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명재(明齋) 윤증(尹拯)과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의 교유(交遊)

        김교빈 ( Kyo Bin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1

        이 논문은 주자학이 고착되어 가던 17세기의 상황 속에서 주자학과 양명학으로 학문적 차이를 보였던 명재 윤증과 하곡 정제두의 교유 관계를 두 사람 사이에 오간 편지를 중심으로 살핀 것이다. 윤증은 정제두와 스승 제자관계이며 인척이기도 하였기 때문에, 양명학에 침잠한 정제두를 아끼는 입장에서 주자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정제두의 학문을 비판하였다. 두 사람 사이에 오간 편지는 윤증이 보낸 9통과 정제두가 보낸 10통, 그리고 윤증이 타계한 이후 아들 윤행교에게 정제두가 보낸 2통이 남아 있다. 그 기간은 윤증이 64세이자 정제두가 44세 때부터 시작하여 20년 동안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윤증은 단호한 비판을 해 왔고 정제두는 양명학에 대한 더욱 확고한 의지를 다져갔다. 하지만 두 사람은 학문적으로 더 큰 격차를 보이면서도 여전히 서로 아끼고 격려해 주었다. 윤증은 마지막까지도 정제두의 잘못된 학문이 스승인 자신의 책임이라는 입장을 버리지 않았고, 정제두 또한 죽은 뒤까지도 스승에 대한 예로서 대했다. 그 과정이 정제두에게는 상대방을 더 열심히 설득해 보려는 추동력이 되었고, 동시에 자신의 학문을 체계화하는 기틀이 되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for the association between Yun jeng and Jung je du in 17th century of chosun dynasty. Neo-Confucianism has set in that time. Yun jeng studied Neo-Confucianism and Jung je du studie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They ha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lso they were related by marriage. They exchanged letter and argued about Jung je du`s study with each other. But Yun jeng is the person that cares for and love Jung je du. Yun jeng sent a letter nine times and Jung je du sent a letter ten times, as well he sent a letter to Yun jeng`s son two times. That period started when Yun jeng was sixty-four years old and Jung je du was fourty-four years old and the debate maintained twenty years. In the process of that argument Yun jeng criticized firmly Jung je du`s theory and Jung je du was more fixed his will for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In spite of the gap of their study they still saved and encouraged each other. Untill the end of his life Yun jeng didn`t give up his duty as teacher and Jung je du kept manners for Yun jeng as student still later Yun jeng` death. That process gave the chance to Jung je du which he made his own theory and established the Korean doctrines of Wang Yangming.

      • KCI등재

        돌봄과 치유에 대한 유가 정서의 철학적 기초

        김교빈(Kyo-Bin Kim) 한국의철학회 2007 의철학연구 Vol.4 No.-

        이 글은 돌봄과 치유에 대한 유가사상의 철학적 기반을 살핀 글이다. 유가의 중심축은 도덕에 기초한 인본주의이며 주류인 공자와 맹자에서는 도덕법칙과 자연법칙이 하나로 이해되었다. 유가의 사유체계에서 돌봄과 관련된 가장 대표적 개념인 양(養)은 자신의 감각이나 신체를 기르는 것이 아니라 당연법칙인 도덕성을 기르는 것이었으며, 타인의 경우도 윗사람에 대한 봉양이든 아랫사람에 대한 양육이든 모두 사람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타고난 본성으로 이해되었고, 특히 봉양은 몸을 받드는 것보다 뜻을 받드는 것이 더 중하게 여겨졌다. 그 밖에 여자와 아이들과 백성 또한 돌봄의 대상이었다. 이러한 정서나 실천은 공자의 仁에서 나온 것이고, 맹자의 측은지심과 不忍人之心으로 이어졌다. 치유에 대한 유가의 생각은 맹자에서 동중서로 이어지면서 天人相關을 주장한 흐름과 순자가 중심이 되어 天人無關을 주장한 흐름으로 나뉘어지지만, 이 두 관점이 모두 동아시아 의학의 고전인 『황제내경』에 수용되어 있다. This is an article that look into philosophical basis of emotion in confucianism for care and healing. The main pocus of confucianism is humanities that based on moral. Confucius and Mencius comprehended the same thing between moral principle and natural principle. In confucian theory a nurse(養) is a representative concept for care. The nurse(養) for oneself is bring up not body but morality as human's bounden principle. And confucianist thought that breeding children or supporting aged person is common behavior as the original nature. Especially in the case of supporting aged person supporting mind is more important than supporting body. And woman and people were another subject for care. That emotion and praxis came out perfect virtue (仁) of Confucius and connected natural sympathy of Mencius. Confucian thoughts for healing were two way. Mencius and Tung Chung-shu thought that haven and men is related. But Hsun-tzu was aginst that thought. In spite of difference oriental medicine accepted two viewpoint together.

      • KCI등재

        논문 : 예치주의의 형식성을 통해 본 동아시아의 근대성 검토-서구 법치주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교빈 ( Kyo Bin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2 시대와 철학 Vol.23 No.1

        일반적으로 동아시아의 근대는 서구의 영향 아래 성립되었다고 보며, 그 경우 근대의 중요 특징 가운데 하나가 형식이었다. 근대 이전 동아시아에 나타난 중요한 형식은 엄격한 의례(儀禮)였다. 의례는 개인부터 국가까지 사회 전체를 관통한 시스템이었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예치시스템은 근대로의 발전을 가로막은 과도한 형식주의라고 비판받아 왔다. 그렇다면 동아시아 예치시스템이 보인 과도한 형식주의를 근대 담론체계 안에서 다시 볼 수는 없는 것인가? 동아시아에서 의례는 삶 전체를 포괄하고 사람들 사이를 관계 짓는 사회 시스템이었으며, 신분적 차별을 정당화하는 문화 형식이었고, 사회 이념을 구현해 가는 교육 방법이었다. 특히 예치 시스템의 핵심은 형식이었고, 과잉된 형식의 모습을 잘 보여준 것이 조선 후기 예송이다. 하지만 그 속에는 왕실과 사대부 집안의 차별마저 넘어서는 근대의식이 담겨 있었다. 그리고 의례의 형식화와 도구화는 표준 양식을 제시했다는 합리적인 특징으로보여주기도 한다. 이 점은 서구 근대 법치주의가 형식을 통해 객관적 준칙으 로서의 법에 의한 지배를 실현하려 했던 것과 유사하다. 그 근거로 서구 법치주의는 천부인권사상을 내세웠고, 유교 의례 또한 신성화를 통해 정당성을 확립하였다. 하지만 의례는 외적 규제보다는 내적 자율성에 더 의존했다는 차이가 있다. 근대 이후 유교 의례문화는 부정해야 할 봉건적 질서였다. 하지만 여기에는 서구의 충격에서 온 동아시아의 트라우마가 담겨 있다. 예치주의의 형식화와 도구화를 역사발전 과정으로 본다면 예치시스템의 형식에서도 서구사회의 근대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Modernity in East Asia was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st. In that case, one of the key features of modern times was a form. Important form of pre-modern East Asia was a strict rites(儀禮). System of rites penetrated through From the individual to the whole society. But the rule of manners in East Asia has been criticized for excessive formalism that blocked development to the moderns. Then in modern discourse, excessive formalism of the rule of manners in East Asia can not be revaluated? In pre-modern East Asia, rites covered the human`s whole life. So rites was a social systems that related between people, and was a cultural form that justified the discrimination of status, and was a method of education that realized social ideas. In particular, the core of the rule of manners was a form, and the yesong(禮訟) showed figure of overflowing of form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But that yesong dripped with the modern sense which get over the discrimination between royal and noble families. Also the formalization and tools of rites provided a standard reasonable way. This point similar with that western modern rule of law realized the rule of law through the form as the objective standard principle. western modern rule of law nominated natural rights of man as basis and rites of confucianism established justification through holism also. But the rites depend on the internal autonomy rather than the external regulation. That is the different point. In modern times confucian rites is the vestige of feudal society. But that point of view trauma from Western impact. If we acknowledge that the formalization and tools of rites as progressive process of history, we can find western modernity from the ritual system of premodern East-Asia.

      • 한국의 동아시아공동체론

        김교빈(Kim Kyo-Bin)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6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15

        1990년대 중반부터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이 열기를 더해 가고 있다. 동아시아공동체론은 동아시아를 하나로 묶자는 논의이다. 동아시아는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합친 것이지만 논의의 중심은 동북아시아의 한ㆍ중ㆍ일 3국이다. 공동체 논의는 자유주의 논의와 대립쌍을 이룬다. 그런 점에서 동아시아공동체 논의는 동아시아에 속하지 않는 것들에 대한 대항 담론인 셈이다.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은 동양의 문화와 사상 속에 담긴 가치를 찾으려는 노력이며, 유교자본주의 논의와 아시아적 가치 논의의 연장선에 있다. 동아시아공동체 담론은 동아시아의 비슷한 문화적 토양을 지반으로 지역 내의 협력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공동체적 통합을 내다보는 논의이다. 따라서 ‘국가들의 동아시아’를 넘어서서 ‘지역과 문명으로서의 동아시아’를 모색하는 논의이다. 그런 점에서 막연한 추상 수준이 아니라 우리의 현실 토대에서 출발해야 한다. 범 유교문화권이라는 보편성을 강조하면서도 각 지역이 지닌 특수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더구나 구체적 맥락에서 중요한 것은 도덕적 사회관계보다는 연대적 사회관계인 것이다. 아시아적 전통에 바탕을 두되 전근대적인 요소 그대로를 끌어내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 맞는 새로운 문명의 틀로 바꾸어 낼 수 있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탈근대성을 확립해야 한다. 동아시아적 상상력과 방법론을 사상 차원에서 끌어내고 이를 바탕으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한 운동으로 확산해 가면서 ‘동아시아주의’의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틀을 확고히 해야 한다.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proceeding excitment from middle of 1990s.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is discussion to tie East Asia. East Asia together North-east Asia and South-east Asia, but main of discussion is discussion about Korea, China, Japan. Discussion about community is opposed Discussion about liberalism. So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is opposite against another community.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is a effort that look for the value in oriental culture and thought. So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exist on extension of discussion about confucian capitalism and oriental value. Discussion about East Asian community is based similar cultural ground. That is a discussion to elevate cooperation in this area, finally make a communality unit. Therefore we must grope for East Asia as area and culture pass over East Asia of countries. So we have to make a start from not dim abstract level but our really foundation. We notice universality as pan-confucian cultural area but we don't failure to notice particularity of every area. In addition the important thing is not moral social relationship but jointly social relationship. We are based on oriental tradition. But we don't bring out premodern fact. We must change up to date new cultural frame. So we will free ourselves from premodernity. We must bring out East oriental imagination and method in thought level. On this background When we will diffuse citizen's campaign, we will fix the frame of recognition and practice as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East-Asianism.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

        김교빈(Kim Kyo-Bin) 인문콘텐츠학회 2005 인문콘텐츠 Vol.0 No.6

        문화는 인류가 자연을 지배하고 순화시키면서 자신의 이상을 실현해 가는 과정에서 얻어낸 철학, 과학, 예술, 종교, 사회, 경제와 같은 모든 산물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또한 원형(原形, originality 또는 archetype)은 고유성과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본디 모양"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문화원형"은 민족 또는 지역의 특징을 잘 담고 있어서 다른 지역, 다른 민족과 구별되는 본디 모습에 해당하는 문화를 뜻한다. 이러한 문화원형은 보편성과 특수성의 두 측면을 가지고 있다. 보편성 논의는 칼 융에서 시작되었으며 인류가 지닌 집단무의식으로 존재한다. 여기에 근거한 논의가 글로벌문화원형이다. 하지만 민족 또는 지역 단위에서는 다른 민족과의 차별을 통한 주체성과 민족 구성원 사이의 공감대에 바탕을 둔 정체성을 논할 수 있다. 문화원형을 산업적 관점에서는 한국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지닌 문화원형을 다양한 결과물을 구현해 낼 수 있는 One Source - Multi Use 방식으로 개발해야 한다. 또한 한국문화의 세계화와 함께 세계 여러 나라의 문화 소재를 콘텐츠로 제작해 내어야 하며, 우리 문화를 알릴 중요 대상 지역, 또는 국가의 문화지도가 만들어져야 한다. 그리고 공공적 성격의 아카이브 중심 문화원형 복원 사업도 필요하고 로드맵에 바탕한 중장기적 전략이 나와야 한다.

      • 『황제내경』, 기철학과 전통의학의 만남

        김교빈(Kim Kyo-Bin)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9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20

        『황제내경黃帝內經』(이하 『내경』이라 함)은 고대 중국이 만들어 낸 뛰어난 의서醫書이다. 『내경』이 만들어진 시기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지만 언급된 가장 오래된 자료는 후한의 반고班固가 지은 『한서漢書』ㆍ『예문지藝文志』ㆍ『방기략方技略』이다. 『내경』은 질병 치료에 목적이 있으면서도 다른 의학서와 달리 당시 과학이 얻은 다양한 성과를 아우르면서 커다란 철학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고대 중국 문명이 만들어 낸 하나의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중요한 얼개를 이루는 것이 기氣이다. 이 글은 『내경』의 철학체계를 밝힘으로써 전통의학과 철학의 연관성을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은주시기 이전에 생겨난 기 개념은 전국시대를 거치면서 기가 만물의 기초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자연현상만이 아니라 도덕적 측면까지 범주를 확장하였다. 그 과정에서 서로 발생이 달랐던 음양, 오행 개념을 하나로 연결지음으로써 음양오행이론이 요소론에 머물지 않고 관계론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였고 한대에 이르면 『회남자淮南子』와 『춘추번로春秋繁露』를 통해 더욱 풍부한 모습을 갖추게 된다. 특히 음양오행론은 사람과 자연, 사람 몸의 장부, 인간과 사회 같은 다양한 관계를 음양오행의 조화로 설명하는 동시에 그 조화가 무너졌을 때 치료를 통해 균형 잡힌 모습으로 복귀할 수 있는 조절이론 근거로 기능하게 된다. 또한 그 속에는 천인상관의 관점에 선 동중서의 논리와 천인무관의 관점인 순자의 논리가 담겨 있다. 따라서 인간과 자연을 하나로 이해하면서도 목적론적이거나 신비주의적 관점으로 빠지지 않고 경험에 근거한 과학적 관점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 이는 실제적인 관찰과 풍부한 임상 경험의 토대 위에서 음양오행론을 받아들여 임상 차원의 다양성을 설명하는 논리를 삼았고, 상생상극 논리를 통해 한의학의 특성인 유기체론의 기틀을 다졌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동아시아 근대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교빈 ( Kyo Bin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4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들은 서구의 충격 속에서 근대를 경험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의식, 관습, 제도 등 모든 면에 전근대와 근대와 현대와 후 현대가 뒤섞여 있는 양상으로 나타나 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한 반성으로 근대 및 근대성, 그리고 근대가 만들어 낸 부정적인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탈근대 논의가 활발하게 벌어지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말이었다. 본 연구는 근대성을 주제로 한 동아시아 담론의 주류가 어떠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지 살피고, 기존 연구가 갖는 방법론상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뒤 연구방법론 전환을 위한 제언을 하고 있다. 서구에서는 신학이 지배하던 중세를 벗어나 이성과 과학이 지배하는 근대를 열었다. 하지만 20세기 후반에 들어오면서 근대에 대한 비판이 일기 시작하였다. 근대성은 한때 새로운 문명 건설의 원동력이었지만 오늘날은 새로운 시대의 출현을 가로막는 질곡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제는 더 이상 유럽 중심의 사유구조를 가지고 동아시아의 근대성이나 탈근대성을 논의할 수는 없다. 사실 우리의 근대성은 서구의 근대성과 부분적으로라도 다를 수밖에 없다. 그 이유는 바로 우리의 유교 문화 전통 때문이다. 우리가 서구 근대성의 영향 속에서 우리의 근대성을 만들어간 것은 사실이지만 나름의 발전 경로와 논리를 그 안에 담고 있다. 유교 문화는 서구의 충격 속에서도 제기된 문제들에 직면하여 그 해결을 모색할 때 늘 동기를 제공하고 문제 인식을 위한 관점의 배경을 마련해 주었으며 일상적 삶의 양식을 규정하고 행위의 조건인 제도와 관행을 만들어 내며 실천의 방향을 지시해 주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전통 유교의 형식 또는 구조를 주된 논의 대상으로 삼은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근대성을 소프트웨어로서의 내용 중심에서 하드웨어로서의 형식 중심으로 전환하는 연구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건적 잔재로 인식되어 온 동아시아의 과잉된 ``형식``의 문제를 근대성의 한 측면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형식``이 지니는 가치중립적 성격을 감안한다면, 형식화의 과정은 근대적 개인의 사회적 소통과 합리적 질서로서의 근대적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형식은 전통사회의 예치시스템으로 나타났다. 예치시스템은 전통 사유를 객관화한 것이며 그 속에 이성주의적 사고가 담겨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하드웨어로서의 예치시스템을 근대성의 시각에서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결론이다. Most East-Asian country experienced western culture shock in modern period. Therefore at the present day pre-modern and modern and post-modern are jumbled together in every field of most East-Asian country that include consciousness, custom, system etc. As the introspection on this situation discourse of post-modern for solving negative modern problem animated began in the end of 20th century.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a study on main stream of East-Asian discourse for modernity and a critical survey on problem of methodology in the earlier studies. Afterwards this paper suggest new methodology for study on East-Asian modernity In medieval times theology dominated the Europe. But in modern times the reason and the science came to dominate the Europe. However coming in the late 20th century critics for modernity began. One-time modernity was a driving force to build a new civilization, but today modernity is the fetter that block appearance of a new era. Now no longer we can not discuss modernity and post-modernity by the Eurocentric thinking. To tell the truth our modernity different with European modernity. Because we have a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We made our modernity in the effect of Western modernity, but it contained our own development path and the logic inside. Despite the impact of Eurocentric modernity our Confucian culture to the issues raised in the face when it resolved to seek to provide motivation always aware of issues prepared for the terms gave the background of daily life conditions of the act stipulates the form of institutions and practices Produces in practice was in the right direction. However, previous studies for the type or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set up to take the main target is seldom discussed. Thus, modernity as a type of software as an content focused on the hardware as the form requires a change in perspective. Operating in East Asia has been recognized as a feudal remnant ``form`` as an aspect of the problem of modernity is a need to review. The ``type`` value-neutral character of the peculiarity of considering, formalization of the process of social communication in the modern individual as a rational order could be understood as a modern concept. Such type of system were system of manner in a traditional society. System of manners, constitutes an objective reason for the tradition that would have fit in the rational liberal thinking. Therefore, as a hardware system of manners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ity, is the conclusion that research needs to be se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