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괄입찰방식의 적격심사분이별 배점 결정모델 개발

        김만철,구교진,현창택,Kim Man-Chul,Koo Kyo-Jin,Hyun Chang-Taek 한국건설관리학회 200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6 No.4

        건설 전체 프로세스를 하나의 주체가 단일 책임하에 수행하는 일괄입찰방식은 설계와 시공의 연계로 인한 기술력확보, 공기단축, 사업비절감, 품질확보 등의 예상효과로 인해 적용이 확대되리라 예상되는 발주방식의 하나이다. 한편, 국내 일괄입찰방식의 낙찰자 결정방법은 일괄입찰방식으로 수행되는 모든 프로젝트에 동일한 배점기준을 적용하도록 되어 있어, 일괄사업자 선정시 발주자의 목적과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괄사업자 선정에 있어서 발주자의 목적과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일괄입찰방식의 적격심사 분야별 배점 결정모델을 제안함으로써, 발주자가 당해 프로젝트에 최적인 일괄사업자를 합리적으로 선정하는 것을 돕고자 하였다. Design-build that a single entity performs whole construction process under singular responsibility is one of the project delivery system comes to take expectation effects of time savings, cost saving, and quality assurance. On the other hand, a current domestic method for selecting a design-build contractor is difficult to reflect the purpose of owner and the project characteristics when owner selects the design-build contract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model for deciding evaluation weights in design-build which can reflect the purpose of owner and the project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can help owner to select the best suitable design-build contractor for the project.

      • KCI등재

        해양방선균 Streptomyces sp. ACT-1의 동정 및 항산화 활성

        김만철,김주상,김윤범,한용재,허문수,Kim, Man-Chul,Kim, Ju-Sang,Kim, Yun-Beom,Harikrishnan, Ramasamy,Han, Yong-Jae,Heo, Moon-Soo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4

        For the research of the natural antioxidant from marine sources, an antioxidant-producing marine actinomycetes was isolated from sea water in Jeju coastal area. The strain was identified based on 16S rDNA sequencing, the morphology by a method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ellular fatty acid analysis. The isolated strain ACT-1 cell size was $0.5\sim1.0{\mu}m$ and gram positive, aerobic, nonmotile, substrate mycelium are red and gray aerial mycelium. 16S rRNA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were Gram-positive bacteria grouped on Streptomyces genus. Results of cellular fatty acid analysis showed that major cellular fatty acids were $C_{15:0}$ anteiso (39.33%), $C_{16:1}$ cis 9 (11.96%), $C_{16:0}$ (13.08%) and $C_{17:0}$ anteiso (10.99%). Finally, strain was identified Streptomyces sp. ACT-1.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treptomyces sp. ACT-1 was evaluated by measuring DPPH, hydroxyl, and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an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met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BME-1 (Streptomyces broth methanol extract) was 67% at $1,000{\mu}g$/ml.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BME-1 was 84% at $500{\mu}g$/ml.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BME-1 was 71% at $1,000{\mu}g$/ml. 이 연구는 해양 유래의 천연 항산화물질에 관한 연구로서 항산화물질 생산 해양 방선균은 제주연안 해수에서 분리되었다. 균주는 16S rRNA 염기서열, 전자현미경에 의한 형태학적, 생리, 생화학적 및 세포 지방산 분석을 기초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 ACT-1은 그람양성, 호기성, 비운동성, 기질균사체색이 red, 기중균사체 색이 gray계열 이었다. 세포지방산 분석결과 주요 지방산으로 $C_{15:0}$ anteiso (39.33%), $C_{16:1}$ cis 9 (11.96%), $C_{16:0}$ (13.08%)와 $C_{17:0}$ anteiso (10.99%)로 분석되었으며, 최종적으로 Streptomyces sp. ACT-1으로 동정되었다. Streptomyces sp. ACT-1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hydroxyl, alkyl radical 소거활성을 ESR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SBME-1 (Streptomyces broth methanol extract)의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67%,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500{\mu}g$/ml에서 84%, Alkyl radical 소거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71%를 보였다.

      • KCI등재

        제주 연안에서 분리한 항산화물질을 생산하는 균주의 동정 및 배양학적 특성

        김만철,허문수,Kim Man-Chul,Heo Moon-Soo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5

        합성 항산화제에 대응할 수 있는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해양 미생물을 이용한 연구를 하였으며, 전자공여능으로 항산화 물질 생산 능력이 우수한 해양 미생물을 분리하여 SC2-1라고 명명하였다. 분리 균주 SC2-1은 제주 연안 해수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생화학적, 유전학적, 세포벽의 지방산 조성을 토대로 최종적으로 Exiguobacteriurm sp. SC2-1로 동정 하였다. 항산화물질을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및 영양원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산화물질 생성 최적 온도는 $25^{\circ}C$이고, 최적 pH는 7.8이며 최적 배양시간은 24시간이었다. 항산화물질 생산 최적 배지조성은 기본배지로 Marine broth에 탄소원으로는 maltose 였으며, 적정농도는 $2.5\%(w/v)$ 였다 질소원에서는 유기태 질소원인 yeast extract이었고, yeast extract 최적농도는 $1.5\%(w/v)$였으며, 최적 무기염류는 $0.05\%(w/v)KH_{2}PO_{4} $를 첨가 했을때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최적배지 조건에서의 Exiguobacterium sp. SC2-1 배양액의 항산화 활성과 합성 항산화제, 천연 항산화제와의 비교실험 결과는 균주의 전자 공여능은 $93\∼95\%$,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BHA는 $94\∼95\%$, 천연 항산화제 $\alpha-Tocopherol$은 $94\%$로 거의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n antioxidant- produc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sea water in Jeju island. The isolated strain, SC2-1 was gram-positive, catalase positive, facultatively anaerobic, oxidase negative, motile and small rods. The strain utilized sucrose, dextrose, fructose, mannitol and maltose as a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and sodium chloride was required for the bacteria growth.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ulture supernatants was determined by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method. This bacterium was identified based on cellular fatty acids analysis and 16S rDNA sequencing, and then named Exiguobacterium sp. SC2-1. The modified optimal medium compositions required the addition of maltose $2.5\%(w/v)$, yeast extract $1.5\%(w/v)$ and $KH_{2} PO_{4} 0.05\%(w/v)$ in marine broth (Difco. Co. USA). Antioxidant activity of under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93\%$.

      • 국내 공공부문 설계시공일괄입찰방식의 낙찰자 선정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김만철,서용철,구교진,현창택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

        Design-Build is considered as the project delivery system to manage construction process more efficiently than design-bid-build. So Korea government has encouraged Design-Build in public sector. But single selection method of weighted criteria doesn't provide the greatest value to owner.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selection method to meet owner's needs and project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oposes four types of selection method. Each of selection method is focused on price, qualification, time. The use of these selection methods enable owner to provide the greatest value.

      • KCI등재

        해양에서 분리한 Exiguobacterium sp. SC2-1의 항산화 활성 및 특성

        김만철,박근태,손홍주,최우봉,허문수,Kim Man-Chul,Park Guen- Tae,Son Hong-Joo,Choi WooBong,Heo Moon-Soo 한국미생물학회 2005 미생물학회지 Vol.41 No.1

        제주도 연안의 해수로부터 항산화물질을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였으며 항산화물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항산화 생성 균주는 그람양성의 통성혐기성균으로 운동성을 가진 단간균이었으며 생육시 NaCl를 필요로 하였다. 분리균주는 형태학적, 배양적, 생화학적 특성 및 165 rDNA 염기서열 분식결과 Exiguobacterium 속으로 동정되어 Ekiguobaoteriurn sp. SC2-1로 명명하였다. 항산화물질 생산균주 배양액의 radical 소거활성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법을 사용하였으며, 항산화물질 생성 최적조건은 $25^{\circ}C,\;NaCl\;4\%,\;pH\;6\~8$ 이었으며, 최적 탄소원은 $1\%$ maltose였다. 배양액의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73\%$였으며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35\%$를 나타내었다. For the reseach of the natural marine antioxidant, an antioxidant-produc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seawater in Jeju costal area. The isolated strain SC2-1 was Gram-positive, catalase positive, oxidase negative, motile and small rods. The strain utilized sucrose, dextrose, fructose, mannitol and maltose as a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and NaCl required for growth.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ulture supernatant was detemined by DPPH method. This bacterium was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16S rDNA sequence analysis, and then was named Exiguobacterium sp. SC2-1. The optimum conditions of culture for production antioxidnat were $25^{\circ}C$, pH 6-8 and $4\%$ NaCl. The stain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nd growth cultured in medium which added $1\%$ maltose. Hydroxyl radical activity of the supernatant of Exiguobacterium sp. SC2-1 was $73\%$. The SOD activity of the culture supernatant was estimated about $35\%$.

      • KCI등재

        양식장 배출수 퇴적층에서 분리된 리파아제 생산 박테리아의 동정 및 배양학적 특성

        김만철,장태원,장익수,여인규,정준범,허문수,Kim, Man-Chul,Jang, Tae-Won,Harikrishnan, Ramasamy,Jang, Ik-Soo,Yeo, In-Kyu,Jeong, Joon-Bum,Heo, Moon-Soo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1

        제주 연안 양식장 배출수 퇴적층으로부터 미생물 배양 배지를 사용하여 총 200여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주를 이용하여 olive oil이 함유된 평판배지에서 투명환을 형성하는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를 LI-68, LI-80로 각각 명명하였다. 분리 균주 LI-68, LI-80의 BIOLOG를 이용한 생화학적 분석 특성 및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Janibacter anophelis와 99%의 유전적 상동성을 보여 최종적으로 Janibacter sp. LI-68, Janibacter sp. LI-80으로 동정되었다. 분리 균주 Janibacter sp. LI-68과 Janibacter sp. LI-80의 증식을 위한 최적 배양온도를 확인하고 증식온도에 따른 지방분해효소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배양 온도를 $20^{\circ}C$에서 $40^{\circ}C$까지 $10^{\circ}C$ 간격으로 배양하여 균체의 증식과 분비되는 지질분해 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리균주 Janibacter sp. LI-68는 $30^{\circ}C$ 배양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도를 나타냈으며, 효소활성은 균 생육도와는 다른 $40^{\circ}C$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반면 Janibacter sp. LI-80 균주는 $30^{\circ}C$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도를 보였으며, 효소활성은 균 생육도와 반비례하여 $40^{\circ}C$에서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From the course of screening of useful enzyme producing microorganism from marine sedimentary layer, we isolated 2 lipase producing strains and their lipase producing activities were tested. 16S rDNA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they were Gram-positive bacteria grouped on Janibacter sp. An excellent lipase producing strain, Janibacter sp. LI-68 and J. sp. LI-80 identified by 16S rDNA analysis and biochemical methods (BIOLOG), was further studied its lipase producing characteristics. The optimum initial pH, temperature and the optimum cultral time for the enzyme production on MA medium were 8, $30{\sim}40^{\circ}C$ and 96 h,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