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MP를 연동한 콘텐츠 중심 네트워킹 망관리를 위한 이름 구조 및 이의 구현

        김광수,노병희,Kim, Kwangsoo,Roh, Byeong-hee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7 No.5

        Content-centric networking (CCN) is a future Internet technology to reorganize the paradigm of end-to-end communication of the current IP-based Internet architecture into a content-based paradigm. In managing such new networks, the network manag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The standard for typical network management in existing IP networks is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works to implement network management functions on CCN, they have their own limitations to apply them to pure CCN operational environments. The basic reason of the limitation is that existing methods operate in an IP-overlay structure, or do not support push-type information exchan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naming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both pull and push-type SNMP methods for CCN network management with SNMP. Then, methods to support GET and TRAP methods as well as a SET method of SNMP in the pure CCN environment using the proposed naming structure are proposed. We implement the proposed method using CCNx, and construct a CCN network testbe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by monitoring appropriate exchange of SNMP messages over the testbed.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Contents-Centric Networking, CCN)는 현재의 IP 기반 인터넷에서의 단대단 통신 패러다임을 콘텐츠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미래 인터넷 기술이다. 이러한 새로운 네트워크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망관리는 매우 중요한 기능들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IP 네트워크에서 전형적인 망관리 표준은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이다. CCN에 망관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이들을 순수한 CCN 운영 환경에 적용하는데에는 각각의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갖는 주된 이유는 기존 방법들이 IP-overlay 구조로 운용되거나, push 형태의 정보 전달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SNMP를 연동한 CCN 망관리를 위하여, pull과 push-type의 SNMP 메쏘드들을 CCN에서 모두 수용 가능한 새로운 naming structure를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하는 naming structure를 활용하여 순수 CCN 환경에서 SNMP의 network 와 node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GET과 TRAP 메쏘드 뿐만 아니라, 이들의 설정을 위한 SET 메쏘드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제안 방법을 CCNx를 활용하여 구현하고 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테스트베드상에서 SNMP 메시지들이 정상적으로 교환됨을 보인다.

      • 압축 공기 에너지 Saver 개발

        김광수(Kwangsoo Kim),김명섭(Myoung Sub Kim),김강대(Kang Dae Kim),정덕채(Duk Chae Jung),김동수(Dong Soo Kim),최병오(Byung Oh Choi) 한국유체기계학회 2008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Vol.2008 No.-

        In this paper, we designed sandwich type pressure regulator for air pressure control system. As a result of research, we obtained several important conclusion. First, we decided theory of popper valve and relief valve which are used in sandwich type pressure regulator, and then designed prototype of pressure regulator. Second, we organized circuit diagram of dual pressure regulator of air pressure control system.

      • KCI등재

        대도시-농어촌 지역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관련 변인에 대한 비교 연구 : 대구광역시와 경북 농어촌 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김광수(Kim, Kwangsoo)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1 사회연구 Vol.- No.21

        이 연구는 상이한 지역환경, 즉 대도시인 대구광역시와 경북의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들을 비교분석하면서, 지역별로 그들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유형이 어떻게 상이한지, 그리고 그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은 얼마나 차이 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청소년들의 실제 생활환경을 고려하여, 생태체계를 개인인구학적 체계, 개인심리 체계, 가족 체계, 인터넷환경 체계, 교육환경 체계 등으로 세분화하여, 각 체계에 해당하는 하위 독립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대구광역시에 비해 경북 농어촌 지역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두 지역 모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령에 의한 영향력 차이는 대구광역시 청소년의 경우에만 연령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두 지역 청소년들 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의 하위 체계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분석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인터넷 중독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하위체계는 대구광역시 청소년의 경우에는 교육환경 체계이며, 경북 농어촌 청소년의 경우에는 인터넷환경 체계였다. 넷째, 생태체계에 속하는 전체 독립변인들 중에서 종속변인에 가장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개별 독립변인은, 대구광역시 청소년의 경우에는 과외학습 및 여가활동환경 변인이었으며, 그 다음이 인터넷 사용시간 변인이었으며, 경북 농어촌 청소년의 경우에는 인터넷 사용시간 변인이 가장 설명력 있는 독립변인이었으며, 그 다음이 자기통제력 변인이었다. 분석결과에서 청소년의 거주지역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상이한 하위 생태체계와 변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거주지역에 따라 차별화된 정책과 프로그램이 제시되어야만 그들의 인터넷 중독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s residing in a metropolitan area (Daegu) and a ruralarea (Gyeongbuk), and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sub-system and variable under the ecological system inthetwoareas. I explore five ecological sub-systems in this study with fifteen ecological independent variables among them; individual-demographic, individual-psychological, family, internet environment, and educational-environment sub-systems.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dolescents in the rural area show a higher tendency of internet addiction than those in metropolitan area as a whole. Second, male students show higher rates ofinternet addiction than female students in both areas. Third,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 the ecological system explaining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s was the educational-environment sub-system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internet-environment sub-system in the rural area. Fourth, the most effective variable in explaining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s was extracurricular and leisure activities and adolescents' internet usage time in metropolitan area, and adolescents' internet usage time and self-control in rural are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developing different policies and programs by residence for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의 자살 인지양식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

        김광수(Kim Kwangsoo),권용신(Yong Shin Kwo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5 사회연구 Vol.- No.9

          이 연구는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자살과 관련된 두 인지적 변인, 자살생각과 자살의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변인들의 관계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조사연구소가 2003년에 설문 조사한『청소년 생활통계연보』에 수록된 자료를 사용하여 실증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조사대상자는 청소년기에 있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재학생이다. 이 연구의 종속변인은 두 인지양식, 즉 자살생각과 자살의견이며, 독립변인은 환경변인으로서 가정환경과 학교환경, 그리고 기본변인으로서 성, 지역규모, 학교등급 등이 포함되었다.<BR>  연구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종속변인 중에서 자살생각은 가정환경보다 학교환경 변인의 영향을 더 다양하게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집단 따돌림의 피해경험 뿐만 아니라 가해경험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변인으로 확인되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또 다른 종속변인인 자살의견의 경우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을 나타내는 주요 독립변인들은 대학에 진학하려는 의사, 집단 따돌림의 피해 경험, 그리고 여성 변인들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종속변인인 자살생각과 자살의견에 대한 독립변인들 간의 일치하지 않는 통계적 유의미성의 차이는 독립변인 효과의 차이 이외에도 청소년 본인 스스로가 처한 환경에서 가지는 자살생각이라는 주관적인 인지양식과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객관적 사실로서의 자살의견이라는 객관적인 인지양식 간을 차별하는 청소년들의 태도 차이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인지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인들의 성격을 규명한 연구결과는, 청소년 자살의 위험 환경을 확인하고 위험 환경 속에서 형성되고 있는 자살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지적 개연성을 예측하여 청소년 자살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모색의 근거가 될 것이다.   Adolescence is a time of expanding vulnerabilities and being exposed to self-destructive behavior such as suicide, due to cognitive development.<BR>  This research has been designed to explain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wo suicidal cognitive patterns being expressed ahead of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and adolescent"s environmental factors, and to take effective precautions and draw up programs against adolescent"s suicide.<BR>  The analyses considers two kinds of suicidal cognitive patterns-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opinion-as dependent variables,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and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using the data from a survey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s of adolescents which was collected by Korea Social Research Center in 2003.<BR>  The analyses of data indicate that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as a subjective cognitive pattern and their suicidal opinion as a objective cognitive pattern are differently affected by independent variables.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is more diversely affected by school environment factors than those of family factors, especially with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experience being victims as well as perpetrators of exclusion from peer groups. Adolescent suicidal opinion has distinct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intention to enter college, the experience of being victims of exclusion from peer groups, and the female factor.<BR>  In addition to the different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two dependent variables can be interpreted to be the difference in inherent characteristics of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opinion that represent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ognitive patterns,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업의 경쟁정보활동수준과 경영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김광수(Kwangsoo Kim),장린린(Lin Lin Zhang),임채성(Chaisung L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2

        기업의 경쟁정보활동 관련 기존 문헌은 기업의 경쟁정보활동수준이 경영성과를 높일 것이라는 암묵적 가정을 전제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문헌의 가정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업의 경쟁정보활동수준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환경동태성 및 전략유형 등의 상황에 따라 경쟁정보활동과 경영성과의 관계의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중국기업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기업의 경쟁정보활동수준이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일반적으로 환경동태성이 높을수록 기업의 경쟁정보활동수준과 경영성과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나고, 방어형 또는 반응형의 기업에 비해 공격형 또는 분석형의 기업에서 경쟁정보활동수준과 경영성과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업의 경쟁정보활동 관련 중요한 결론 및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literature in competitive intelligence has an implicit assumption that the level of competitive intelligence of companie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Hence, to test the assumption of the existing literature, this study intend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mpetitive intelligence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tingencies(i.e., environmental dynamism and strategy type) on that relationship. Based on data from Chinese compan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level of competitive intelligence has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y further reveal that environmental dynamism and strategy type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mpetitive intelligence and business performance. Specifically, prospectors and analyzers have a stronger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mpetitive intelligence and business performance than defenders and re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esents key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 KCI등재후보

        헌법 개정과 재산권 조항

        김광수(Kwangsoo Kim) 한국국가법학회 2018 국가법연구 Vol.14 No.1

        Although the law is the highest national norm, it is expressed in a very brief form and it is difficult to contain all the article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the Constitution because there is a principle that it is the limitation on the social intervention of the state.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directly regulating property rights are only three of Article 23. And since the modern constitution is based on the dual structure of separation of state and society, the Constitution makes only the framework of “property rights are guaranteed” and leaves the specific contents and forms to acts. The Constitutional Court judges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by the principle of the prohibition of infringement of essential contents,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proportionality, and the freedom of choice of occupation and business activity. In other words,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should be maintained as a system of the Constitution, but there is room for the concrete contents to be changed by social recognition, public opinion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time. Nevertheless, the Constitution should at least give a certain direction to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events considering the present meaning of property rights and social functions. There have been discussions on constitutional amendments in political circles including the National Assembly. The constitutional system in 1987 reflected the nation s aspiration for democratization, and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society through the direct election of the president, the five - year service period,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and the activation of the constitutional trial system. Thirty years after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t was necessary to revise the Constitution in order to incorporate social chang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to the Constitution. However, there seems to be many difficulties and complexities in gathering the opinion of the people who have rights to amend the Constitution, regarding the urgency and scope of amend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significance and structure of property rights under Article 23 of the Constitution and to discuss how to reflect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al property right clause in legal practice. Finally, at the end, I am proposing amendments to Article 23 of the Constitution. The discussion on this part has not been active in the meantime, so this article contains a minimal amount of content. The property rights clause is the core constitutional provision directly linked to the social and economic foundation of our society as well as to the survival of the people, economic democrat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perty rights provisions are linked to the above areas and also to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of the above areas. Therefore, the concrete formation of the property right clause should be fine-tuned in the future with reference to the discussion of other parts of the Constitution. 법은 최고의 국가 규범이지만 형식적으로 매우 간략히 표현되며 내용적으로는 국가의 사회적 개입에 대한 한계라는 원칙이 있기 때문에 위의 문제 해결을 위한 조문을 모두 헌법에 담기는 어렵다. 헌법이 재산권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조항은 제23조의 3개항에 불과하다. 그리고 근대 헌법은 국가와 사회의 분리라는 이원적 구조에 의하고 있기 때문에 헌법에서는 “재산권은 보장된다.”라고 하는 틀만을 제작하고 그 구체적인 내용이나 형태는 법률에 맡기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재산권의 보장을 본질적 내용의 침해금지, 평등의 원칙 및 비례의 원칙 그리고 직업선택 및 영업활동의 자유라고 하는 형식원리에 의하여 판단하고 있다. 즉, 재산권에 대한 보장은 헌법의 제도로서 유지되어야 하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당시의 사회적 인식이나 여론 및 경제적인 형편에 의하여 변화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그렇다고 해도 헌법은 적어도 현재의 재산권의 의미와 사회적 기능을 고려하여 그 내용이나 행사방법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을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그간 국회를 비롯한 정치권에서 헌법 개정에 관한 논의가 있어 왔다. 1987년의 헌법 체계는 민주화를 위한 국민의 열망을 반영하였으며, 대통령의 직접선거와 5년 단임제 그리고 지방자치의 실시 및 헌법재판제도의 활성화를 통하여 국가 및 사회 발전에 큰 기여를 해왔다. 헌법 개정 후 30년이 지난 시점에서 그간의 사회변화와 과학기술의 발전 등을 감안하여 이를 헌법에 반영하기 위한 헌법 개정이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 그러나 헌법 개정의 시급성과 개정 절차 및 개정의 대상과 폭에 관하여 헌법 개정권자인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데는 갖은 난관과 복잡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헌법 제23조에 의한 재산권 보장의 의의와 구조를 설명하고, 그간의 법운용 및 실무에서 나타난 헌법 재산권 조항의 해석을 헌법 개정 시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논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이를 정리하여 헌법 제23조 재산권 조항의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이 부분에 대한 논의는 그간 활성화되지 않았으므로 이번 글에서는 최소한의 내용만을 담았다. 재산권 조항은 우리 사회 및 경제의 근간일뿐더러 국민의 생존보장, 경제민주화, 과학기술의 발전 등에도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핵심적 헌법조항이다. 재산권 조항은 위의 분야와 연결되며 또한 위 분야의 헌법 조항과 연동된다. 그러므로 재산권 조항의 구체적 형성은 다른 부분의 논의 또한 참조하여 향후 미세 조정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