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 전압용 96-dB 신호대잡음비를 갖는 저역통과 디지털 과표본화 잡음변형기의 설계
김대정,손영철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1 No.05
A digital over-sampling noise-shaping coder to achieve the processing accuracy for the audio signal bandwidth is designed. In order to implement an optimized design of the noise-shaping coder as a form of IP (intellectual property), circuit design techniques that optimize the multiplication and the ROM architectures are proposed with emphasis on the low-voltage operation under 2.0 V and the minimization of the hardware resources. In the design and verification methodology, the overall architecture and the internal bit width have been determined through behavioral simulations. The overall performances including timing margin have been estimated through transistor-level simulations. Furthermore, the test results of the implemented chip using a 0.35-μm standard CMOS process prove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ircuits and the design methodology. 음성신호 대역을 처리할 수 있는 정밀도를 가지는 디지털 과표본화 잡음변형기를 설계하였다. 디지털 잡음변형기가 IP의 형태로서 최적화 된 설계가 되기 위해, 2.0 V의 저 전압에서 동작할 수 있고 하드웨어 소모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어 디지털 데이터처리 동작을 위한 곱셈기능, ROM 구조 등의 회로설계를 최적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설계 및 검증의 방법론에 있어서는 동작수준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전체 구조 및 내부 비트 수를 결정하였고, 트랜지스터 수준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체 타이밍과 최종 성능을 예측하였다. 또한 0.35-μm 표준 CMOS 공정으로써 테스트 칩을 제작한 후 측정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부합함을 확인함으로써 제안하는 회로와 설계 방법론이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김대정 한국토지법학회 2019 土地法學 Vol.35 No.1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register in the Article 245 paragraph 2 of the Korean Civil Code(KBGB) is a copy of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register in the Article 225 of the Manchuria Civil Code(MBGB), and the latter system is a copy of the system of Normal acquisitive prescription by register of the Swiss Civil Code(ZGB). And the system of Normal acquisitive prescription by register of the ZGB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register of the German Civil Code(BGB).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at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register of the KBGB belongs to the German law.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possession in the Article 245 paragraph 1 of the KBGB is a copy of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possession for unregistered properties under Article 224 paragraph 1 of the Manchuria Civil Code. However,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possession for unregistered properties of the MBGB was based on the provisions of Article 662 on the Special Acquisitive Prescription system of the ZGB. Therefore, it is hard to agree with the view that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possession of the KBGB is a copy of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possession of the Japanese Civil Code(JBGB). In addition, the KBGB recognizes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register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French Civil Code(FBGB) or the JBGB, and the KBGB stipulates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for movable goods separately from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for real estate, and the KBGB stipulates that ownership of real estate is not obtained by acquisitive prescription for real estate until the registration is registered. Therefore, there is a large gap between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possession under the KBGB and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possession under the FBGB or the JBGB. In my private opinion, I think the system of acquisitive prescription by possession in the KBGB belongs to the German law system. 일정기간 동안 부동산을 점유함으로써 그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부동산취득시효제도는 로마법에서 유래되어 근대민법에 계수된 제도이다. 우리 민법상의 부동산취득시효제도 역시 로마법에서 유래되어 유럽의 근대민법에 계수된 제도를 모범으로 한 것임은 물론이다. 다만, 우리 민법상의 부동산취득시효제도는 프랑스 민법이나 독일민법, 그리고 일본민법 등의 다른 대륙법계국가들의 부동산취득시효제도와 그 내용과 체계 면에서 상당히 다르다. 그러므로 우리 민법의 정확한 해석론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우리 민법에 영향을 미친 다른 대륙법계국가들의 부동산취득시효제도를 면밀히 연구하고 이를 우리 민법상의 부동산취득시효제도와 비교⋅검토하는 작업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취득시효제도에 관한 우리 민법규정의 입법연혁 및 독일⋅프랑스⋅일본 등 외국의 입법례와의 비교법적 연구는 이미 상당한 수준에 있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학설 중에는 이러한 연구 결과로서 ‘우리 민법의 취득시효제도는 프랑스 민법에서 유래된 취득시효제도를 일본민법을 통하여 계수한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일본민법에는 우리 민법과 달리 등기부취득시효제도가 존재하지 않으며, 일본민법에서는 시효기간이 완성되는 즉시 점유자가 소유권을 취득하는 반면에(동법 제162조), 우리 민법은 점유자가 시효기간의 완성 즉시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시효기간의 완성 후 소유자로 ‘등기를 한 때’에 비로소 소유권을 취득한다(제245조 제1항). 이상의 두 가지 점만을 비교하더라도 우리 민법의 부동산취득시효제도는 일본민법의 그것과는 상당히 다른 제도임을 알 수 있다. 문제는 ‘우리 민법의 부동산취득시효제도는 일본민법의 그것과 상당히 다른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학설과 판례가 일본의 판례법리를 무비판적으로 추종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우리의 대법원판례는 일본의 판례법리를 거의 그대로 모방하고 있으며, 학설도 이러한 판례의 입장을 대체로 승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최근에는 이러한 통설⋅판례의 입장이 과연 우리 민법의 해석론으로 타당한가?’ 하는 의문을 제기하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으며, ‘민법을 개정하여 부동산취득시효제도를 근본적으로 개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는 입법론도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동산취득시효에 대한 우리의 통설⋅판례가 일본의 판례법리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은 잘못이 아닌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며, 취득시효에 관한 기존의 통설⋅판례를 재검토하여 새로운 해석론을 수립하고 나아가 시효취득제도의 개혁하는 내용의 입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궁극적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준비작업의 일환으로서 우리 민법의 부동산취득시효제도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 대륙법계국가들의 취득시효에 관한 입법례를 우리 민법의 그것과 비교⋅고찰함으로써 취득시효에 관한 우리 민법 제245조의 입법계보와 정확한 위상을 밝히는 것으로 연구의 목적과 범위를 한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 민법에 직접적이고도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입법례로 평가되고 있는 만주민법과, 만주민법의 모범이 된 독일민법과 스위스민법, 그리고 우리의 구 의용민법인 일본민법과 일본민법의 모법...
김대정 한국민사법학회 2010 民事法學 Vol.52 No.-
This paper has focused on my personal opinion that aims to investigate problems in the provisions of the performance of obligations in current Korean Civil Code and to propose a way of revising and a definite plan for amendment of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The summary of conclusion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1)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the legal nature of the performance of obligations is n ot a j udicial a ct(contract) b ut i s a simple l egal f act or a q uasi judicial act, and that the full performance of obligations consist of only an objective realization of payment(in german term “Leistung”) under the Korean Civil Code. But it must be understood that the legal nature of the performance of obligations is a contract under the Korean Civil Code such as the performance of obligations is a contract under the French Civil Code(Code Napoleon), because there is the provision §464 in the Korean Civil Code that has originated from the Article 1238 of the French Civil Code(there is not such a provision in German Civil Code) and the provision(§464) provides that the performnace of a goods-delivering obligation requires legal capacity of the assignor of goods and the provision(§464) provides that the assignor of goods can make cancellation of the performance by virtue of legal incompetence of himself. Unless the Korean Civil Code premises that the legal nature of the performance of obligations should be a contract(the theory of contract: in german term “Die allgemeine Vertragtheorie”), the provision(§464) cannot be provided like this. (2) Since “the theory of contract(Die allgemeine Vertragtheorie)” has defects in the theoretical aspect, in a legislative point of view it is not to be desired that “the theory of contract(Die allgemeine Vertragtheorie)” should be prescribed in the Civil Code.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provision §464of the Korean Civil Code that prescribes as a result the theory of contract should be deleted. (3) In addition to this it needs to revise the provision §463, and §465 of the Korean Civil Code to solve these problems as follows;a. to establish a new provision(§460) that stipulates the condition and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of obligations and,b. to delete the provisions §463 of the Korean Civil Code of which is out of tune with the provisions §570 ff. of the same Code.
김대정 한국민사법학회 2009 民事法學 Vol.44 No.-
In this Study I have tried to find a concrete teaching method of lectures on Civil Law putting first in real cases by judicial precedents in korean Law Schools. The summary of the conclusion is below : ① In korean Law Schools lectures on Civil Law are classified by the criterion of the nature and the level of the lecture into a Fundamental Lecture, a Practice(exercise) or Seminar, a Training in practical, a Lecture in a high and professional stage in specialized fields. I think that the time is not yet ripe for practice the american case-method in korean Law Schools at present, and so the american case-method cannot be applied to all sorts of lectures on Civil Law lectures in korean Law Schools. But the american case-method can be applied to limited area of the Practice(exercises) or the Lectures of high and professional stage in specialized fields. ② It is actually difficult and undesirable to teach by american case-method in a fundamental stage of lecture on Civil Law in korean Law Schools. Instead of this it is reasonable to take aim of the first stage of lecture on Civil Law at making students themself familiar with the knack of grasping the fact of a judicial precedent and the basis of judgment of the precedent by blending debate-method with a lecture-method centering about the leading cases on the topic of the lecture. ③ It is desirable to take casemethod putting first in real cases by judicial precedents in a lecture on Civil Law that is in the second stage of lecture on Civil Law Practice(exercises) or Seminar. In this stage of lecture on Civil Law it is possible to take the casemethod mixed by debatemethod in which the professor supervise the process of debate. Needless to say it must to be officially noticed about the leading cases to students in advance of a lecture and all students must grasp not only the fact and the judgment of the case but a dissenting opinion etc. and they must prepare the debate in the class. ④ It is also possible and desirable to take the casemethod putting first in real cases by judicial precedents in a Lecture on Civil Law that is in a high and professional stages in specialized fields, and the method of lecture in the second stage of lecture on Civil Law Practice(exercises) or Seminar could be applied to this stage of lecture. My view of teaching method putting first in real cases by judicial precedents in a Lecture on Civil Law above is merely deduction from my experience until now, so the validity of which should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rough real lectures from now in Law Schools.
「2013년 민법개정시안」에 대한 검토 - 계약법총론에 관한 규정을 중심으로 -
김대정 한국토지법학회 2018 土地法學 Vol.34 No.2
본고는 「2013년 민법개정시안」 중 계약법 총칙에 관한 민법개정안의 당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계약법 총칙의 주요쟁점을 계약의 성립, 계약의 일반적 효력, 계약의 일방적 해소의 3개 장(章)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Ⅰ. 계약의 성립에 관한 민법개정안1. 청약의 구속력 : ‘계약의 청약은 철회할 수 없다’는 것을 기본입장으로 하는 현행민법과는 정반대로, 「2013년 민법개정시안」은 ‘청약은 원칙적으로 철회될 수 있다’는 것을 기본입장으로 하여 이와 모순되는 현행민법의 규정을 삭제하고 현행민법 제527조 내지 제534조에 해당하는 8개 조문을 제529조, 제530조, 제534조의 3개 조문으로 정리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필자도 이러한 「2013년 민법개정시안」의 개정방안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찬성한다. 다만, ‘승낙의 통지가 승낙기간(또는 상당한 기간) 내에 도착하지 못하고 연착된 경우에는 청약의 의사표시는 효력을 상실한다’고 하더라도, ‘연착된 승낙은 청약자가 이를 새 청약으로 보아 승낙함으로써 계약을 성립시킬 수 있다’고 규정한 현행민법 제530조는 존치시키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2. 계약의 성립시기 : 「2013년 민법개정시안」은 격지자 사이의 계약의 성립시기에 관하여 「발신주의」를 취한 현행민법 제531조를 삭제하고, 「도달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조문인 제534조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입법주의의 전환은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2013년 민법개정시안」이 제527조에서 “계약은 당사자가 법적 구속을 받을 의사로 그 내용을 확정할 수 있는 합의에 이르면 성립한다.”는 규정을 신설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계약은 합의에 의하여 성립한다’는 계약법의 일반원칙을 선언한 규정이라고 생각되나, 민법전에 이러한 당연한 법리를 내용으로 하는 선언적 규정을 둘 필요가 있는지는 의문이다. 또한 동조는 ‘당사자가 법적 구속을 받을 의사로 합의한 경우에 한하여 계약이 성립한다’는 취지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서, 「표시주의계약이론」의 입장에서는 ‘동의할 수 없는 문제조항’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또한 개인의 사상이나 가치관에 따라 관점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문제에 대하여 어느 한 쪽의 편향된 시각을 반영한 일반규정을 민법전에 두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3. 원시적 불능을 목적으로 하는 계약 : 「2013년 민법개정시안」 제535조는 독일민법 제311조a의 규정을 모범으로 한 것이며, 타당한 입법주의의 전환이라고 생각한다. Ⅱ. 계약의 일반적 효력에 관한 민법개정안1. 사정변경의 원칙 : ① 「2013년 민법개정시안」은 「계약의 효력」의 관(款)에 「사정변경」에 관한 제538조의2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계약해제⋅해지에 관한 규정 가운데 「사정변경」에 관한 일반규정을 신설할 것을 제안하고 있었던 「2004년 민법개정안」에 비하면 진일보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사정변경의 원칙」에 관한 신설규정은 쌍무계약의 특수한 효력인 위험부담에 관한 제538조 뒤에 두는 것 보다는 「계약의 구속력의 원칙」을 밝힌 조문을 제2관(계약의 효력) 맨 앞에 두고, 「사정변경의 원칙」을 규정한 조문은 그에 대한 예외규정이라는 점을 명확하게 부각시키기 위하여 그 바로 뒤에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② 「2013년 민법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on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ontract Law in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Korean Civil Code」. For this purpose, the main issues of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ontract Law were divided into three chapters: in the first plac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act, in the second place the general effect of the contract, and the last the unilateral cancellation of the contract. Ⅰ. The (Draft of) Revised Bill of the Korean Civil Cod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act 1. The binding force of an offer :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is based on the theory of ‘an offer cannot be withdrawn in principle’. However, in contrast to that of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the basic position of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Korean Civil Code」 is that ‘an offer can be withdrawn in principle’. Therefore, it proposes to delete the conflicting provisions(from §527 to §534) of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and to organize eight clauses to three articles(§529, §530, and §534). I am also basically in favor of the revision of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Korean Civil Code」. 2.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contract :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Korean Civil Code」 proposes that §531 of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which take the principles of sending on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contract was deleted and a new clause of §534 based on the new principles of arrival will be newlyestablished. I think this transition of legislation is vali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Korean Civil Code」 proposes to newlyestablish §527 that prescribes “Contracts shall be established when the parties reach an agreement to confirm that they are willing to be legally bound.”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declares the general principle of the contract law that ‘contracts are formed by agreement’.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is necessary for the civil code to have a statutory declaration that is matter of course. And there is room for interpretation to be made to the effect that ‘the parties acknowledg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act only when they agree that they intend to be legally bound’.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 principles of indication」, there may be criticism that ‘the clause is totally unacceptable’. It is not reasonable to have a general rule that reflects either side's biased view of the law on matters that may differ in perspective depending on individual ideas or values. Therefore, the above clause(§527) will have to be deleted. 3. A contract with a view to primitive impotence : The §535 of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Korean Civil Code」 take the provision §311a of the German Civil Code as a model. I think this is a fair change of legislative’s principle. Ⅱ. The (Draft of) Revised Bill of the Korean Civil Code on the General Effect of Contract 1.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 ①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the Korean Civil Code」 stipulates the new clause §5382 on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n subsection of 「the Effect of Contract」. ②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the Korean Civil Code」 provides for a more specific and clear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change of circumstanc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add to §5382 the requirement that ‘the change of circumstances will not be attributable to the parties’. ③ 「The 2013 Draft of Revised Bill of the Korean Civil Code」 states that “the parties may request the modification of the contract or cancel or terminate the contract”. This denie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contract through court intervention, and this means that the disadvantaged party acknowledges that it has the option to choose between the right to amend the contract and the right to cancel the contract. This would result in an adverse effect on 「the p...
2013년 「채무불이행법 개정안」에 관한 검토 –불완전이행에 관한 제390조를 중심으로-
김대정 중앙법학회 2015 中央法學 Vol.17 No.4
This paper is focused on my opinion that aims to investigate problems in the provisions on the Non-performance especially Incomplete-Performance in the Draft 2013 of the Korean Civil Code, and to present a alternative proposal for this issue. To achieve the aim of this paper, in the first place I have analyzed the phase of the theory of Incomplete-Performance by investigating the system of regulations of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on the Non-Performance, and by investigating whether or not the theory of Incomplete-Performance(it means an incomplete-performance or a positive violation of the obligatory right that provokes the expanded prejudice to creditor) is approved as a resonable theory of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and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theory that insist the §390 of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is a positive legal basis of the theory is right or not. Through these investigations I have arrived at the conclusion that while we admit the §390 of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covers incomplete-performance, from this it is not necessarily drawn the conclusion that the concept of the Incomplete-Performance of this provision covers a positive violation of an obligatory right that provokes the expanded prejudice to the creditor that means primarily a tort liability, it should be regarded that whether the §390 of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covers a positive violation of an obligatory right that provokes the expanded prejudice to the creditor or not is entrusted the theory and the judicial precedents. The Draft 2013 of the Korean Civil Code propose to stipulate the claim rights of “nacherfüllung”(it means a right of creditor to demand making subsequent completion) that has been dicussed for a long time in lecturing theory as an effect of incomplete- performance. However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that the theory and the judicial precedents about the claim rights of “nacherfüllung” is not yet clearly established, and what's more, the endeavor to revise the Law of Seller’s Warranty has been aborted, the revision of the §390 of the Korean Civil Code by stipulating the claim rights of “nacherfüllung” as a general effct of the Incomplete-Performance might provoke a serious disoder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legal conditions and effect of the claim rights of “nacherfüllung” in relation with the Seller’s Warranty.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desirable to delete temporarily the provisions about the claim rights of “nacherfüllung” in the Draft 2013 of the Korean Civil Code, and to stipulate it after ending full discussion about the claim rights of “nacherfüllung” and when the Law of Seller’s Warranty will be revised. 현행민법 제390조는 채무불이행에 관하여 '채무의 내용에 좇은 이행을 하지 아니한 때'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이 규정이 불완전이행까지 포괄하여 규정한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학설이 갈리고 있다. 그러나 동조의 입법연혁을 고려하면 ‘제390조는 넓은 의미(일반적 의미)의 불완전이행까지 포괄하여 규정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개정안은 이 점을 명확하게 규정하기 위하여 불완전이행의 개념을 실정법상의 개념으로 도입하고, 이론상 이행지체에 포섭될 수 있는 「추완이 가능한 불완전이행」의 경우를 이행지체와 분리하여 그 효과로서 손해배상 이외에 추완청구권이 인정될 수 있음을 명문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정안에 대해서는 입법론상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 논문은 채무불이행에 관한 현행민법의 규정체계와 제390조가 독일민법의 불완전이행 내지 적극적 채권침해까지 포괄하고 있는 규정인지 여부에 대한 학설과 판례를 검토한 후, 그 결론에 비추어 불완전이행의 개념을 명문으로 인정한 개정안의 의미와 그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개정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개정민법상 채무불이행의 제3의 유형으로 인정된 「불완전이행」이 독일민법학에서 말하는 「적극적 채권침해」까지 포괄하는 것인가?’ 하는 것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즉, 불완전이행에 관한 한 개정안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달라진 것은 없으며, ‘독일민법학의 「적극적 채권침해」가 개정민법의 「불완전이행」에 포섭된다고 해석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 ‘프랑스 민법학의 「수단채무」를 불안전이행과 관련하여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하는 문제 등은 여전히 학설과 판례에 맡겨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