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노인 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남원 한국노년학연구회 2022 한국 노년학연구 Vol.31 No.2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lder adults’ emotional stat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state was explored through both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 All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for nin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ere analyzed b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From analyzing the emotional state, nine meaning units and three sub-themes were emerged, and those were clustered into one theme. The theme was named as ‘mood swings,’ while the three sub-themes as ‘loneliness catalyzed by social isolation,’ ‘anxiety triggered by fear,’ and ‘depression induced by loneliness and anxiety.’ This study was also to analyze the older adults’ feedback on the interview. That is, how meaningful they felt from the interview was explored. From analyzing the feedback, thirty meaning units and ten sub-themes were emerged, and those were clustered into one theme. The theme was named as ‘changes made from counseling after COVID-19 pandemic,’ while the ten sub-themes were named as ‘being pessimistic and bearing high levels of stress in daily life’ ‘absence of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difficulty in evaluating emotional status’ and so 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state experienced during the pandemic was severely negativ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that such a negative emotional state could be resolved through counseling.

      • KCI등재

        완전 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 1 : 모형의 개발

        김남원,정일문,원유승 한국수자원학회 200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7 No.6

        본 연구에서는 준 분포형 지표수 유출모형인 SWAT과 3차원 지하수 유동모형인 MODFLOW의 완전 연동형 결합모형을 독자적인 방식에 따라 개발했다. SWAT의 지하수 모형성분은 집중형이므로 분포형 매개변수와 변화하는 양수량, 지하수위의 변화 등을 고려하지 못하며 MODFLOW 모형은 주요 입력자료인 함양량의 정확한 산정이 어렵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준분포형 모형인 SWAT의 HRU를 분포형 모형인 MODFLOW의 격자로 대응시키기 In this study, the fully coupled SWAT-MODFLOW model is developed by using the type of embedment MODFLOW in SWAT. Since SWAT model has semi distributed features, its groundwater component can't consider distributed parameters such as hydraulic conductivity

      • KCI등재

        완전 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 2 : 모형의 평가

        김남원,정일문,원유승 한국수자원학회 200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7 No.6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완전 연동형 SWAT-MODFLOW결합모형을 평가하였다. 결합모형은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반영할 수 있어 기존 지하수 모델링에 있어서 함양량을 현실적으로 고려하지 못했던 부분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SWAT의 지하수 모형성분은 집중형이므로 분포형 매개변수의 입력이 어렵고 지하수위의 변화 등을 고려하지 못하나 결합모형은 지하수부분에 MODFLOW모형을 탑재시킴으로써 완벽한 시간단계별 지하수위 분 In this study, comprehensive evaluation on the fully coupled SWAT-MODFLOW model is performed. Since combined model can consider the spatially varied daily recharge rate, groundwater modeling would be greatly enhanced. Also, combined model has been able to

      • KCI등재

        SWAT-SWMM 결합모형의 개발 1 : 모형의 개발

        김남원,원유승 한국수자원학회 200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7 No.7

        장기적 유출 측면에서 유역의 도시화는 불투수면적의 확대로 인한 토지이용변화, 인위적 구조물의 설치여부, 하천 환경의 변화를 유발하며 따라서 도시화되기 이전과 매우 다른 형태의 유출거동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자연적인 유출 성분변화 특성은 물론 도시화 유역 특성변화요소를 적절히 반영함으로써 지표수, 하천수, 지하수 등의 수문순환 요소를 장기적인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유출모의모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준 분포형 장기 유출모형인 SWAT모 From the continuous long-term rainfall-runoff standpoint, the urbanization within a watershed causes land use change due to the increase in impervious areas, the addition of manmade structures, and the changes in river environment. Therefore, rainfall-run

      • KCI등재

        우리나라의 빈도홍수량의 추정

        김남원,원유승 한국수자원학회 200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7 No.12

        빈도홍수량은 중·소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중요한 지표로서 매우 중요하나, 자료의 부족과 설계 관습으로 인하여 홍수량을 직접해석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설계호우-단위도법과 같은 간접적인 홍수량추정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집가능한 일제시대부터 1999년까지 망라한 국내 첨두홍수량 자료를 수집하여 연 최대치 계열을 작성하고 지수홍수법에 의해서 지역홍수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역홍수빈도분석을 위해서 사용된 분포는 WMO(1989)

      • KCI등재

        PRMS의 HRU크기에 따른 장기유출특성

        김남원,현준,박선호 한국수자원학회 200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8 No.2

        본 연구는 미국 지질조사국에서 개발된 장기유출모형인 PRMS 모형을 금강유역 내 용담댐유역에 적용함으로써 PRMS 모형의 공간적인 특성과 유출 모의에 대한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공간적인 유출특성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소유역구분과 HRU수의 증감에 따른 유출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소유역 구분에 따라, HRU증감에 따라 유역말단부에서 유량의 변화는 실제로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PRMS 모형은 준 분포형적인 성질보다는 오히려 In this study, the PRMS(Precipitation and Runoff Modeling System), developed by USGS(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was applied to the Yongdam dam watershed in the Geum River basin. The efficiency for runoff simul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

      • KCI등재

        20세기 우리나라 관측최대강수량의 특성

        김남원,원유승 한국수자원학회 200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7 No.5

        수자원분야에서 관측최대강수량은 주로 지점최대 강수량에 의해 평가되어 왔으나, 엄밀한 의미에서 강수량이라 함은 면적평균강수량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면적평균강수량은 관측호우의 DAD(rainfall Depth-Area-Duration) 분석을 통하여 계산된 추정치이고, 이로부터 대상면적-지속기간별 면적평균강수량 또는 최대관측강수량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을 수문학적으로 동질하다고 가정하여 호우중심의 DAD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 Mainly, observed maximum rainfall has been evaluated by point rainfall, but actually it should be considered by means of average areal rainfall. Average areal rainfall is an estimated value computed through DAD(rainfall Depth-Area-Duration) analysis. By u

      • KCI등재

        Estimation of Time-variant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for South Korea

        김남원,이정우 대한토목학회 2017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1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time-variant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First, the greatest amount of precipitation for a relatively long duration, e.g., a month or longer, defined as the Long-term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LPMP) in the present work was estimated. Then, the procedure for using the LPMP estimates for determining the temporally varied upper limit of precipitation during a certain period of the year, defined as the time-variant PMP (TPMP) in this study was implemented. Hershfield's statistical approach was used to estimate LPMP, i.e., monthly, calendar monthly, and cumulative monthly, for each of 61 weather stations located in South Korea, and nationwide distribution maps of three types of LPMP were made. In particular, using the cumulative monthly PMP estimates and total antecedent precipitation prior to a certain time, the TPMP for a certain duration was forecast for example problems. From the case study for precipitation data at Chungju weather station, TPMP forecasts at certain stormy periods were substantially smaller than the design PMP, which implies that reservoir operation for flood control based on the design PMP may be too restrictive for some period. It is expected that the TPMP can serve as a complementary index to increase the water supply of a reservoi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