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피지컬 컴퓨팅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교육 수업모형 개발

        김근재,임철일 한국교육공학회 2019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9 No.1

        메이커 교육은 학습자 주도적으로 디지털 제작도구를 활용하여 유의미한 산출물 제작 및 지식과 기술을 구성하는 구성주의에 따른 학습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초등학교 맥락에서 효과적인 메이커 교육을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학교 현장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디지털 제작도구인 피지컬 컴퓨팅 도구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교수자 중심 수업,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와 피지컬 컴퓨팅 도구 기능 중심의 형태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교수자가 학습자 활동을 촉진 및 지원할 수 있는 상세하고 정교화된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맥락의 피지컬 컴퓨팅 도구를 활용하는 메이커 수업에서 실제적으로 활용가능한 수업 모형, 교수전략을 탐색하는 목적으로 첫째, 피지컬 컴퓨팅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교육 수업모형을 무엇인가? 둘째, 피지컬 컴퓨팅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교육 교수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개발된 메이커 수업 모형과 전략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반응은 어떠한가? 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방법의 절차에 따라 선행문헌 검토를 통한 수업 모형, 교수전략 초안 도출, 교육공학 전문가 및 초등교사에게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타당화 이후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을 수정, 보완하였다. 이를 서울 소재 ‘A’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 적용해봄으로써 교수자 1인과 학습자 28인의 반응과 의견을 확인하고 수집된 양적, 질적 자료를 분석한 뒤 모형과 전략에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피지컬 컴퓨팅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교육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본 모형과 전략이 적용된 수업이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메이커 정신에 미친 영향을 질문지, 면담,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1)공감하기, 2)메이킹 문제 정의하기, 3)재료 및 도구 특성 파악하기, 4)컴퓨팅 산출물 조립하기, 5)리믹스를 활용한 알고리즘 설계 및 코딩하기, 6)컴퓨팅 산출물창의적 구성하기, 7)알고리즘 및 컴퓨팅 산출물 수정 및 개선하기, 8)공유하기, 9)성찰하기, 10)종합하기의 총 10개의 단계로 구성된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교수전략의 경우 메이커교육 전반에 걸쳐서 유념해야 할 일반설계전략 6개와 23개의 상세지침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과 메이커 정신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결과 컴퓨팅 사고력의 경우 100점 만점에 60.02점에서 71.93점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t=7.349, df=27, p<.000). 메이커 정신 또한 평균 3.77점에서 4.12점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t=5.967, df=27, p<.000). 이를 통해 본 모형과 전략이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과 메이커 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중 조세조약상 간주외국납부세액공제의 적용범위

        김근재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서울법학 Vol.25 No.1

        After China’s Enterprise Income Tax Law went into effect in 2008, the dividends that a Chinese subsidiary pays to a Korean parent company are subject to withholding tax at the rate of 10%, but the reduced rate of 5% under the Korea-China Tax Treaty is applicable where the Korean parent company holds at least 25% interest in the Chinese subsidiary. During the period in which dividends were exempt from taxation prior to the Enterprise Income Tax Law, a tax sparing credit of 10% under the second part of Article 23(3) of the Korea-china Tax Treaty was allowed as a matter of course. After 2008, however, there has been a dispute as to whether a tax sparing credit of 5%, in addition to a direct foreign tax credit (for withholding tax imposed at the 5% reduced rate under the tax treaty), can be claimed. This paper will suggest the proper interpretation as to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ax sparing credit under the Korea-China Tax Treaty. Indeed, prior commentaries on this issue may not have been adequate as a faithful interpretation of the text of the tax treaty, although the text of the tax treaty should serve as the fundamental basis of the interpretation on this issue. In sum, according to the text of Article 23(3) of the Korea-China Tax Treaty (replaced by Article 5 of the Second Protocol to the Korea-China Tax Treaty), an additional tax sparing credit of 5% should be allowed even after 2008 when China’s Enterprise Income Tax Law went into effect. First, since there is no clear basis to conclude that “legal provisions concerning tax incentives” prescribed in the first part of Article 23(3) are limited to Chinese domestic laws, the reduced rate under the tax treaty also falls under “the legal provisions concerning tax incentives”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of tax sparing credit. Next, the phrase “[f]or the purpose of this paragraph,” set out in the second part of Article 23(3) of the Korea-China Tax Treaty, alone is insufficient to find that the deemed paid rate of 10% is subject to the satisfaction of the requirement set out in the first half, and the deemed paid rate of 10% should not be denied in the absence of an amendment of the second part of Article 23(3). 2008년 중국 기업소득세법이 시행되면서 중국 자회사가 한국 모회사에게 지급하는 배당에 대한 원천징수세율은 10%가 적용되고, 중국 자회사의 지분을 25%이상 소유하는 한국 모회사의 경우에는 한-중 조세조약상 5% 제한세율이 적용된다. 중국 기업소득세법 시행 전 배당에 대한 세금이 면제되던 시기에는 한-중 조세조약 제23조 제3항 후문에 따른 10%의 간주외국납부세액공제의 적용이 당연히 인정되었으나, 2008년 이후에는 5% 제한세율에 따른 직접외국납부세액공제 외에 추가로 5% 간주외국납부세액공제가 적용될 수 있는지가 쟁점화 되었다. 이 글은 한-중 조세조약상 간주외국납부세액공제의 적용범위가 어디까지인지에 대한 올바른 해석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석기준은 조세조약의 문언이 될 수밖에 없음에도, 그 간의 논의는 가장 기본적인 조세조약의 충실한 문언해석의 면에서 부족함이 있었다고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한-중 조세조약 제23조 제3항(제2의정서 제5조로 대체된 것)의 문언상 2008년 중국 기업소득세법 시행 이후에도 5%의 추가적인 간주외국납부세액공제는 적용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먼저, 한-중 조세조약 제23조 제3항 전문 요건인 ‘조세유인조치 관련 법률규정’을 중국 국내법률로 제한할 뚜렷한 근거를 찾기 어려운바, 조세조약상 차등적 제한세율 역시 간주외국납부세액공제의 적용요건인 ‘조세유인조치 관련 법률규정’에 해당한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한-중 조세조약 제23조 제3항 후문의 ‘이 항의 목적상’이라는 표현만으로는 10% 간주납부세율이 전문의 요건 충족을 조건으로 한다고 보기 부족하고, 후문 자체를 개정하지 않는 한 10% 간주납부세율의 적용을 부인하기 어렵다.

      • SCOPUSKCI등재

        Northebaine에 Diels-Alder반응을 이용한 새로운 Thebaine 유도체의 합성

        김근재,김계광,Kunjea Kim,Kyekwang Kim 대한화학회 1988 대한화학회지 Vol.32 No.4

        Thebaine과 diisopropyl azodicarboxylate을 반응시켜 northebaine을 합성한 다음 thebaine의 diene에 nitrosobenzene을 dienophile로 하여 Diels-Alder반응을 시도한 후 가수분해하고 succinic anhydride와 chloroacetyl chloride를 각각 반응시켜 14-carbon에 새로운 치환기인 phenylhydroxylamine과 17-nitrogen에 acyl group을 도입한 새로운 화합물(16-A)와 (16-B)를 각각 22와 16%의 수율로 얻었다. Thebaine was reacted with diisopropyl azodicarboxylate to give northebaine. Diels-Alder reaction between the compound and nitrosobenzene was attempted. The hydrogen of the adducted northebaine was substituted with chloroacetyl chloride and succinic anhydride. We have synthesized the new thebaine derivatives with phenylhydroxylamine at 14-carbon and also acetyl or succinyl at 17-nitrogen with yields of 22% and 16%.

      • SCOPUSKCI등재

        The Reaction between Organothioenamine Phosphonate and Styrene Oxide

        김근재,한치선,Keun Jae Kim,Chi Sun Han Korean Chemical Society 1976 대한화학회지 Vol.20 No.4

        The fact that a reaction between organothioenamine phosphonate and styrene oxide produces a derivative of cyclopropane has been proved by structural identification. This suggests that an anionic oxygen atom from the ring opening of the styrene oxide by nucleophilic attack of thioenamine phosphonate links to the phosphorous atom to from a betaine as an intermediate which is followed by cleavage of the weak P-C bond. The dextrorotatory optical activity of the product showed that the reaction was under the control of steric stability of the benzyl carbon in styrene which leads to the product through a sterically stable pathway. Organothioenamine phosphonate와 styrene oxide 와의 반응에서 얻어진 생성물의 구조를 규명한 결과 그것이 cyclopropane 유도체임을 알았다. 이것은 반응이 styrene oxide에 대한 thioenamine phosphonate의 친핵공격에 의해서 생긴 산소 음이온이 다시 인 원자를 공격함으로서 중간체로 betain이 형성 된다음 이어서 약한 P-C 결합이 끊어지면서 생성물로 이끌어져 감을 가리켜 주고있다. 또한 생성물의 광학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우회전성 이어서 이 반응은 중간체에서 생긴 benzyl carbon의 입체적 효과를 받으며 어디까지나 안정한 경로를 거쳐서 이끌어져 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 온라인 환경에서 교육용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수업 설계 및 효과

        김근재,한형종,Kim, Keun-Jae,Han, Hyeong-Jo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6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학습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메이커 교육은 학교 수업 현장에 적용하기에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온라인 환경에서 교육용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수업을 설계하는 목적을 지닌다. 또한, 이에 대한 반응 확인과 함께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와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해 수업을 설계하였다. 면담을 통한 교수자와 학습자 반응 확인, 대응 표본 t검증을 활용한 사전-사후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초등 온라인 환경에서 교육용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수업은 공감하기, 메이킹 문제 정의하기, 재료 및 도구 특성 파악하기, 리믹스를 활용한 알고리즘 설계 및 코딩하기 등을 포함한 총 10단계로 구성된다.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사전-사후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교육 맥락에서 교육용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한 실제적인 메이커 활동이 온라인 환경에서도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한 의미를 지닌다. In a situation where the online learning is expanding due to COVID-19, the current maker education has limitations in applying it to classes. This study is to design the class of online maker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in elementary school. Also, it is to identify the responses to it and to confirm whether it helps improve the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class was designed by the literature review and redesign of the curriculum. Using interveiw, the responses of instructor and learners were identified. Pre- and post-test using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class consisted of ten steps including empathizing, defining making problem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 and tool, designing algorithms and coding using remixes, etc. For computing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practical maker activities using educ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education can be practically applied even in the online environment.

      • SCOPUSKCI등재

        Aclacinomycin A의 Aglycone의 유도체들의 합성

        김근재,김호식,Kim Keun Jae,Kim Ho Sik 대한화학회 1990 대한화학회지 Vol.34 No.5

        항생항암제인 Aclacinomycin A의 aglycone 부분인 aklavinone(2)의 유도체인 7-deoxy-9-methyl aklavinone(3)을 합성하였다. 7-Deoxy-9-methyl aklavinones, the derivatives of aklavinone (the aglycone of extensive family of glycosidically derived from anthracycline antibiotics possessing significant activity), were synthesized by the simple and efficient reaction proced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