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형 복지 구축에 따른 사회복지관의 자주적 기능 강화 방안

        김광병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Local welfare refers to social welfare tasks that reflect the traits of and are unique to a reg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ays to strengthen the independent functions of social welfare centers as a means of promoting local welfare. To that en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of recognizing local welfare and the roles that social welfare centers perform. Results showed that, since social welfare centers were public by nature, all of the centers in the country were standardized and failed to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independent functions of social welfare centers were guaranteed, being the only legal entity that supports local welfare based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in order to strengthen the independent functions of social welfare centers, they should enhance subsidies due to their public nature, discretion based on their emergency measures, and creativity so as to demonstrate local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current social welfare centers should be changed to local welfare-oriented public social welfare centers, be supported by local governments regarding budget and additional staffing, and serve as integrated case management centers. 지역형 복지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해당 지역만이 가지는 사회복지사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지역형 복지 구축의 한 형태로서 사회복지관의 자주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지역형 복지 구축의 당위성을 살펴보고 사회복지관이 수행하고 있는 기능을 진단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관은 공공성을 지녔지만 전국의 사회복지관이 동형화 되어 지역적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라 지역복지 기능을 수행하는 유일한 법적 전달체계라는 점에서 자주적 기능이 보장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의 자주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공공성 강화라는 측면에서 보완성을 높이고, 긴급성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재량성을 강화하며, 지역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창의성을 갖출 것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관이 지역형 공공사회복지관으로 전환,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지원과 추가인력 배치, 통합사례관리 센터로서 역할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 분석-서울특별시 본청 및 25개 기초자치단체 조례를 중심으로-

        김광병,김수정 사회복지법제학회 2020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1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Ordinances in Support of Out-of-School Youths" was enacted in a form reflecting the consistency with the "Act on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ut-of-School Youth Act"). For this purpose, as of August 2020, the ordinances ena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25 local governments in Seoul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levels of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s in Support of Out-of-School Youths" were very lo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dinances and the laws was not harmonious. In some cases, the provisions of the "Out-of-School Youth Act" were taken without modification and enacted as ordinances, or the provisions of the law were selectively excluded even if there was no ordinance, it was possible to apply based on the "Out-of-School Youth Act." In addition, although the ordinances of the local governments had to be enacted in detail, there were many more abstract provisions than the "Out-of-School Youth Ac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indicating that the function of the ordinances did not work well. In some instances, however, some specific ordinances were enact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It can be observed that the function of the ordinance has performed effectively in that the provisions such as "Support for costs for certifications required for academic progress and employment" and "Scholarship support to provide career exploration opportun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Introduction of special guidance programs for youth at risk of school interruptions" and "Guide to family consultation and support for the youth outside school" were included neither in the "Out-of-School Youth Act" nor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It can be construed that this was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problems, and desires of different local governments. Since ordinances have features that need to be established by embodying the provisions of the laws or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the current method of enacting the ordinances needs to be amended. Seeing that the provisions stipulated by laws and regulations are applied consistently nationwide, it is redundant to repeatedly stipulate them in the ordinances. Instead, it is required to make efforts to stipulate the provisions missing in the laws and regulations, reflecting the different needs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n order for the "Out-of-School Youth Act," the metropolitan government's ordinances, and the regional municipalities' ordinances to function in harmony,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 reflecting the problems and desire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Out-of-School Youth Act" at the level of the metropolitan ordinances. In addition, the regional municipalities' ordinance needs to be configured of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 reflecting the problems and needs of different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Out-of-School Youth Ac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가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밖청소년법)’과의 관계를 반영한 형태로 제정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 현재 기준 서울특별시 본청 및 서울시 25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제정된 조례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조례의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의 제정 수준은 매우 낮은 상태로 조례와 법령과의 관계가 조화롭지 못했다. ‘학교밖청소년법’의 내용 그대로 가져와 조례로 제정하였거나, 선택적으로 법의 내용을 제외시킨 수준으로 굳이 조례가 없더라도 ‘학교밖청소년법’에 근거하여 지원이 가능한 수준이었다. 또한 기초자치단체 조례가 구체적으로 제정되어야 함에도 ‘학교밖청소년법’과 서울시 본청 조례보다 더 추상적으로 제시된 내용도 많아 조례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한 일부 특색이 있는 조례 내용이 제정되기도 했다. 서울시 본청 조례의 ‘학업진행 및 취업에 필요한 자격취득을 위한 비용 지원’과 ‘진로탐색 기회 제공을 위한 장학금 지원’ 기초자치단체 조례의 ‘학교중단위험 청소년 대상 특별지도 프로그램 운영’, ‘학교 밖 청소년 가정에 대한 상담 및 지원 안내’ 등은 ‘학교밖청소년법’에는 없거나 서울시 본청 조례에도 없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조례의 기능이 잘 작동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곧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 문제, 욕구를 반영하여 제정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조례는 법령의 내용을 구체화하거나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정되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조례의 제정 방식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 법령에서 규정한 내용은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조례에서 그 내용을 반복적으로 규정할 필요는 없으며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법령에 없는 내용을 규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학교밖청소년법’과 광역자치단체 조례, 기초자치단체 조례가 조화롭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광역자치단체 조례 차원에서 ‘학교밖청소년법’에 근거하여 서울시의 특성인 문제와 욕구를 반영한 조례 내용을 구성하고, 기초자치단체 조례에서는 ‘학교밖청소년법’과 서울시 본청 조례에 근거하여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문제와 욕구를 반영한 조례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광병 사회복지법제학회 2022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3 No.3

        The specialty of Korean social welfare has been that, it is developed with a focus on micro-social welfare practices. However, as the course of ‘Social Welfare Law’ changed to ‘Social Welfare Law and Practice,’ as an example of macro level social welfare, the legal practice of such a welfare has become one of its specialties. However, research on the legal practice of social welfare remains significantly insufficient. This limitation exists because, some of the previous studies present legal practices that social workers cannot or do not need to perform, or they are at a level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legal practice in an extremely fragmented manner.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social workers to practically use legal practice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refining the contents of social welfare legal practices. Since social workers are not legal experts, they should only use the law at the level that can effectively achieve the goals pursued by social welfare experts.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three legal practices for social workers’ ease of usage. First, it is a legal practice to guarantee the clients’ rights.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lient’s rights regarding social welfare, and enable the client to assert them himself. In the case of a right’s infringem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medy through the procedure for its reversal. Second, it is a legal practice to identify the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of social workers. Social workers should accurately identify the role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 law, and carry out their duties. In terms of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these should be executed by distinguishing between what is to be performed and what is to be prohibited. In particular, being subject to penalties should be cautiously avoided. Third, it is a legal practice to change the social welfare system. There is a need to lead change towards the purpose pursued by social welfare, through litigation and enacting related laws, such that social welfare works formally and institutionally. In conclusion, social welfare can be realized through the law and along with the law. Thereby, legal social welfare should be examined, and carried out professionally as a macro social welfare practice.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의 전문성은 미시적 사회복지실천에 중심을 두고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사회복지법제’ 교과목이 ‘사회복지법제와 실천’으로 변경되면서 거시적 사회복지실천으로서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이 사회복지의 전문성 중 하나가 되는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일부 진행된 선행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수행할 수 없는 또는 수행할 필요가 없는 법적 실천까지를 제시하거나 매우 단편적으로 법적 실천의 방향성만 제시하고 있는 수준이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사회복지 법적 실천의 내용을 구체화하여 사회복지 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법적 실천을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복지사는 법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사회복지 전문가로서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시킬 수 있는 수준에서만 법을 활용하면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활용할 수 있는 법적 실천을 3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권리보장을 위한 법적 실천이다. 클라이언트의 사회복지에 관한 권리의 내용을 이해하고 클라이언트 스스로가 이를 주장할 수 있도록 하며, 만일 권리가 침해되었을 경우 이를 되돌릴 수 있도록 절차를 통해 구제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책임과 의무를 위한 법적 실천이다. 사회복지사는 법에 따른 역할과 기능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 임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며, 책임과 의무에 있어서 해야 할 것과 금지할 것을 구분하여 준수해야 할 것이다. 특히 벌칙 대상이 되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된다. 셋째, 사회복지제도 변화를 위한 법적 실천이다. 사회복지가 공식적이고 제도적으로 작동되도록 관련 법 제정을 위한 역할 수행과 소송을 통해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목적으로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는 법을 통해 실천되고 법과 함께 실천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은 사회복지의 거시적 사회복지실천으로서 전문적으로 연구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법제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김광병 사회복지법제학회 2015 사회복지법제연구 Vol.6 No.-

        사회복지법제론은 교수와 학생 모두가 부담스러워 하는 교과목으로 인식되었고, 사회복지법제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교육 현장에서 제공되고 있는 사회복지법제 교육은 부실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법제 교육 현황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사회복지법제 교육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2년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교과목 지침서에서 제시한 내용과 분석을 위하여 선정된 9개의 사회복지법제론에 수록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났다. 첫째, 사회복지법제의 총론으로서 사회복지법제 기초 지식과 이론적 부분이 미흡한 수준으로 사회복지법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둘째, 사회복지법제의 각론으로서 개별사회복지법은 법률 내용만을 나열하는 수준이며, 그 범위가 변화하는 사회복지법제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복지법제 총론 부문에서 사회복지법이 지닐 수 있는 특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판례 및 사회복지법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법과 관련법을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는 사회복지법 방법론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회복지법의 범위를 재설정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법제 각론의 개별 사회복지법에 대한 교육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여섯째, 사회복지법제 교과목을 가르치는 교수의 역량을 높이기 위한 특별 교육 프로그램을 사회복지법제학회와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가 공동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Social welfare law courses have come to be regarded as burdensome by both students and instructors alike, and, and the lack of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law, which is being provided in the academic field, has resulted in inadequate levels of such education. Motivated by this fact,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social welfare law education, and to propose some possible measures for improvement, which includes exploring what should be taught in said courses.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contents of the 2012 curriculum guidelines set out by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with those of nine social welfare law courses currently being provided. Through the analysis, we identified the following issues: First, in introductory courses on social welfare law, the treatment of basic concepts and theoretical aspects are inadequate. Consequently, courses are unable to nurture the capacity fo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social welfare laws. Second, on the subtopics of social welfare law, courses often simply enumerate the individual laws, without reflecting the changing environment in which social welfare laws operate. In view of these problems, we propose the following possible measures for improve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potential particularities of social welfare laws in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courses.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instruction of judicial precedents and jurisprudence of social welfare laws. Third, methodology training must be strengthened in order to nurture the ability to analyze and interpret social welfare and other related laws. Fourth, the scope of social welfare laws must be redefined. Fifth, better education methods for the subtopics of social welfare laws must be considered. Sixth, special training programs for enhancing the competence of social welfare law instructors should berunjointlybytheKoreanAcademyofSocialWelfareandLawandtheKoreanCouncilonSocialWelfareEducation.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법적지위에 관한 연구

        김광병,심의경 사회복지법제학회 2017 사회복지법제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법체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지위가 어떻게 규정 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요양보호사의 지위수준을 진단하고 지위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하나는 법체계상 요양보호사가 가지게 되는 권리가 무엇인지, 다른 하나는 법체계상 요양보호사의 처우향상은 어느 수준까지 가능한지 파악했다. 연구 결과, 요양보호사는 노인 등의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자로서, 장기요양요원 및 종사자로 불려 근로자성이 낮은 상태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처우 및 지위를 보장받을 수 있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보수수준까지 보수를 보장받을 수도 있다. 또한 해당기관의 비리 등에 대한 신고로 인하여 불이익을 받지 않고 보호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요양보호사의 처우 및 지위를 보장하기 위해서 개선되어야 할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 현행 법과 조례에서는 그 책임 수준이 노력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강행규정화 시킬 필요가 있다. 나아가 요양보호사의 처우 및 지위향상을 위해서는 반드시 재정이 필요하므로 재정확보 및 이를 강제할 수 있도록 강행규정화 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처우에 대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직접 세부시행계획까지 수립하여 실효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동일한 처우 수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 처우 및 규모에 관한 사항을 조사하여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과 처우 등의 열악한 상황을 개선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책임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 설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현행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으로 되어 있는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 설치ㆍ운영을 강행규정화 하거나 중앙정부의 책임으로 돌려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설치ㆍ운영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보수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보수수준에 도달할 수는 있지만 노력규정으로 되어 있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수수준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강행규정으로 개정하여 그 실효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권리구제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권리구제절차는 당사자의 권리가 침해되었을 때 이를 되돌릴 수 있는 절차이므로 별도의 권리구제 조항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iagnose the status level of caretakers by analyzing the definition of their statu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to propose ways to improve it. To do so, we focused on two areas, i.e., the rights caretakers have on the legal system and the extent to which the treatment of caretakers can improve based on the system.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caretakers perform specialized job functions, such as assisting the elderly with physical activities or housekeeping; they are also called long-term caregiving workers or care workers, and have low standing as workers. However, they can be protected by decent treatment, by being given improved status by the country and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 and by being paid up to the level of social welfare government workers. They can also be protected from retaliation if they report an institution for corruption. We propose the following improvements are made in order to secure decent treatment and improve the status of caretakers. Firs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country and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 should include reinforcing improved treatment and status of caretakers. It is a problem that the current laws and bylaws state the level of responsibility in efforts clauses, and accordingly these should be enforced as mandatory. Furthermore, as a budge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reatment and status of caretakers, it should be secured and mandatory budgeting should be enforced. Second, a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regarding the treatment of caretakers should be established directly b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to ensure not only effectiveness but also nationwide uniformity. Additionally, a survey on the working conditions, treatment, and number of caretakers should be conducted that explicitly allocates the responsibility to improve the poor working conditions and treatment of caretakers. Third, the number of support centers for long-term caretakers should increase.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such centers, currently the responsibility of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 should be mandatory or should come under the central government’s authority so that there will be nationwide uniformity in establishing and managing the centers. Fourth, caretakers’ pay could potentially reach the pay level of social welfare government workers but a limitation exists because it involves an efforts clause. Accordingly, to actualize the pay level, it should be revised as an enforceable clause that guarantees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caretakers’ conditions. Fifth, to protect caretakers’ rights, a remedy for violation of those rights should be granted. It is a conventional procedure to reclaim one’s rights if violated, and thus it should be added as a new and independent article of the law.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처우 및 지위보장 논거

        김광병 사회복지법제학회 2016 사회복지법제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처우 및 지위를 보장하기 위한 논리적 준거를 확보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한 사용자로서 위치하고 있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처우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보수수준으로 당연히 보장 되어야 하는 정당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는 종사자라는 인식과 함께 최대 봉사의 원칙이 내재된 체의 근로자라는 점에서 여타의 근로자에 비해 근로자로서의 권리가 낮았고, 급여수준 역시 전체 근로자 월평균 임금총액의 약 82.3% 수준에 머물러 있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로형태를 볼 때, 형식적으로는 사회복지시설에서 근로계약을 맺고 사용자와 근로자로서 관계를 가지는 직접고용 형태로써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사회복지사업이 민법상의 업무위탁 내지 국가가 민간에 사회복지사업을 위임하고 있는 형태라는 점에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로관계는 간접고용형태로 근로자성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마련한 시설의 관리안내, 사업안내, 운영관련 업무처리 안내 등의 형태로 된 지침에 따라 사회복지사업 및 서비스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임금 역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에서 지급받고 있는 등 실질적으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로를 사용․이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는 사용종속관계가 성립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공무원 신분이 아닌 민간인이더라도 동일분야에서 동일한 자격을 가지고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는 자는 동일한 일을 수행하는 공무원과 같이 신분이 보장되고 처우가 동일해야 한다는 판례에 따라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신분과 처우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같아야 하는 정당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논의에 따라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 제3조 제1항의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를 개선하고 복지를 증진함과 아울러 그 지위 향상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하여야 한다는 규정을 강행규정으로 변경해야 하며, 제2항의 사회복지사 등의 보수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보수수준에 도달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는 규정을 강행규정으로 변경해야 한다. 나아가 여타의 전문직 관련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준의 내용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reasons for guaranteeing treatment and bestowing status to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on par with officials working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becaus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are employed by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have had fewer rights than other laborers although they are not only practitioners but also laborers integrating the maximum volunteering. Their wage is about 82.3% of the average of the overall laborers’ monthly wage. In terms of the type of employmen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practitioners sign a formal labor contract with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hich is a direct employment with an employee-employer relationship. Henc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are certainly employees in terms of the Labor Standard Act. However, in practice, social welfare projects work like a business consignment based on the civil law or the mandate from the national to the private sector. In this regard, the labor relations of the social welfare worker may face the problems of indirect employment. Howeve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practitioners work on social welfare projects and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guidance for facilities management, projects, and operational tasks, which are set forth by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heir wages are derived from the subsidies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hat is,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can be considered as practically employing the worke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Hence,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and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re considered to be in a use-dependent relationship. As per a judicial precedent, citizens who are not officials, but doing the same work in the same field for the same purpose as officials do should be guaranteed the same status as officials, as well as the same treatment as that given to officials. Therefore, to ensure social justic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orkers’ status and treatment should be the same as that of the officials working on social welfare. In this regard, Article 3 Clause 1 of the Act, which is aimed at improving the status and treatment of social workers, recommends a change to a compulsory regulation for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he treatment, welfare, and status of social workers. Clause 2 recommending raising the wages of social workers to be on par with that of social welfare officials should be changed as a compulsory regulation as well. Furthermore, regulations equivalent to the laws for other professional occupations need to be add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군인 인권침해에 관한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 분석-병사를 대상으로 한 최근 결정례를 중심으로-

        김광병,김태동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019 법과인권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조직 내에서 병사에게 발생한 인권침해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병사의 인권을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9년도에 발행된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된 인권 침해 사건 5개를 분석하였다.연구 결과, 병사에게 나타난 인권 침해 내용은 과도한 정기 외출⋅외박 제한으로 행복추구권 중 휴식권 침해, 욕설 등을 통해 인격권 침해, 총상에 따른 적절한 의료조치 미비 및 유치장 감금 그리고안전권 미확보로 신체의 자유 침해, 병사 개인의 의사에 반한 징계 혐의 사실 및 징계 처분을 고지하여 개인정보 및 사생활 자유 침해 이상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권 침해행위 가해자는 모두지휘관 등의 간부에 의해서 벌어졌다.병사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병사들의 인권감수성을 길러주어 자신의 인권을 스스로 주장할 수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병사들을 지휘하는 지휘관 등 간부들의 인권감수성을 향상시키고 인권 친화적군 조직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권 침해가 발생하면 즉시 군 내부 구제제도와 군 외부 구제제도가 효과적으로 작동되도록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군 내부적 구제제도를 통해 실질적인 인권보장이되기 위해서는 내부 구제제도를 독립기구화 하여 군 조직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외부의 국가인권위원회는 실효성 없는 권고에서 법적인 효력을 지닌 권한으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나아가군 관련 시민단체 등과 협력하여 군 인권 보호를 위한 감시체계가 전방위로 작동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