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인훈 단편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세 영역 -최인훈과 라캉의 주체를 중심으로-

        김기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6 No.-

        This researcher focused on Choi In-hun’s short story which is being neglected. The researchers set the goal of studying the subjects shown in his short stories.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of subjectivity, I examined the discourse, main characters and author's recognition of the world of Choi In-hun short story. In addition, I examined a writer's thinking about novel and art is revealed as a subje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work, a reader, and a writer. First of all, I put 「Gray Club History」, 「Life of Raoul」, 「Su(囚)」 in the works corresponding to <subject of bondage>. The main content is the main subject caught by the desire of the imaginary system. Therefore, the first human type of Choi In-hun, DNA (Closed Stable), was inserted and analyzed. Of course, it is necessary to move away from the imaginary system in order to enter the symbolic world which is the world of language and symbol. The characters of 「Gray Club History」, 「Life of Raoul」, 「Su(囚)」 look inside the mirror and stay inside. They see society through ‘windows’ like mirrors. Judgments about the outside reality can not jump directly into reality through the window. Second, it is <the subject of conflict>. I put the 「House of Idols」, 「Laughter」 and 「Dalaria of the September」. The core contents are the subjects corresponding to Choi In-hun's DNA' (open instability) as a subject who is troubled to enter into the symbolic system. Though it is the subject who is active in the world of symbols, the longing to the imaginary world is still. In reality, She know that she can not go back to the imaginary world, so she assume the vain thing and return to the time of love as she imagined. Even if the love is vain, it is precious. It is another self, and it is someone who protects me. Therefore, the reality of the woman's laughter was her own. In other words, the vanity was the one she made. The third is <the subject of freedom>. 「The letter of the sea」 corresponds to the subject which deviates from the world of the symbol. It is the subject corresponding to DNA ∞ (open stability) among three types of human being. Choi In-hun breaks away from long silence after 『Topic』 and publishes a short novel 「Letters of the Sea」. The 60-volume 「Letter of the Sea」 is a short story with the same weight as 4000 pieces of novels, 『Topic』. The 「Letter of the sea」, which begins with the unfolding of the consciousness of the skeleton, the speaker, proceeds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e principle of ‘the generation of involuntary memory’. 「Letter of the sea」 can be said to be the same epic as the one described in the memory of 『Topic』 converted into the consciousness of the skeleton. The speaker, skeleton, digs through deeper memories through involuntary memory and finds a true subject. The end is the subject of freedom, knowing me with no me. 최인훈 문학에 대한 논의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의 시각으로 이루어져 왔고, 의미 있는 연구 성과 또한 적지 않다. 하지만 그 대부분은 최인훈의 장편소설이나 희곡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최인훈의 단편소설들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제까지의 최인훈 문학에 대한 연구에서 단편소설은 상대적으로 외면당해온 것이다. 그러나 작가 스스로 밝힌 대로, 그의 단편소설은 『광장』 『화두』 등 최인훈의 대표적인 장편소설들의 원형질에 다름 아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바다의 편지」는 『화두』의 압축본이라 할 수 있는데, 작가 스스로 자신의 소설 전체를 3부작으로 읽히기를 바라고 있는 것도 여기서 연유한다. 이 글은 바로 이 점에 주목, 최인훈의 단편소설들이 내보이는 ‘주체’의 모습들을 분석하여 주체성의 변화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최인훈 단편의 담론과 작중인물, 그리고 작가의 세계인식, 나아가 최인훈 소설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최인훈은 그의 「인간의 Metabolism의 3형식」에서 인간을 세 가지 차원의 주체성을 지닌 생명으로 보고 있다. ‘생명주체’ ‘문명주체’ ‘환상주체’가 그것인데, 이를 라캉의 주체 개념을 원용하여 규정해보면 ‘속박의 주체’ ‘갈등의 주체’ ‘자유의 주체’로 바꿔 정의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라캉의 주체 개념을 원용하여 최인훈의 단편소설을 세 가지 주체로 나눠 살펴보았다. 기호와 이데올로기에 속박되어 체념하는 작중인물들의 주체, 즉 ‘속박의 주체’(「그레이 구락부 전말기」 「라울전」 「수(囚)」), 사회와의 연계를 자신의 실존과 결부하여 갈등하는 주체, 즉 ‘갈등의 주체’(「웃음소리」 「우상의 집」 「구월의 다알리아」), 그러한 갈등을 처절하게 겪어내고 해방되어 진정한 자유인이 되는 주체, 즉 ‘자유의 주체’(「바다의 편지」)로 분류하고,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로부터 「바다의 편지」에 이르는 주체성의 변이 과정을 통해 최인훈 단편의 주체가 사회 상황에 어떻게 대체하고 극복해 나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중심 내용을 얻을 수 있었다. 의 ‘속박의 주체’는 상상계로 회귀하려는 욕망에 갇혀 있는 주체이며, 최인훈이 말한 ‘DNA(닫힌 안정)’ 층위에 속하는 주체이다. 의 ‘갈등의 주체’는 상징계 진입에 고뇌하는 주체로서, DNA'(열린 불안정) 층위에 위치하는 주체이며, 의 ‘자유의 주체’는 기호 세계를 벗어난 주체, DNA∞(열린 안정) 층위의 주체이다. 다시 말하여, 최인훈 단편소설의 주체성은 ‘속박’에서 ‘갈등’을 거쳐 ‘자유’의 주체로, ‘닫힌 안정’에서 ‘열린 불안정’을 거쳐 ‘열린 안정’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주체성의 변화 양상은 그의 장편소설들에 원형적 인자로 기능하고 있다.

      • 사회적 대화와 한국형 노동회의소의 역할

        김기우 한국지역고용학회 2018 지역고용노동연구 Vol.8 No.1

        이 논문에서는 계속되는 저성장, 저고용과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라는 경제․사회적 환경 속에서 기존의 방식으로 이익대변이 어려운 노무제공자들의 보호방안으로, 사회적 대화와 접목하여 ‘한국 형 노동회의소’를 검토하였다. 사법적 권리구제 이전에 노무제공자들의 이익대변은 구성원의 참여 가 전제되어야 한다. 종업원조직이나 대표적 근로자이익대표제도인 노동조합도 마찬가지이다. 노동 회의소제도도 역시 구성원의 참여가 전제되어야 구성원의 실질적 권리구제가 가능할 것이다. 만약 도입된다면 노동조합, 노사협의회와 함께 한국노동체계의 3대 지주가 될 것이다. 여기서는 노동회의소가 수행하게 될 여러 임무 중,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사회 양극화를 가속화 시키는 정규직 이외의 다양한 고용형태로 야기된 문제해결을 위해 연구개발 기능과 사회적 대화의 실천기능이 주된 역할이 되어야 함을 지적했다. 그리고 노동회의소로 하여금 협의 또는 합의를 통해 근로자이익을 대변해 온 노사정위원회, 지역노사민정협의회, 노동조합, 노사협의회와 지원조직인 노사발전재단이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소규모 영세사업장의 정규직 및 다양한 계층의 노무제공자 들을 위한 권익대변기능을 보완토록 하는 구상을 했다. 또한 기존의 제도들이 수행한 권익대변 활동 과 충돌하지 않도록 전체 근로자이익대변제도 내에서 노동회의소의 위치설정을 시도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otential for a Chamber of Labor as Korean type to protect, through social dialogue, work providers of various employment patterns in Korea, - in economic and social circumstances that include continuously low economic growth, low employment rates, and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 can presume that member participation is aimed at profit representation for work providers of various employment patterns, rather than at judicial relief. Like employee organizations and trade unions, the Chamber of Labor presupposes the participation of members. If a Chamber of Labor is established in Korea, employee organizations, trade unions and the Chamber of Labor will become the three main institutions of Korea's labor system. This process is intended to highlight two functions among the various functions of a Chamber of Labor. First, it serves an R/D purpose. Through this function, the Chamber of Labor could propose solutions to certain problems that occur with various employment patterns. Second, it serves a practical purpose for social dialogue agenda. In this way, the Chamber of Labor could complement existing profit representation systems for workers that focus on consultation or agreements; for example the Korea Tripartite Commission, local civilian-government- labor-management councils, trade unions, and labor-management councils in Korea, along with the Korea Labor Foundation as a supporting organization. As a result, the rights of regular workers in small businesses, atypical workers, and work providers in special types of employment will be protected and, to a certain extent, social polarization issues can be resolved. I would also like to establish the status of a chamber between the Chamber of Labor and existing profit representation systems for regular workers.

      • KCI등재

        Flexible Piezoelectric Vibration Energy Harvester using a Trunk-Shaped Beam Structure Inspired by an Electric Fish Fin

        김기우,주형,재환 한국정밀공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Vol. No.

        This paper presents a bio-inspired structure that can enhance the efficiency of piezoelectric power generation in vibration-type energyharvester. Inspired by an electric fish, Gnathonemus petersii, a trunk structure for high-performance vibration energy harvester isexplored. The proposed vibration energy harvester consists of a flexible PVDF film and thin glass fiber plate shaped with auxiliarydelta wings to mimic the trunk structure of the electric fish.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prototype energy harvester shows that theproposed piezoelectric vibration energy harvester featuring the new bio-inspired structure produces 45% more power output than theconventional vibration energy harvester due to its electret-like material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