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여적 작업관행이 근로자의 내재적 보상과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 : 지식의 매개효과

        김동배,이인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1 No.2

        Using the HCCP(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2005 wave,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high involving work practices on intrinsic rewards and wages of employee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job knowledge. We find that employee involve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rinsic rewards and wages of workers. This key mechanism linking high involving work practices and intrinsic rewards appears to be the knowledge about the tasks and work processes employees perform Employee involvement increases the knowledge of work, which provides intrinsic rewards and higher wage to workers. The hypothesis that training and task uncertainty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involving work practices and job knowledge was not supported.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원 기업패널조사(2005)' 자료를 사용하여 참여적 작업관행이 어떤 경로를 통하여 근로자에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우리는 업무관련 지식이 참여적 작업관행과 내재적 보상 및 임금 간의 관계를 매개할 수 있다는 연구가설과, 참여적 작업관행과 지식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으로서 교육훈련과 과업 불확실성을 설정하였다. 제조업의 현장 감독자 및 근로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식은 참여적 작업관행과 내재적 보상 및 임금수준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육훈련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과업의 불확실성은 예상과는 반대로 부(-)의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간제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탐색적 연구

        김동배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05년~2009년의 사업체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기간제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규직 고용보호의 지표인 노동조합은 정규직 전환 확률이나 전환비율을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지만, 정규직 고용보장 여부는 기간제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정규직 근로자의 기능적 유연성은 2007년~2009년 표본에서 정규직 전환 확률과 전환비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 수량적 유연성으로서 기간제 이외의 비정규직 비중은 2005년~2007년 표본에서는 정규직 전환비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2007년~2009년 표본에서 정규직 전환 확률과 정규직 전환 비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경직성의 지표인 호봉제는 2007년~2009년 표본에서 정규직 전환 확률과 정규직 전환 비율을 모두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간제 보호법 시행 이전인 2005년~2007년 표본과 법률 시행 이후인 2007년~2009년 표본간에 정규직 전환 확률이나 전환비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결과가 갖는 함의와 추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Using the 2005, 2007, and 2009 waves of the Workplace Panel Survey(WPS) data by Korea Labor Institut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 work into permanent employment. Fixed-term contracts are a representative form of nonstandard work in Korea. The share of fixed-term contracts among all wage-earning employees in Korea stands at roughly 15% as of 2013. As in other countries, Korean researchers have extensively debat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fixed-term contracts, and previous studies tell us that both the "bridge" and "trap" effects of fixed-term contracts co-exist in Korea. Previous studies regarding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have to date been conducted mostly by economists and sociologists, and their analysis has focused primary on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firm. So much more research is needed at firm level to determine which firms allow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to permanent jobs, and which firms do not. This paper explores the antecedents of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to permanent employment.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is paper explores five research hypotheses. H 1: Employment protection level of regular work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to regular employment. H 2: Functional flexibility of regular work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to regular employment. H 3-1: The intensity of nonstandard work, except for fixed-term contracts, is positively with the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to regular employment. H 3-2: The intensity of fixed-term contracts is positively with the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to regular employment. H 4: Seniority pay of regular work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to regular employment. H 5: Non-regular worker related laws in Korea enacted in July 2007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to regular employment. This paper divided the 2005~2009 waves of the WPS into two sub-samples, that is a 2005~2007 sample and a 2007~2009 sample to coincide with the WPS's convention of measuring the incidence and intensity of transition over two years. Dependent variables are the incidence and intensity of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Except for testing H5, this paper used two sub-samples for its model estimation. For H5, this paper pooled the two sub-sample data sets and estimated the effect of new Korean laws by using a year dummy. We used logistic regression to estimate the incidence and tobit regression to estimate the intensity of transition out of fixed-term contra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Existence of a trade union (H1), an indicator of the employment protection level of regular work,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in the 2005~2007 sample. But provision of employment security (H1), another indicator of employment protection level of regular work, was not related with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Functional flexibility of regular work (H2) was positively related with both the incidence and intensity of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in the 2007~2009 sample. The intensity of nonstandard work, except fixed-term contracts (H3-1), was positively related with both the incidence and intensity of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in the 2005~2007 sample, and the intensity of fixed-term contracts (H3-2) was positively related with both the incidence and intensity of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in the 2007~2009 sample. Seniority pay (H4) was negatively related with both the incidence and intensity of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in the 2007~2009 sample. Enactment of nonregular worker related laws in Korea (H5) were not related with transition from fixed-term contracts.

      • 인사관리와 조직성과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동배,김강식 한국항공대학교 경영연구소 2000 경영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인사관리와 조직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인사관리는 어떻게 조직성과를 높이는가, 조직성과를 높이는 인사관리가 왜 확산이 느린가가 주요한 검토 대상이다. 인사 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경로는 크게 구조적 효과, 개인의 동기와 역량을 형성하는 개인행위를 통한 효과, 그리고 인사관리시스템은 조직의 전략적 자산으로서 지속적 성과를 낳는다는 3가지점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와 관련해서 선행연구들에서 소홀히 취급하고 있는 4가지 점으로서 비용의 고려, 인사관리의 기능적 등가, 근로자 복지에 미치는 영향, 외부효과의 고려가 향후 연구에서 규명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조직성과를 높이는 인사관리의 확산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보완성의 문제, 변화 비용, 경영자의 인식과 행위, 그리고 사회제도의 4가지로 나누어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에서 소홀히 취급된 영역으로서 상이한 제도적 환경속에서 인사관리의 확산도 달라질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RM and firm performance. Especially this study reviewed how HRM enhance firm performance, and if HRM enhance firm performance, then why such HRM does not diffuse rapidly? With the first question, we examined 3 mechanism that is through structural effect, individual motivation and capability, and as a strategic asset HFZM system create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In addition we pointed out that cost of HRM adoption, functional-equivalent of HRM, employee welfare, and external effect of HRM practices should be incorporated in future studies. As barriers of HRM diffusion, we examined complementarities of HRM practices, switching cost, managers belief and myopic behavior, and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corporate governance, industrial relations system, and n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n addition we pointed out that HRM diffusion will show difference by countries because institutions are differ by countries. So institutional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노년기의 사회적 활동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김동배,이은진,이경원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62

        The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y and marital intimacy of the elderly. A mediating model structured by self-esteem was used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data was obtained through the Seoul Welfare Panel Data Study compiled by the Seoul Welfare Foundation in 2010. This study analyzed 1,992 people over 50 years old. SPSS 18.0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e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social activity indicated significant effects on marital intimacy. Second, self-esteem function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y and marital intima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to promote marital intimacy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년기의 사회적 활동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복지재단에서 조사한 2010년 서울시 복지패널조사 자료에서 만 50세 이상의 유배우자 노인 1,99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SPSS 18.0을 활용하였고, Sobel Test를 통해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년기의 사회적 활동이 부부친밀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비정규직 인사관리의 영향요인과 효과 : 계약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김동배,이인재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6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비정규직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지만, 직접고용 비정규직의 인사관리 결정요인과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이 2004년도에 실시한 제3차 사업체패널 자료를 사용해서 직접고용 계약직 근로자의 인사관리 영향요인과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규직의 육성형 인사정책과 정규직의 참여적 작업관행이 정규직 인사관리의 계약직에의 적용 즉 비정규직 인사관리의 통합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인사관리의 통합정도는 비정규직 활용목적과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직무구분 여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데, 유연성 목적으로 계약직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비정규직 인사관리의 통합정도와 정(+)의 관계가 나타난 반면,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직무구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부(-)의 관계가 나타났다. 비정규직 인사관리의 통합정도는 비정규직 활용 성과와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결과가 갖는 함의와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 수량적 유연화 방식과 기능적 유연화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동배,이영면,김정원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4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최근 들어 기업들은 비정규직 활용을 통한 고용의 수량적 유연화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단기적으로 비용효율성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량적 유연화 방식이 정규직의 기능적 유연화를 방해한다면 장기적으로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기업의 수량적 유연화 방식에 대해 2001년이후 매년 2천여개의 사업체를 조사하고 있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그 현황을 살피고 수량적 유연화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량적 유연화를 정규직에 대한 고용보장과 비정규직의 활용을 기준으로 미추구형, 정규직 조정형, 혼합형, 그리고 비정규직 조정형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유형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유형 결정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노동조합, 경영전략, 전문경영체제, 모기업, 사업장의 연령, 외국인 지분율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양한 기업 특성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 수량적 유연화 유형과 기능적 유연화 방식의 관계를 살펴 보았는데 미추구형을 기저집단으로 한 경우에 정규직과 비정규칙을 동시에 고용조정하는 혼합형의 경우 상대적으로 기능적 유연화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경쟁우위 전략으로 핵심인력의 기능적 유연화를 추구할 경우 혼합형을 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