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의 집중 기법을 활용한 객체 검출 모델

        김근식,배정수,차의영,Kim, Geun-Sik,Bae, Jung-Soo,Cha, Eui-Y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12

        기계 학습 분야에 합성 곱 신경망이 대두되면서 이미지 처리 문제를 해결하는 모델은 비약적인 발전을 맞이했다. 하지만 그만큼 요구되는 컴퓨팅 자원 또한 상승하여 일반적인 환경에서 이를 학습해보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주의 집중 기법은 본래 순환 신경망의 기울기 소실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안된 기법이지만, 이는 합성 곱 신경망의 학습에도 유리한 방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 곱 신경망에 주의 집중 기법을 적용하고, 이때의 학습 시간과 성능 차이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YOLO를 기반으로 한 객체 검출에서 주의 집중 기법을 적용하지 않은 모델에 비해 학습 시간, 성능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습 시간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일반 사용자의 기계 학습에 대한 접근성 증대가 기대된다. With the emergence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n the field of machine learning, the model for solving image processing problems has seen rapid development. However, the computing resources required are also rising, making it difficult to learn from a typical environment. Attention mechanism is originally proposed to prevent the gradient vanishing problem of the recurrent neural network, but this can also be used in a direction favorable to learning of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n this paper, attention mechanism is applied to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the excelle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through the comparison of learning time and performance difference at this time. The proposed model showed that both learning time and performance were superior in object detection based on YOLO compared to models without attention mechanism, and experimentally demonstrated that learning time c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this is expected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machine learning by end users.

      • KCI등재

        김정은 시대의 "김일성-김정일주의":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추상화

        김근식 ( Keun Sik Kim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4 한국과 국제정치 Vol.30 No.1

        북한의 이데올로기는 시대상황에 따라 진화해왔다. 김일성 시대에 전후 복구와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주체확립과 자주노선으로 주체사상이 등장했고, 김정일 후계체제의 확립과 수령의 유일지도체제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주체사상은 보다 체계화되고 추상화된 순수이데올로기로 격상되었다. 권력승계 이후 김정일 시대는 사상 최대의 위기상황에서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지켜내기 위해 위기돌파의 정치담론으로 선군 정치를 제시했고, 결국 선군사상이라는 위기시대 실천이데올로기를 형성했다. 김정은으로의 권력승계가 완료된 지금 북한은 김일성-김정일 주의를 노동당의 새로운 지도사상으로 규정하고, 사회주의 건설시기의 주체사상과 사회주의 위기시기의 선군사상을 동렬의 공식 이데올로기로 격상시켰다. 경제 발전을 우선시하는 선경노선 혹은 인민생활 향상을 최우선에 두는 선민노선으로의 전환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김일성의 주체사상과 김정일의 선군사상을 순수이데올로기로 추상화 시켜 선반 위에 올려놓고, 김정은의 새로운 발전전략을 정당화하기 위한 실천이데올로기를 개발하고 제시해야 할 것이다. North Korean ideologies have evolved over the years. In Kim Il-sung era, post-war recovery efforts and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spearheaded North Korea`s road to the formation of the Juche(self-reliance) ideology. I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succession system of Kim Jong-il and securement of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of Suryong or supreme leader, Juche ideology was elevated to a more systematized and conceptualized form of pure ideology. After succeeding to power, Kim Jong-il proposed Songun or the ‘military first’ politics as a way to maintain the socialist system as the guiding political discourse, and succeeded in shaping the Songun ideology into a practical ideology during the time of crisis of the country. Since the completion of power succession of Kim Jong-un, the new guiding ideology of the Workers` Party was stipulated as Kimilsungism-Kimjongilism and elevated Juche and Songun ideologies to an equal and official ideology of the country. In order to provide justification for economy-first or people-first policy that places economic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eople`s livelihood as priority, Kim Jong-un regime must develop and propose a practical ideology that can substantiate the new development strategy of the new leader.

      • 임상 : 전방 두개저부 병변에 대한 두개 안면 접근법; 합병증

        김근식 ( Geun Sik Kim ),김승민 ( Seong Min Kim ),정승영 ( Seung Young Chung ),정성삼 ( Sung Sam Jeong ),박문선 ( Moon Sun Park ),하호균 ( Ho Gyun Ha ),김한규 ( Han Kyu Kim ) 대한뇌종양학회 2005 대한뇌종양학회지 Vol.4 No.2

        Objective£º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ommom complications of craniofacial approaches to lesion on anterior skull base and some technical refinements to prevent the complications. Methods£ºAuthors reviewed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findings of 21 operations(including 2 reoperations) of 19 patients having anterior skull base tumors treated by craniofacial approaches from 1998 to 2004 . Results£ºTwenty-one operations showed several complications. Those were cerebrospinal fluid leakage(3), meningitis(1), anosmia(3), epidural hematoma(1), pneumocephalus(1). Cerebrospinal fluid leakage was treated by lumbar drainage. Meningitis was treated by lumbar drainage and appropriate antibiotics. Epidural hematoma and pneumocephalus were resolved spontaneously. The complication of transfrontal and transnasomaxillary approach was none. The complications of transfrontal nasal approach were anosmia(1) and epidural hematoma(1). Cerebrospinal fluid leakage(3), meningitis(1), anosmia(2), and pneumocephalus(1) arose in the transfrontal nasal-orbital approach. Conclusion£ºMotality and morbidity of craniofacial approach is relative low. Water-tight duroplasty, strong reconstrucion of anterior skull base and lumbar drainage are important for prevention of cerebrospinal leakage. We think that the lesion of anterior skull base is safely performed by appropriate craniofacial approach and reconstruction.

      • KCI등재

        북한의 시장화 실태와 시장권력 관계 고찰: 향후 북한 정치변동에의 함의

        김근식 ( Keun-sik Kim ),조재욱 ( Jae-wook Cho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7 한국과 국제정치 Vol.3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시장화 실태를 분석하여 정치변동의 가능성을 시탐하는 데 있다. 기존 논의에 의하면,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시장화 진전은 사회통제능력의 저하, 공동체적 가치관의 파괴, 사회 양극화의 양산, 시장세력의 정치저항세력으로의 성장 등 체제불안을 초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체제 안정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북한의 시장화 진전은 체제위협과 직결되지 않는다. 시장화는 주민들의 생활을 지탱하고 개선시키며, 권력층은 시장화 가운데 새로운 이득을 창출하고 있다. 돈주는 정치적 권력집단과의 결탁을 통해 단지 경제적 이익만을 좇는 한계를 내포하며, 정치적으로 각성된 계층으로 성장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권력층을 비롯한 돈주는 체제불안 혹은 체제전환이 자신들의 안위를 보장하지 않음을 잘 알기에 김정은과 정치적 이해관계를 같이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도 북한 당국이 시장화의 부작용에 대해 충분한 학습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장화가 향후 어떤 경로를 택하든 북한사회의 혼란은 최소화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의 시장화 진전은 체제강화 면에서 오히려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changes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existing discussion, the marketization in the socialist countries is often considered to operate as a “threat to the regime.” Progress of marketization has the function of causing instability in the system, such as deterioration of social control, destruction of community values, expansion of social polarization, and growth of political instability due to political resistant forces of the marke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rketization of North Korea seems not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regime threat. Rather, North Korea’s marketization seems to be more effective in strengthening the regime. Marketization is sustaining and improving the lives of North Koreans, and the military elites and the power organizations continue to create new profits through marketization. It is unlikely for the Donju class to grow into a politically awakened class because they have the limitation of seeking only economic interests through connection with political power groups. The power elites along with the Donju are inevitably bound to have political interests in line with Kim Jong-un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instability of the regime or the system transition will not guarantee their security. Most importantly,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accumulated enough learning experience about the side effects of marketization, and it is highly plausible the political turmoil will be minimized in the North Korean society no matter where the marketization will lead to in the future.

      • 북한의 사회권 실태와 개선 방향 -포괄적, 실질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근식 ( Geun Sik Kim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3 동북아연구 Vol.18 No.-

        서구 인권개념의 핵심은 자유민주주의 발전과정에서 성립된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반해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 즉 사회권은 ‘천부인권’이라기보다는 인간이 획득해야 할 권리로 설명되고 있다. 북한 인권에 대한 서구적 관점의 문제제기 역시 주로는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집중되어 있으며,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는 오히려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되는 경향을 보인다. 서구의 문제제기에 대해 북한은 사회주의적 가치로서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 주장과 인권의 상대주의에 입각한 서구 강대국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사회주의와 북한의 특수성에 입각한 ‘북한식’, ‘우리식’ 인권이 철저히 보장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즉 북한은 ‘안으로부터의 시각’을 통해 ‘밖으로 부터의 시각’을 공격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북한이 스스로 우월하다고 주장하고, 다른 자본주의 국가들의 인권 상황을 비판하는 근거인 식량권, 사회보장권, 건강권, 근로권, 직업선택의 자유 등 사회권 측면의 인권 상황이 매우 열악하다는 것이다. 북한의 ‘우리식’ 인권에 대한 고집에도 불구하고 북한 인권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 북한도 인권이 보편적 가치이자 절대적 규범이라는 점을 부정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인권에 대한 ‘안으로부터의 시각’과 그로 인한 저항적 태도를 규범적으로 비판하기 보다는, 북한 인권 문제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조건에서 인권에 대한 현실적인 접근 방식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The western concept of human rights focus on the civil and political rights developed from the advancement of democracy. On the other hand,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re not considered as ``natural rights`` but depicted as acquired rights. The issues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are raised under the western perspective of human rights mainly concentrate on the civil and political rights with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considered rather as a secondary matter. North Korea has consistently responded to the western countries` criticisms from the socialistic values and cultural relativism, and rebuked the Western power-centered approach. North Korea claimed that human rights are fully guaranteed in its country under the “North Korean style” or woorisik “our way” human rights based on socialism and unique circumstances surrounding North Korea. In other words, North Korea is condemning the “perspective from the outside” through claiming the significance of “perspective from the inside.” However, it is undeniable the self-claimed supremacy of the right to food, social security, health, labor and freedom of occupation that it vehemently criticized the capitalistic countries for, the situation is atrocious in North Korea. Thus, despite North Korea`s insistence on our-way human right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efforts to resolve the problem must continue. North Korea cannot deny the universal values and absolute norm of human rights. Thus, rather than criticize North Korea`s “perspective from the inside” and its resistance, it is critical to approach this issue from a realistic posi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eculiarities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conditions.

      • KCI등재

        대북포용정책과 기능주의: 이상과 현실

        김근식 ( Keun Sik Kim ) 북한연구학회 2011 北韓硏究學會報 Vol.15 No.1

        경제협력의 확산효과가 평화를 증진시키고 공동체 통합을 이뤄낸다는 낙관적 전망이 바로 기능주의 통합의 요체인 바, 이에 입각한 대북포용정책은 한반도 평화 달성과 북한변화에 의한 공동체 통합이라는 기능주의의 목표 달성과 관련해 일정한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보이고 있다. 즉 군사적 신뢰구축의 증진과 함께 북핵보유와 간헐적 군사충돌을 막지 못했고 또한 북한의 개혁개방 조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본질적 체제변화는 미흡함을 부유럽과 달리 정전체제의 불안정성에 노출되어 있고 상호 이질화가 심한 분단체제의 남북관계에서는 기능주의의 성과가 단기간에 전면적으로 나타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국적 기능주의가 성공하고 대북포용정책이 실질적으로 한반도 평화 증진과 북한 변화를 도모해내기 위해서는 이를 제약하는 한반도적 현실을 고려한 추가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른바 한국적 기능주의의 성공을 위해서는 대북포용정책에 의해 한반도 평화정착과 북한의 도발방지에 최소 목표를 설정하고 북한 변화와 점진적 공동체 형성은 최대 목표로 분리해서 접근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일 수 있다. 또한 기능주의적 접근이 대북정책의 핵심이자 본령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지만 성공적인 평화 정착과 북한변화 및 한반도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론적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 다층통치체제론, 정부간주의, 신 현실주의, 구성주의 등의 보완과 결합을 통해 기능주의의 이론적 재구성을 고민해 봐야 한다. The key notion of functionalist integration theory is based on an optimistic prospect that the spillover from economic cooperation will promote peace and community integration. Along the same lines, the engag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embodies such principles of functionalism, of advanc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ommunity integration through changes in North Korea. However, the engagement policy encompassed both successes and failures. It was inadequate in promoting military trust-building and preventing nuclearization and sporadic armed clashes from the North. It was also found to be ineffective in prompting fundamental changes in the regime despite the recent moves towards opening up and reform. Unlike Europe, North and South Korea is exposed to instability and mutual heterogeneity from the extreme case of division system, making it difficult for outcomes of functionalism to be observed on a short period of time. In order for Korean functionalism, in conjunction with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hange in the North Korean regime to be actualized, the realities of the Korean peninsula must be fully understood and incorporated. Therefore, it will be a wiser choice to take a more realistic approach, to divide the goals of the engagement policy into minimum and maximum; through establishment of peace settlement and prevention of military provocation first and gradually proceed to the ultimate goal of promoting change in North Korea and community formation. Undoubtedly, the functionalist approach is the essence of North Korea policy but to successfully realize peace settlement, changes in North Korea and reunification, plurality of theoretical approaches must be attempted, including multi-level governance, intergovernmentalism, neo-realism, and constructivism; to integrate and supplement to reconstruct the functionalist theory.

      • Aesthetic Female Images in Lermontov's Taman

        김근식(Keunsik Kim)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2

        우리시대의 영웅의 타만은 하나의 독립된 작품으로서도 손색이 없을 만치 예술적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다. 그러한 완성미에 대해 벨린스키, 투르게네프, 톨스토이 체호프 등이 이미 지적한 바 있다. 이와 같은 타만의 미학은 이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인물과 그녀의 역할과 직관되어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주인공이라 불릴 만치 중요한 의미를 띤 타만의 처녀가 지니고 있는 미학적 측면을 분석하고자 한다. 전기적 차원에서 이 장편의 단초 역할을 하는 타만의 서사구조는, 이방인이자 화자이자 주인공인 페초린이 오지의 타만과 그곳 주민의 삶을 들여다보는 형식으로 꾸며져 있다. 이것은 그림 속의 그림처럼 소설 전체와 동일한 구조를 취하며 이 소설의 전개양식을 예술적으로 함축해 보여주는 것이다. 이점에서 타만은이 장편소설의 에피그라프 역까지 담당하고 있다. 우리시대의 영웅은 그 서사구조에서 러시아판 오디세이라 부를 정도로 호머의 오디세이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단지 두 작품의 차이는, 오디세이와 달리 페초린이 뚜렷한 목적성을 가지지 않고 여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오디세이의 한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사이렌은 유럽지역에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요정의 형상을 상징적이고 대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이렌은 타만의 야성적 처녀의 원형이라 할 정도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양 쪽은 모두 전형적 ‘femme fatale’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때문에 페초린이 이 낯설고 수수께끼 같은 여성의 삶을 들여다보고 거기에 대한 대가를 치르는 것이 이 작품의 메시지이다. 이 처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사이렌 또는 성경의 ‘뒤돌아보지 마라’에서 얻는 교훈과도 일치한다. 그 교훈 속에는 목적지를 가는 도중에 유혹당하거나 목적 이외의 무엇엔가 이끌려 뒤돌아보아서는 안 된다는 의지가 담겨있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언제든 쉽게 유혹에 빠질 수 있는 나약한 의지를 지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요정이 야기나 ‘뒤돌아보지 말라’는 성경 이야기는 ‘유혹의 시험’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타만에서의 여성의 역할은 의미가 깊다. 자만심이 가득 찬 페초린도 그러한 여성을 통해 자신의 독백적 세계관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는 처녀와 그녀의 사람들이 유지해왔던 삶의 질서를 깨트린 자신의 행위에 죄책감마저 느끼고 있다. 그것은 지금껏 자신의 행위에 참회를 몰랐던 페초린이 요정의 형상을 한 처녀와의 만남을 통해 세상 사람에게일말의 동정심과 인간적 감정을 가지게 하는 동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Taman, one of the short stories belonging to A Hero of Our Time, might be perfect itself even if it were separated as an independent work. Prominent Russian writers and critics set a high value on the art of Taman and consider it as a model of perfect prose. Taman's aestheticism is associated with the female character and her extraordinary role in the work. So this article is devoted to analyzing aesthetic aspects of the would-be heroin, the enigmatic savage woma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aman, which could be the beginning of the novel in a biographic arrangement, also is in a form where Pechorin, a stranger, narrator, and hero, looks into the god-forsaken town Taman, and the lives of its enigmatic inhabitants. This means that Taman takes the same structure as the whole novel, and artistically implies consequent development of this novel. In this regard, Taman plays the function of an epigraph of the whole novel. In general, A Hero of Our Time is so similar to Homer's Odyssey in its narrative structure as to call it Odyssey in Russian with parodic cynicism. The only conspicuous difference between two works is that Pechorin ventures voyage without purpose, contrary to Odyssey. The image of Sirens from Odyssey, who represent a variety of nymphs, rusalkas and undines appearing throughout European and Slavic folk tales and poetic works, bear analogy with that of Taman's 18-year old savage girl. Both images have the feature of typical femme fatale. In the cost that Pechorin pays, the mess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girl's artistic imagery that peeping into the life of a strange girl is a very dangerous adventure. The precept that the girl gives to Pechorin corresponds to the lesson of "do not look back" in the Bible, makes the message more concrete that one should keep going one's way without looking back, we can infer an instructive message that one should keep one's own way,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s or taking one's eyes off the destination, and without being seduced in such a situation where one might otherwise be. However, humans have such a nature with which they are readily seduced as they are easily changed due to having a weak will. Therefore, we can regard the rusalka story or the "looking back" in the Bible as the same concept as that of "trial to seduction." In this respect, the role of woman in Taman is very meaningful. Self-conceited Pechorin faces a new phase to change his monologic world-view on account of her. He feels guilty about his behaviour, destroying the life rule being kept by the girl and her people, when he finds himself separated fully from their world. This might mean that Pechorin, who never knows to repent for his behavior, has come to have a tinge of sympathy in his heart with the world, people, and simple human feelings. As such, through an unpredicted meeting with the girl with rusalka's figure, he opens to himself a possibility to be a human who can dig into others' life and pain.

      • KCI등재

        한류 발전 지속가능성 연구

        김근식(Kim Keunsik),임치헌(Lim Chiheo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5 슬라브학보 Vol.30 No.2

        Over the past few years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Korean wave. While much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area in popular music, little is known about overall macroscopic analysis of this phenomenon. What is not so widely understood, however, is great contribution to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culture. So here we limit the discussion to a holistic approach to the Korean wave.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motive power of the Korean wave. This thesis introduces a Lotman’s theoretical approach to explaining the mainstream culture and minority culture. It is based on an analytic method. Employing methodologies and theoretical approaches from the fields of cultural studies, this study explores the dialogic mechanism of the Korean wave. This research seeks to open up a new perspective of that phenomen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rests upon macroscopic contexts of the Korean wave. It needs further discussion about that.

      • KCI등재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대왕바리(Epinephelus lanceolatus) 친어 집단의 가계도 분석 효율

        김근식 ( Keun Sik Kim ),노충환 ( Choong Hwan Noh ),( Ahemad Sade ),방인철 ( In Chul Bang ) 한국어류학회 2015 韓國魚類學會誌 Vol.27 No.1

        현재 IUCN의 취약 등급인 대왕바리(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 친어의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연구로서 기 개발되어 있는 동종의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가계도 분석 효율을 조사하였다. 대왕바리 친어32마리를 8개의 microsatellite 마커로 분석한 결과 총 52개의 대립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기대치 이형접합율은 0.663, 근친교배계수는 0.011로 조사되어 현재 확보된 대왕바리 친어는 유전 다양성이 비교적 잘 유지되고 있었다. 하지만 유효집단 크기가 35로 추정됨으로써 지속적인 친어 확보의 필요성을 보였다. 해당 마커를 이용한 동일 유전자형 출현확률은 무작위 집단에서 6.85×10-11 그리고 한쪽 부모의 유전자형 확보 및 양친의 유전자형이 확보된 상태에서의 부권 부정률은 각각 0.00835, 0.00027로 나타났으며, 주좌표분석 결과 친어의 유전자형은 중복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이용한 8개의 microsatellite 마커로도 유전자형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대왕바리 친어 관리 시스템 구축이 가능할 것이며, 이를 활용한 유전 다양성이 높은 자손 생산 및 유전적으로 유사한 개체의 중복 확보를 방지할 수 있어 친어 확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 is a endangered species considered as a vul-nerablegrade-organism in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red list. As a fun-damental baseline study for establishing a giant grouper broodstock management system, the effici-ency for parentage analysis was evaluated by using microsatellite makers previously available in this species. The eight microsatellites generated a total 52 alleles from 32 individuals, the mean expected heterozygosity was 0.663, and mean inbreeding coefficient was 0.011, consequently suggesting that the present broodstock has retained the high level of genetic diversity. However, our analysis also recommended the collection of more brood fish for more stable brood line, since the estimated value of the effective population size was proven to be 35. The average probability of identity was 6.85×10-11. NE-2P and NE-PP of paternity non-exclusion probabilities were 0.00835 and 0.00027, respectively. As the result of principle coordinate analysis, the genotype of broodstock was not overlapped, suggesting that the management system of giant grouper based on eight selected microsatellite markers might be effective, although further validation with extended number of brood fish might also be needed in future. Data of present study could be a useful basis to avoid the unwanted selection of broodfish that possess close genetic relationship with current broodstock, and consequently to establish effective broodstock management system allowing the production of progeny with high genetic 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