 4학년 아동들의 조어 능력을 생산성 측면에서 파악한 후 그 사용 양상을 밝힌다. 접미사 추출방법은 U-tagger 프로그램과 빈도 사전을 연결시키는 메타 계량적인 분석 방법을 이용한다. 생산성은 기존의 방법을 보완한 “사용 생산성(GP) =n1(T)/N”라는 공식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24개의 접미사의 생산성을 검증한다. 그 결과 “-투성이, -장이>-꾼>-보>-기>-둥이>-쟁이>-질>-이>-(으)ㅁ>-꾸러기>-개>-깔, -씨, -새, -이1, -살이, -뱅이>-지기, -짝, -뜨기, -아치”라는 생산성 정도가 도출되었다. 아울러 표본 내 말뭉치에서 단발어가 없어 생산성이 0인 접미사에 ‘-깔, -씨, -새, -이1, -살이, -뱅이’가 있으며 개체 수가 없는 접미사에는, ‘-지기, -짝, -뜨기, -아치’가 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들의 개별 접미사 활용 사용 양상을 밝혔다. 특히 생산성을 높여주는 단발어들의 특성, 기존어의 개체수와 생산성의 상관 관계, 파생어의 생산성과 어기의 구조 관계, 유형수가 많은 접미사들의 생산성 비교, 4학년 시기의 심리 인지적인 측면과 연관된 파생어의 특성 등 다양한 측면들을 밝힌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정의 표준화에서 고려되어야 할 몇 문제

        김명광 한국국어교육학회 2007 새국어교육 Vol.0 No.76

        A study on disputed ideas on the standarization of curriculum of Korean 지금까지 한국어교육은 국내외의 교육적 압력 때문에 표준적인 한국어교육과정이 없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외의 한국어 교육 수요의 증가, 한국어 교육 기관의 폭발적인 설립으로 인해 기준과 참조가 될 만한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축은 시급한 당면 과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표준적인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전제가 되어야 하는 표준화의 범위와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는 표준화를 ‘설계 수준에서의 표준화’, ‘하위 한국어 교육과정’의 표준화, 교육과정 내부 조직의 표준화, 교과목의 표준화, 그리고 명칭의 표준화“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글은 표준화를 국가 수준, 일반학문취업 목적, 등급과 교과목 병행 교육과정과 문화 영역 그리고 6등급의 표준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내외 외국인 근로자 정책과 대안: 특수 목적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김명광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1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 No.2

        이 글은 취업 목적 외국인들에 대한 특수 목적 교육의 다양한 환경과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책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2절에서는 국외 외국인 근로자 정책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본다. 2절에서는 1988년도 시작된 외국인 근로자의 국내 유입과 확대, 그리고 1993년도에 외국인 산업연수생 제도(industrial trainee system, 이하 ITS로 부르겠다), 그리고 2003년도부터 시작된 고용허가제 제도라는 외국인 근로자 정책을 살펴본다. 산업연수생 제도는 노동 3권과 민간 기관의 독점권으로 인하여 많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함을 밝힌다. 고용허가제(Employment Permit System) 제도는 노동 3권과 고용 절차의 투명성을 시도하였지만, 1년 마다 계약, 동일 직장 근무 조건, 입국 비용의 과도한 책정 등으로 인하여 역시 문제가 있음을 밝힌다. 3절에서는 이에 따라 국내의 고용과 교육, 평가의 방향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살펴본다, 고용 허가제 하에서 그 도입 규모가 대체로 증가함과 그 직종이 제조업, 건설업, 농축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확대되었음을 말한다. 4절에서는 산업연수생 제도 하에서 국외 교육과정은 기초 한국어 120시간인 반면 고용허가제 제도 하에서는 20시간으로 줄어들어서, 수업 시수의 환원과 함께 한국문화, 쓰기, 말하기와 같은 영역을 새로이 설정해야 함을 역설한다.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various situation and status quo of the education for specific purpose for foreigner who want to earn job in Korea. The chapter 2 describes changement from temporal system to Industrial Trainee System, and from that to Employment Permit System. The drawbacks of ITS are not to guarantee three rights of labors, inducing to absurdities and departure from factories by foreign labors. To correct the shortcomings, The Ministry of Labor of the Republic of Korea change the system to Employment Permit System. The features of EPS are, the first to guarantee three rights of labors, and the second to implement EPS-TOPIK(Employment Permit System - Korean Proficiency Test) which is tested by job of seekers in abroad in order to improve the procedure to be clear. But, This system have also, shortcomings such as article of Contract for Each Year, The same factories for contracting period, deficit against validity of the test, etc. The chapter 3 discusses on the change of types of labor which is permitted in Korea. The change of them is to extend occupation of services in addi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the construction industry, agriculture and stock-breeding industry. And the chapter also discusses on the movement of implemental organization for EPS-TOPIK from The International Korean Langauage Foundation((IKLF) and The Committee of the World Certification Test(CWC)) to Industrial Human and Resourses and more on the extension of the testee countries number from 6 to 15. The chapter 4 looks into the change in abroad according the change of policies in Korea, especially,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are almost the same but the times(20) are more shorter than one(120) before the EPS.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tent of curriculum be changed to the speaking and writing area for job fields.

      • KCI등재

        BTS의 온라인 한국어 교육 영향도에 대한 일고 -미국 지역을 중심으로-

        김명광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5

        이 글은 미국에서의 방탄소년단(BTS) 음악이 한국어 교육 수요에 얼마만큼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글은 Google Trend, Noxinfluencer, Social Blade 등의 공개된 프로그램 사이트를 통하여 객관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밝힌 주요 내용은 첫째, 미국의 한류는 K-POP이 주도하고 있으며, 접근 경로는 온라인 매체의 다운 방식과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또한 수동적인 접근보다는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한류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미국의 한국어 교육 수요는 정부 부처(또는 정부 출현 기관)들에 의해서파악되고 있는데, 대개 오프라인상의 통계, 기관 별 한국어 교육 실태가 주로논의되고 있었다. 셋째, BTS의 온라인 한국어 교육 영향도는 정적 관계를 가진다. 곧 BTS에 대한 관심도(검색 조회 비율)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전반적으로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도 함께 높아진다. 하지만 관심도 기울기 측면으로볼 때 BTS의 관심도가 한국어 교육에 대한 동기 그리고 초기 학습에는 중요한요인으로 작동하지만, 학습의 지속성을 유지시키는 데는 그리 큰 영향력을 주지못하였음을 밝혔다. 아울러 영화나 태권도와 같은 다른 영역의 한류는 한국어교육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못함을 살펴보았다. 넷째, 지역별 한국어 교육 선호도는 ‘워싱턴>네바다>버지니아>캘리포니아’ 등으로 LA 소재 캘리포니아주 이외에 워싱턴, 네바다, 버지니아주도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새로 밝혔다. This influence is observed through an objective analysis of public websites that monitor search trends such as Google Trends, NoxInfluencer, and Social Blad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pularity of K-POP is part of the Korean Wave in the United States and is consumed through online media downloads and internet streaming services. A change in the manner of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ve—from a passive to an active approach—is also observed. Second,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is illustrated through a series of research reports (mostly offline statistics and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er institution, etc.) compiled by government or government-controlled institutions. Third, interest in BT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Korean online; the higher the interest in BTS (search rate), the higher the overall interes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in terms of the degree of interest, despite being an important initial motivational factor for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e interest in B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intaining the continuity of learning. Additionally, it was noted that Korean Wave in other areas, such as movies and Taekwondo, did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desire for learning Korean. Finally, fiv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nnels related to BTS were found, and the number of American viewers and subscribers was presented through influencer-centric programs such as Social Blade. The decreasing order of preferenc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region is as follows: Washington, Nevada, Virginia, and California.

      • KCI등재

        해외 귀국 학생들의 동일 기능 관계절 사용 실태 분석과 진단- 5학년 귀국 학생을 중심으로

        김명광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78

        이 글은 해외 귀국 학생들(5학년)의 관계절 사용 실태에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을 살펴본다. 관계절은 표제 명사의 종속절에서의 역할과 표제 명사의 주절에서의 역할에 따라 총 15가지의 관계절이 나타난다. 이 때 해외 귀국 학생들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관계절에는 표제 명사가 주절과 종속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 기능 관계절이다. 여기에는 ‘주어 - 주어 관계절, 목적어-목적어 관계절, 부사어-부사어 관계절’로 나누어진다. 해외 귀국 학생들이 이러한 종류의 관계절을 만드는 심리적 측면에는 ‘쉬운’ 어휘를 통하여 최대한 ‘간편하게’ 그리고 최대한 ‘단순하게’ 만들고자 하는 의도(평면 구조 지향 의도)가 담겨져 있다. 이러한 의도는 ‘주절 동사 논항의 계기적 연결 현상’, ‘나열 구조로의 지향 현상’, ‘주절 동사와 종속절 동사의 인접 현상’, ‘1000개 미만의 빈도수를 가진 주절과 종속절 동사 출현’, ‘1인칭 주어 사용과 생략 현상’등으로 나타난다. This study clarifies various feature appeared the corpus of relative clauses of remigrant students in the fifth grade. the relative clauses are divided into 15 dimension according the role of head noun in the subordinate clause and principal. It is very popularity among 15 types to The Same Function Relative Clause(for short, SFRC) in which the function of head noun appeared in subordinate clause and principal clause have the same. The SFRCs are three, that is the Relative clause having Subject-Subject head noun(sS), Objective-Objective head noun(oO), and adverbial-adverbial head noun(adv-adv). The psychological intentions of remigrant students generating SFRCs are to maximize to make the sentences with facilitation and supplication, toward planar structure. The intentions express consecutive liaison between the arguments of the principal clause, corelation toward serialized structure, adjacency between subjects of subordinate clause and one of principal clause, and practical use of the basic level of verbs less than 1000 frequency, interpolation and omission of the first person subject.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과 교육과정의 비교와 대조

        김명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4 No.-

        이 글은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을 한국어 교육과정의 상호 비교와 대조를 통하여 이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힌다.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은 그 가르치는 소재가 ‘한국어’이며, 상위 교육과정 구축 개발 과정을 따른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하지만 국어과 교육과정이 한국인을 주된 대상으로 가르치기 때문에 교육 목적, 학습자, 교육 기관, 교과목, 수업 시수, 등급이 비교적 균질적이면서, 예측 가능한 반면, 한국어 교육과정은 개별적인 교육 환경으로 인하여, 이러한 항목들이 다양하게 분화한다.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and contrasting between KLCK and KLCF. The common things between KLCK and KLCF are the subject, that is, Korean and the developing procedure they follow. But these are very different as the aspect of aims, learner, education organization, subjects, time, level, etc. The aims of KLCK are on the focus of knowledge, accuracy, ability of usage, creative expression, critical understanding on Korean materials, and attitude for developing Korean and culture. The aims of KLCF are on the focus of knowledge, accuracy, fluency, function of language, understanding and using culture background, communication between their culture and our one. The leaners of KLCK are Korean and the emigrants who follow the curriculum of Korean, but one of KLCF are the foreigners and emigrants who follow the curriculum of emigrant country. the foreign learners are divided into some ones, that is, emigrants, parents and their siblings who live in korea, the parents who is the member of Korean and foreigner, foreign worker who live in and abroad, preliminary student who want to enter Korean universities, the student who are in Korean Univ. abroad and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learn Korean as second language. The education organizations of KLCK are regular school which is under the contro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ones of KLCF are various such as foreign government organization, foreign Univ. foreign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The sixth is center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Korean education center in Korea, Language training center in Korea, Korean Univ, etc. The subjects of KLCK are Listening, Reading, Speak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but ones of KLCF are Listening, Reading, Speaking, Writing. grammar, and culture which are divided into Korean politics, economics, social, literatures etc. The education time of KLCK is 210-238 time - 15 weeks - 12 school years - 2 or 4 univ. years. but The ones of KLCF are 20-15 weeks(Internal education organization), 75-120 hours(foreign government organizations), 2-4 years(Universities), 120 credit(Korean educator centers), 2hours- 16weeks-2 semester(the center of foreign workers) The curriculum system of KLCK are Content-oriented curriculum, but ones of KLCF are both content-oriented curriculum and level-oriented curriculum.

      • KCI등재

        EPS-TOPIK 기능과 효과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명광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학 Vol.20 No.1

        이 글은 EPS-TOPIK이 가지고 있는 평가 본연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고용허가제 제도하에 EPS-TOPIK의 위상과 그 특수성을 논한다. EPS-TOPIK은 외국인 고용을 위한 시험, 산업현장에 필요한 한국어 구사 능력, 직무 능력 항상과 직장 생활 적응 능력을 중시하는 특수한 성격이다. 이에 따라 평가 방식, 합격 기준, 문제 출제 방식과, 문제 시행 방식에서 일반 한국어 능력 시험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특수성을 기반으로 EPS-TOPIK이 학습자들에 대한 교육적 환류 효과를 가질 수 있느냐는 평가 기능 측면에서 논의를 한다. 이 때 EPS-TOPIK의 경우 시험별 출제 방식이 시기 별로 바뀌었지만, 이는 한국어 능력 신장이나 직무 능력 향상과 같은 EPS-TOPIK의 평가 본연의 기능보다는 노동 수요적 측면에서 바뀐 것으로 문제가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EPS-TOPIK의 평가 문항이 교재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타당성이 부족하다. 이에 첫째, 교재 대비 평가 항목간의 비율, 그리고 영역별 출제 비중을 균질화하여야 하며, 둘째 직무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직무 관련 출제 비중을 높여야 함을 주장한다. 셋째, 직무 관련 출제를 선택형으로 바꾸어서 학습자들이 자신들이 갈 직무에 좀 더 초점을 맞추어 학습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하며, 넷째, 지금의 영역과 상관 없이 합격 기준을 동일하게 하고, 그 난도를 조절해야 함을 주장한다. 다섯째, 외국인 학습자의 직무 실제성을 고려하여 문항을 만들어야 하며, 여섯째, 출제와 영향을 주는 교재와의 타당성 문제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 등을 주장한다.

      • KCI등재

        몽골의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일고찰 : 목적에 따른 영역 별 교과목 관계를 중심으로

        김명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8 No.-

        This study is to clarify a part of the Curriculums of Korean(Mongolia National Univ., Mongolia education Univ. and Private Ullanbator Univ.) established by Mongolia through the system of higher categories and sub categories, division between individual subjects, the times of individual subjects, etc. The three universities' curriculums are different with each other, especially aims and distribution of subjects. The scopes of Korean can divide into Function of using Korean, Grammar, Literature, Culture, Practical use, Education, The other, etc. And Each of scope, also, can divide into sub-ones according their aims. The aims of Korean of Mongolia National Univ. is mainly interested in the scopes of Function, and Grammar. But according to the aims of one of Mongolia Univ. Each have different scopes. For example, Mongolia National Univ focuses on the practical uses and culture. Mongolia education Univ. has propensity for establishing subject for teacher of Korean, and Ullanbator Univ, for practical use, culture and literature. 이 글은 한국어 교수-학습의 지향 목표를 거시적으로 분류하였을 때 나타나는 상위 영역 항목과 각 상위 영역에 포함되는 개별 교과목들의 범주와 각 영역의 교과목 시수를 통하여, 몽골의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요소 간 유기적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영역은 교수-학습 지향점에 따라 크게 ‘언어 사용 기능, 문법, 문학, 문화, 실용, 교육, 기타’ 등으로 나뉘며 이는 다시 각 영역에서 지향하는목표에 따라 세부적인 교과목 영역으로 분류된다. 몽골의 각 대학교는 대개 ‘한국어 문법’과 ‘언어 사용 기능 영역’을 강조하지만, 그 외의 영역은 각 대학교의 교육 의도에 따라 상호 비중이 다르게 편성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