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여주 (Momordica charantia)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세포사멸 억제 기전을 통한 신경세포보호효과

        김꽃별(Kkot Byeol Kim),이선아(Seonah Lee),허재혁(Jae Hyeok Heo),김정희(Jung hee Kim)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5

        건 여주로부터 얻은 70%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고,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human neuroblastoma cell인 SK-N-MC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여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8.51 mg gallic acid/extract g과 3.95 mg catechin/extract g 이었고,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IC50)은 506.95 μg/ml 이었다. 여주추출물을 신경세포에 전 처리한 후 H₂O₂을 처리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했을 때, 여주 추출물에 의해 세포생존율은 증가되었고 세포내 ROS는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세포내 항산화 방어시스템인 항산화효소 (SOD-1,2와 GPx-1)의 mRNA 발현이 여주추출물 처리에 의해 control 수준으로 회복되거나 control 보다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ROS 의존적 세포사멸과 연관 있는 것으로 알려진 MAPK pathway 중 p38과 JNK의 인산화를 여주추출물이 억제하였다. 또한 cleaved caspase-3와 cleaved PARP의 발현도 여주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70% 에탄올 여주추출물은 항산화효능이 우수하여 ROS를 직접적으로 제거할 뿐 아니라 세포내 ROS 축적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신경세포 내 항산화효소들의 발현 증가 기전과 p38, JNK의 인산화 억제 및 cleaved caspase-3, cleaved PARP의 발현 억제를 통한 세포사멸 억제 기전을 통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여주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등과 같은 신경변성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의 소재로써 이용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neuronal cells protect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tic cell death by polyphenolic compounds. We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and the mechanism of action of Momordica charantia ethanol extract (MCE) against H₂O₂-induced cell death of human neuroblastoma SK-N-MC cells. Method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CE was measured by the quantity of total phenolic acid compounds (TPC), quantity of total flavonoid compounds (TFC), and 2,2-Diphenyl-1-py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ytotoxicity and cell viability were determined by CCK-8 assay. The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measured using 2,7- 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assay. Antioxidant enzyme (SOD-1,2 and GPx-1) expression was determined by real-time PCR.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pathway and apoptosis signal expression was measur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The TPC and TFC quantities of MCE were 28.51 mg gallic acid equivalents/extract g and 3.95 mg catechin equivalents/extract g, respectively. The IC50 value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506.95 μg/ml for MCE. Pre-treatment with MCE showed protective effects against H₂O₂-induced cell death and inhibited ROS generation by oxidative stress. SOD-1,2 and GPx-1 mRNA expression was recovered by pre-treatment with MCE compared with the presence of H₂O₂. Pre-treatment with MCE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p38 and the JNK pathway and down-regulated cleaved caspase-3 and cleaved PARP by H₂O₂. Conclusion: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MCE in terms of recovery of antioxidant enzyme gene expression, down-regulation of MAPK pathways, and inhibition apoptosis is associated with reduced oxidative stress in SK-N-MC cells.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음주, 흡연, 운동 및 영양행태에 대한 군집별 특성 및 관련요인

        김꽃별(Kkot-byeol Kim),은상준(Sang Jun E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의 건강행태군집 유형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차분석 하였다. 음주, 흡연, 운동 및 영양 변수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군집분석하였고, 이 유형들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상태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 WIN 22 복합표본설계 모듈을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 성인의 건강행태군집 유형은 흡연군, 식습관군, 건강 관심군, 수동적 태도군 그리고 음주군의 총 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수동적 태도군의 빈도가 26.0%로 가장 높았다. 건강행태 군집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분류된 군집과 건강행태변수를 이용해 판별분석한 결과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행태 군집은 성, 연령, 교육 수준, 직업, 소득 수준, 결혼 상태 및 지역 규모등 인구 사회학적 특성별로 분포가 달랐으며, 고혈압 및 당뇨와 같은 일부 만성질환의 유무별로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지역, 고혈압 및 당뇨는 수동적 태도군 보다는 나머지 건강행태군집에 속하는 것과 유의한 연관을 보이는 변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건강행태를 개별적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군집으로 접근하는 것의 유용성에 대한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 of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ults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as the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which was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population.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pattern of clustering of smoking, drinking, exercising and nutrition.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clustering was examined, first by bivariate chi-square test, and then by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Lastl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lusters of health behaviors and other behavioral risk factors was tested by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he distribution of the clusters varied not only acros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local size, but also between individuals with certain chronic diseases and those with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usefulness of approaching the cluster rather than individually approaching the health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