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의료법에서 후견주의 이념의 수용, 변형 그리고 거부 - 치료중단에 대한 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김나경,Kim, Na-Kyoung,Harmon, Shawn H.E. 한국발생생물학회 2010 발생과 생식 Vol.14 No.2

        This article analyzes two leading Korean cases which led to opposite conclusions: the Boramae Hospital Case (Korean Supreme Court 2002 Do 995) and the Shinchon Severance Hospital Case (Korean Supreme Court 2009 Da 17471). In doing so,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cceptance, modification, and rejection of paternalism, specifically 'physician paternalism' and 'familial paternalism', both of which have long and strongly influenced the Korean medical environment. In Boramae Hospital, the Court emphasized the obligation of the physician in terms of the life of the patient (eg: protecting and preserving the life and welfare of the patient). Its position seemed to be based on the traditional physician paternalism which presupposes the ability of physicians to identify right and wrong choices according to natural laws. However, the Court saw itself as the final arbiter of who identifies and determines the real world content and consequences of that natural law. In short, the Court elevated itself to the supreme guardian of the patient, and held that its decision cannot be overruled by that of the patient's family. So without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and the role of familial decisions, both long-observed traditions in medical decision-making in Korea, the Court shifted away from familial paternalism. In Shinchon Severance Hospital, the Court explained the meaning of the patient's powers of self-rulemore concretely, explaining its scope and substance in greater detail. The Court held that one can exercise the right of self-rule, even over issues such as death, in the form of 'previous medical directions'. However, this case does not represent a wholesale acceptance of medical autonomy (ie: it does not accept self-rule unconditionally). Rather, the Court accepted the importance of the opinions and decision of physicians and of the Hospital Ethics Commission, and the Court still retained to itself the authority to review and make alterations to 'material' decision. The Court di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the decision of the patient's family, but it also did not relinquish its status as supreme guardian, emphasizing the 'objective' nature of a decision from the court.

      • KCI등재

        의료 개념의 다층적 이해와 법

        김나경,Kim, Na-Kyoung 대한의료법학회 2010 의료법학 Vol.11 No.2

        This article analyses the concept of medicine in the legal context.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concept of medicine because medical practice has various dimensions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practice is performed has a broad variety. The duty of medical law is to build the boundary of protection in that the nature of medicine would not be distorted by the factors of social systems like industry or governmental authorities. Without understanding the various dimensions - especially the dimension of Humanities and Sociology - of the medicine it is not possible to draw the limit on the performance of medicine appropriately. Concerning the medical practic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regulation of medical licence), the enacted law (Medical Act) defines the concept just for form's sake and it finally depend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legal enforcement authorities. Moreover, between the judgments of the courts there exists no coherent principles for the regula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edical Act depends often on the riskiness, the abstract concept, which finally leads the interpretation to depend on the subject of the practice. On the contrary, the development and scientific movement of the technology tends to tighten the range of the medical professionals of medical practice and the perspectives of the medicine. Medical act is actually oriented at the patient's understanding of him- or herself. The above-mentioned tendency of the interpretation and the legal policy could lead the medicine away from its nature.

      • KCI우수등재
      • 의료광고의 법적 규제: 규율의 구조, 역사 그리고 구체화

        김나경(Na-Kyoung Kim) 성신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성신법학 Vol.- No.13

        의료법상 의료광고에 대한 규율은 의료법 제56조와 제57조를 주축으로 하는 `좁은 의미`의 의료광고에 대한 규율과 환자 유인 행위를 규제하는 의료법 제27조 제3항의 `넓은 의미`의 의료광고에 대한 규율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좁은 의미의 의료광고에 대한 규율 방식은 헌법재판소의 2003헌가3 결정을 기점으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동 결정 이전에는 특히 금지되는 행위의 범주를 확장하되 미시적으로만 허용되는 광고 유형을 다소간 확대하는 의료법의 변화가 있어오다가, 특히 비의료인의 의료광고 뿐만 아니라 의료인의 의료광고 역시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근거 조항이 확립되면서 전면적 금지가 고착화되었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가 이와 같이 전면적 금지의 기초가 된 구 의료법 조항이 위헌이라고 결정하면서, 특정한 유형의 의료광고만이 금지된다고 규율하는 이른바 네거티브 방식으로 규제의 방향이 전환되었다. 다른 한편 넓은 의미의 의료광고에 대해서는 1981년 의료법에 근거 규정이 도입된 이래 현행법의 규율 방식에 큰 변화는 없었다. 특히 의료광고의 주된 문제로 언급되는 좁은 의미의 의료광고의 경우 규율을 구체화하는 법원의 논증은 여러 가지 점 에서 논증을 충분히 구체화하거나 논리적으로 정합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핵심적 사항에 대한 직접적인 논증은 회피하고 다른 사항들에 대한 기술에 천착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점은 현행 의료법체계 내에서 의료광고에 대한 규율 전반을 다시 이해하고 구조화하면서 의료광고 행위를 둘러싼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전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스포츠센터의 서비스스케이프와 고객신뢰 및 구매행동의 관계

        김나경(Kim, Na-Kyoung),채재성(Chae, Jae-Sung) 한국체육과학회 201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service scape according to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ports center an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trust and purchase behavior centered on service scape.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the sports centers located in the reg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conducted direct inquiry by questionnaire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and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service scape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of domestic sports center was there was not related to all surrounding environmental, design, and social factors. Second, as a result of the service scape according to the use time of the domestic sports center, there was highly related only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 Third, the service scape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domestic sports center has a great relation with all surrounding environmental, design, and social factors. Fourth, the influence of the service scape of the domestic sports center on customer trust is shown to be highly related to social and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s order. Fifth, the effect of customer trust in domestic sports center on purchasing intention, a sub-factor of purchasing behavior, was found to be highly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Sixth, it is found that there is a great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recommendation intention of others to analyze the effect of customer trust in domestic sports center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of others, which is a sub-factor of purchasing behavior. Seventh, the influence of service scape on purchasing intention, which is a sub-factor of purchase behavior, was found to be highly related to surrounding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order. Eighth, the influence of service scape on the degree of recommendation intention of others, which is a sub-factor of purchasing behavior, was found to be highly related to social and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s ord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managers in the domestic sports club should prioritize indoor and outdoor design of the club and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to the participants and strengthen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By managing the service scape of the sports center, not only the perception of customer trust can be enhanced, but also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that is, purchasing behavior can lead to a positive direction.

      • KCI등재

        맞춤형 OOH 광고의 효용성과 실행에 관한 전문가 인식 연구

        김나경(Kim Na Kyoung),고한준(Ko, Han Jun) 한국OOH광고학회 2022 OOH광고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OOH 광고의 미래를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는 맞춤형 OOH 광고의 효용성과 향후 집행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이 과정에서 OOH 광고에서 맞춤형 광고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전문가 인식은 어떠한지, 맞춤형 OOH 광고의 장, 단점은 무엇인지, 맞춤형 OOH 광고에 대한 분류 기준을 최초로 정의하고, 각 유형별 맞춤형 OOH 광고에 대한 전문가들의 전망은 어떠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델파이 조사(delphi study)를 실시하였으며, 먼저 26명의 관련 학계 및 업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접(in-depth interview)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통해 135명의 관련 분야 전문가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업계 전문가들은 맞춤형 OOH 광고의 도입과 전망에 대부분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맞춤형 OOH 광고의 긍정적 측면으로는 타깃팅 적용 가능성이, 부정적 측면으로 개인정보 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맞춤형 OOH 광고의 유형을 개인인식형, 사물인식형, 상황인식형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세 가지 유형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상황인식형, 개인인식형, 사물인식형의 순으로 향후 실행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맞춤형 OOH 광고의 활성화 운영방안으로는 기술적, 사회적, 법률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며, 맞춤형 OOH 적극적 실행과 도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OOH 광고의 미래인 ‘맞춤형 OOH 광고’라는 이슈를 촉발시켜 OOH 산업 발전을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했으며, 광고 학계와 업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맞춤형 OOH 광고의 전망과 중단기적 개선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맞춤형 OOH 광고의 유형을 체계화하고 향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and its implications in the future. Particularly,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the definition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from experts’ perspective.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and classify the major types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In this process,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experts from OOH advertising related academia and industry. A total number of 26 experts were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s and 135 experts in the online or offline surveys. As a result, majority of expert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customized OOH advertising.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customized OOH advertising was the effectiveness of targeting. On the other hand, the major negative aspect was privacy issue caused by the execution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This study also classified customized OOH advertising into the three types, as follows: person recognition customized OOH advertising, object recognition customized OOH advertising, and situation recognition customized OOH advertising. Regarding these types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experts anticipated positive consequences in the order of situation recognition, person recognition, and object recognition customized OOH advertising in the futur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various aspects, such as technical, social, and legal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successfully apply customized advertising to the field of OOH advertising. This exploratory study is a meaningful exploratory attempt to provide the new classification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an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and implementation of customized OOH advertising in the future.

      • KCI등재

        유통산업의 ESG경영을 위한 임파워링리더십, 안전문화, 안전행동, 조직신뢰관계 연구

        김나경(Na Kyoung Kim)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9

        최근 기업경영의 핵심 패러다임이자 화두는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한 ESG경영이다. 급변하는 경영환경속에서 유통산업은 AI, 로보틱스 등 디지털전환(DX)을 통해 지속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려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나, ESG안전에 있어서는 산업적 특성을 고려한 대응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유통산업의 ESG안전경영을 위해, 임파워링리더십, 안전문화, 안전행동, 조직신뢰의 매커니즘을 규명하고, 임파워링리더십과 안전행동간 안전문화의 매개효과와 안전문화와 안전행동간 조직신뢰의 조절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유통업게 400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응답 16명을 제외한 384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주요변인 간 관계확인 및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5.0 Process Macro, AMOS 22.0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임파워링리더십은 안전행동, 안전문화, 조직신뢰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리더십은 안전문화를 향상시키고 안전문화를 통해 구성원의 안전행동을 강화 · 촉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문화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안전문화를 통한 임파워링리더십과 안전행동간에 조직신뢰의 조절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통산업의 ESG안전스텐다드를 마련하고, 안전컴플라이언스 대응전략과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ESG management, which considers non-financial elements of companies, is the current emphasis of corporate management. To sustain development in the shifting business landscape, the distribution industry is exploring digital transformation(DX) initiatives like AI and robotics. However, to ensure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ESG) safety, industry-specific precautions must be taken. This study focused on the ESG safety management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It aimed to identify the mechanisms of empowering leadership, safety culture, safety behavior, and organizational trust. The study also empirically confirmed that safety culture acts as a mediator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 Additionally, it found that organizational trust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a survey was performed online with a sample size of 400 workers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Out of the 400 replies, 384 were considered reliable for analysis after eliminating 16 dishonest responses. The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SPSS 25.0 Process Macro and AMOS 22.0 to check the link between the main variables and test the hypotheses. The study reveal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d a large and beneficial impact on safety behavior and safety culture. Furthermore,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empowered 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safety culture, hence strengthening and initiating safety-related actions among individuals. Furthermore, it was discovered that organizational trust acts as a moderating mediator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 specifically through safety culture. The study confirmed that as the level of organizational trust increases, the positive impa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safety behavior is enhanced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safety culture. The given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implementing ESG safety compliance response systems and safety processes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 KCI등재

        의료법상 환자유인행위의 위법성 판단 구조 분석

        김나경(Na-Kyoung Kim) 한국법학원 2014 저스티스 Vol.- No.143

        이 글은 의료법 제27조 제3항에서 규정하는 ‘환자 유인 행위’에 대한 법원의 논증을 법해석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면서, 논증의 문제점이 위치한 해석학적 지평을 드러내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대법원 2005도5724 판결 그리고 대법원 2007도256 판결에서는 특히 비급여 행위의 진료비 할인을 통한 환자 유인이 문제되었는데, 두 사안의 대법원 및 제1심좵제2심 법원은 모두 유인 행위의 유형적 의미를 밝히는 문법적 해석을 논증의 출발점으로 삼고자 했다. 그러나 법원은 표면적으로는 문법성을 지향하면서도 실제로는 쟁점을 생략하거나 의미를 구체화하는 것을 회피하면서 행위 유형의 의미에 대한 핵심적 논증을 비껴가는데, 이러한 문제는 특히 역사적 해석이나 체계적 해석이라는 해석 카논을 융합하면서도 행위 유형 주변의 개념이 갖는 일상언어적 의미를 파괴하거나 의미의 충돌을 일으키면서 더욱 심화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무엇보다 의료광고의 영역에서는 의료의 비영리성을 대전제로 삼아온 전통과 의료업의 영리성을 확대하는 시대적인 변화가 충돌하고 이로 인해 의료광고에 대한 법규율의 체계가 부정합적이라는 점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 법원이 ‘의료시장의 근본질서’라는 추상적 기준을 제시한 것은 여전히 구체적 논증을 회피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하지만 유인 행위의 통제방식에 대한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의료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 법원이 제시한 기준의 도입 여부와는 별개로 ? 동 기준의 의미를 구체화하는 것은 의료법 제27조 제3항의 보호 대상을 재해석하는 계기로 삼을 수는 있을 것이다. 특히 ‘가격책정의 합리성’ 그리고 ‘의료의 전문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것은 동 조항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구체적 기준을 설정하는 데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적 이해 - 규범적 맥락과 법제화의 방향 -

        김나경(Kim, Na-kyou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5 생명연구 Vol.36 No.-

        호스피스·완화의료란 임종기에 접어든 환자에게 전인적인 돌봄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의료(적) 행위이다. 호스피스·완화의료가 지향하는 총체적인 돌봄은, 과학적 환원주의와 의사후견주의에 기초한 근대 의료의 패러다임을 극복하는 새로운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볼 때, 2010년「암관리법」의 전부개정으로 새로이 제정된 ‘말기암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완화의료’에 관한 규정들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요한다. 우선 ‘말기암환자’ 정의에서 등장하는‘회복불가능성’ 표지는 실체적인 가치 판단의 기준이 아니라, 회복불가능이라는 ‘상황’을 판단하는 주체와 방식을 구체화하는 ‘절차’를 확정하는 매개체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1차적으로는 담당의사가 회복불가능성을 의료적으로 확정하되 관련 분야 의사들의 동의를 구하고 병원윤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치도록 해야 하며, 아울러 환자가 의사를 비롯한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상담 절차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그밖에도 호스피스·완화의료 대상 환자의 범위를 확대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시행 여부의 결정을 사전의료지시 등과 연계하여 환자의 자율성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더 나아가 보다 근본적으로는 교육과 임상을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의료 인격을 형성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문화를 형성하며 의료행정체계의 구조를 변화시켜가면서,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문화의 성숙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Hospice·Palliative Medicine is a total care that provides relief from pain and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facing the problem associated with life-threatening illness. The total care of Hospice·Palliative Medicine could give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scientific reductionism and medical paternalism of modern medical paradigm. Viewed in this sight, Hospice·Palliative regulation of「Cancer Control Act」 needs to be changed in many ways. First, the concept of ‘irreversible state’ appearing in the definition of a ‘terminal cancer patient’ needs to be understood not as a criteria of the substantive value judgment, but as a medium materializing and confirming the procedure of the state of the patient. For that, the patient’s doctor in charge must be the primary subject of the confirmation and in the process of the confirmation he needs to get the consent of the doctors in the related area and go throught the deliberation of the Hospital Ethic Committee. The procedure of the consultation for the patient needs to be legalized in order that the patient could reflect his own life with the specialits’ assistance. Furthermore, the scope of the patient in Hospice·Palliative Medicine should be enlagrged and the regulation of Hospice·Palliative Medicine needs to be related with the system of the advanced medical directive. Basically,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personality of Hospice·Palliative Medicine and to change the nation’s health care system for the cultural growth of Hospice·Palliative Medic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