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소도이득효과를 적용한 사용후핵연료 수송용기의 방사선원별 차폐영향 분석

        김경오,김순영,고재훈,이강욱,김태만,윤정현,Kim, Kyung-O,Kim, Soon-Young,Ko, Jae-Hoon,Lee, Gang-Ug,Kim, Tae-Man,Yoon, Jeong-Hyun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1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9 No.2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주관 하에 개념 설계된, 연소도이득효과 적용 대용량 수송용기에 대해 방사선 차폐 안전성을 평가하였으며 여러 방사선원들이 수송용기 주변 선량률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능한 모든 방사선원(중성자선원, 감마선원, 방사화선원)들을 고려하였으며 보수적인 가상의 핵연료(너비: WH 17 RFA, 축방향: CE Type)를 선정, 실제 상황과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계산모델을 구축하였다. 모든 조건(정상 및 가상사고 조건)에서 표면선량률과 외부선량률이 법적기준치를 만족하고 있었으며 축방향 높이에 따라 각 선원들의 기여도가 변하고 있었지만 정상조건에서의 최대 표면선량률과 외부선량률은 방사화선원에 의한 영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상사고 조건에서는, 중성자선원의 선량률 기여도가 대략 90%에 달하고 있었으나 수송용기 끝단에서는 방사화선원에 의한 선량률이 급격하게 상승함에 따라 BUC 적용 수송용기의 방사선 차폐해석시 충분히 보수적으로 해석되도록 방사화선원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설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radiation shielding analysis for a Burnup-credit (BUC) cask designed under the management of Korea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Corporation (KRMC)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ntribution of each radiation source affecting dose rate distribution around the cask. Various radiation sources, which contain neutron and gamma-ray sources placed in active fuel region and the activation source, and imaginary nuclear fuel were all considered in the MCNP calculation model to realistically simulate the actual situations.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external and surface dose rates of the spent fuel cask were satisfied with the domestic standards both in normal and accident conditions. In normal condition, the radiation dose rate distribution around the cask was mainly influenced by activation source ($^{60}Co$ radioisotope); in another case, the neutron emitted in active fuel region contributed about 90% to external dose rate at 1m distance from side surface of the cask. Besides, the contribution level of activation source was dramatically increased to the dose rates in top and bottom regions of the cask. From this study, it was recognized that the detailed investigation on the radiation sources should be performed conservatively and accurately in the process of radiation shielding analysis for a BUC cask.

      • KCI등재

        전신으로 급격한 진행을 보인 다리에 병

        김경오,김예슬,박영립,이상훈,배유인 대한피부과학회 2014 大韓皮膚科學會誌 Vol.52 No.10

        43세 남자 환자가 내원 2주 전부터 얼굴, 목, 몸통, 양측사지에 다발성으로 무증상의 황갈색 사마귀모양 구진이 발생하여 내원하였다(Fig. 1). 구진은 내원 2주 전 얼굴에서부터 홍반성의 구진으로 시작하였으며 점차 황갈색의 과각화성 사마귀모양 구진으로 변하며 급격하게 전신으로 퍼졌으며, 손발톱이나 손바닥에는 특이 소견 없었다. 환자는 특이 과거력 및 가족력은 없었으며, 약 2개월 전부터에어컨 설치기사 직업을 새로 시작하였다. 시행한 일반혈액검사, 생화학검사, 매독혈청검사, 소변검사는 정상범위 혹은 음성이었다. 복부의 구진에서 시행한 병리조직학적 소견에서 표피의 과다각화증과 원체(corps ronds)로 생각되는 염기성 핵주위에 투명대로 둘러싸인 이상각화세포들과 과립(grain)들이 각질층과 과립층에서 다수 보였으며, 기저층 상부로 가시세포해리, 열공이 관찰되었다(Fig. 2). 이상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바탕으로 다리에 병으로 진단하였고, 약 2개월의 acitretin 20 mg 경구 투여로일부 호전을 보였으며 이 후 추적 관찰되지 않았다. 다리에 병은 모낭각화증(Keratosis follicularis)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대개 사춘기 전후에 주로 상부 몸통과 두피등의 지루 피부 부위나 스침부에 황갈색의 구진으로 나타나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을 하는 드문 유전 질환이다1. 임상적으로는 대개 경부, 흉부 전면 등 지루 피부 부위에서 구진이 발생하며 점차 피부 병변은 확대되어 두피, 귀, 겨드랑, 고샅부 및 배 등에서 갈색 또는 황갈색의 구진과 사마귀모양의 판을 형성하며 대부분 가려움증과 악취를 호소한다2. 또한 특징적인 손발톱 변형과 손바닥의 오목을 각각 96%와 84%의 환자에서 동반한다2. 손톱 변형은 진단적 가치가 매우 높아 전형적인 지루 피부 부위에 발생하지않은 경우 손톱 변형이 동반된 것만으로도 확진이 가능하다3. 다리에 병은 조직학적으로 표피의 과다각화증과 가시세포증이 동반되며 이상각화증으로 과립층과 각질층에 원체와 과립이 관찰된다4. 기저층 상부의 가시세포해리로 인하여 열공이 형성되며 열공 내로 유두진피가 돌출하여 융모를 형성하는 특징적인 소견을 보인다4. 조직학적으로 이러한 소견을 보이는 가족양성만성천포창(Hailey-Hailey병)과 Grover병과의 감별이 필요하며 다리에 병과 이들 질환과의 조직학적 감별은 힘들 수 있으나 가족양성만성천포창은 주로 스침부에 분포하며 손발톱 변형이 없고 Grover병은 비유전적이며 대부분 수개월 후 소실되는 경과를 보이는 임상적 소견으로 쉽게 감별할 수 있다5. 그 밖에 임상적으로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 지루피부염, 여드름, 광택태선, 비후편평태선, 편평 사마귀 등이 있다2. 다리에 병의 유발 인자로는 열과 땀이 질병을 유발할 수 있고, 햇빛은 피부 병변을 악화시킬 수 있다2. 홍반을 유발할 수 있는 한번의 자외선 조사 및 반복되는 낮은 정도의 자외선 조사만으로도 다리에 병의 병변이 유발될 수 있다는 연구 보고가 있으며, 그 기전은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일광화상에 의한 이차적 염증반응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2. 또한 탄산리튬을 복용한 환자에서 다리에 병이 악화된 예도 있었으며, 그 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리튬이 표피의 아데닐사이클라제를 자극하여 세포내 cAMP합성 기능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2. 본 증례는 사춘기에 호발하는 다리에 병의 호발연령에 비해 비교적 늦은 43세에 가족력없이 사마귀모양 구진이 2주만에 급격하게 지루 부위뿐만 아니라 전신에 광범위하게 발생하였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예로 생각되며, 이는 환자가 발병 약 1개월 전인 더운 여름철에 에어컨 설치 직업을 처음 시작하면서 일광 및 열, 땀에 노출되었던 것이 유발 및 악화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증례는 진단에 특징적인 손발톱 및 손바닥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에서도 흥미로운 예로 생각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본 증례와 유사하게 사마귀모양 구진이 초발 병변에 발생 후 급격히 전신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도 다리에 병을 생각할 수 있으며 진단을 위해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특징적인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본 증례를 보고한다.

      • KCI등재

        비전형적인 임상 양상을 보인 심부 동맥류성 양성 섬유조직구종 1예

        김경오,김예슬,배유인,박영립,조문균,이상훈 대한피부과학회 2014 大韓皮膚科學會誌 Vol.52 No.11

        피부 양성 섬유조직구종(cutaneous benign fibrous histiocytoma)은 피부섬유종(dermatofibroma) 또는 경화 혈관종 (sclerosing hemangioma)이라고도 불리는 비교적 흔한 피부연조직 종양으로 성인 여성의 하지에 갈색 혹은 적갈색을 띤 단일 결절의 형태로 호발하며, 병리조직학적으로 섬유모세포, 조직구, 혈관의 증식이 주로 진피내에 국소적인 형태로 나타난다1,2. 구성하는 세포 및 위치 등 특징적인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세포성(cellular), 비정형성(atypical), 상피모양(epitheloid), 동맥류성(aneurysmal), 하부(deep) 및 여러 가지 변형들이 보고되었으며 드물게 이들 변형 중 둘이상의 변형이 한 병변 내에서 함께 관찰되기도 한다3. 19세 여자 환자가 왼쪽 상완에 발생한 촉지되는 색소성 결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약 2년 전에 왼쪽 어깨에 갈색의 색소침착이 발생하였고 자각증상이 없어 그대로 방치하였으나 2개월 전부터 크기가 갑자기 커져 결절 형태로촉지되었고 압통을 동반하였다. 환자는 평소에 앓고 있던기저 질환이나 복용 중인 약물은 없었으며, 외상의 과거력도 없었다. 피부 소견 상 왼쪽 상완에 직경 2.5 cm의 경계가 불분명한 멍든 것 같은 옅은 갈색의 색소 반으로 중심부에는 진한 갈색의 색소침착이 있었다(Fig. 1). 촉진 시비교적 단단한 피하지방 결절의 형태로 압통이 있었다. 피부 병변에서 실시한 병리조직학적 소견에서 표피는 과각화증과 가시세포증을 보였고, 하부진피와 피하지방층에 걸쳐 주위와 경계가 불분명한 세포증식과 색소침착 소견 보였다(Fig. 2A, B). 병변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혈액이 차있는 낭종성 공간이 관찰되었으나, 그 둘레로 내피세포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방추형 섬유아세포와 포말형 세포질이나 헤모시데린을 함유한 조직구 그리고 거대세포들이 다수 관찰되었다(Fig. 2C). 면역조직화학적 소견에서 종양은 CD68에는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SMA, Melan A, CD34, Factor VIII에는 음성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바탕으로 심부 동맥류성 양성 섬유조직구종으로 진단하였고, 외과적 절제술로 제거하였으며, 현재까지 추적 관찰 중으로 아직까지 재발의 소견은 없다. 동맥류성 양성 섬유조직구종(aneurysmal benign fibrous histiocytoma)은 모든 섬유조직구종의 1.7%를 차지하는 드문 변형으로4, 1981년 Santa cruz와 Kyriakos1가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이 일반적인 양성 섬유조직구종과 분명히 구별되는 변형으로 처음 기술하였다. 동맥류성 양성 섬유조직구종이 일반적인 섬유조직구종과 다른 임상적 특징으로 대개 크기가 더 크고, 색소 침착을 보이며, 종양 내부의 출혈로 인해 급격한 성장을 보인다는 점이 있다4. 따라서 환자들은 대개 갑작스런 크기의 증가나 색깔의 변화를 주소로 내원한다. 현재까지 동맥류성 양성 섬유조직구종은 국내 문헌에서는 총 3예가 보고되었으나, 3예 모두가 주위와의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원형 또는 둥근 지붕모양의 돌출형 결절성 종양이었으며, 병리조직학적 소견에서도 종양은 진피내 종양 형태로 관찰되었다. 문헌검색상 피하지방층에 위치한 심부 동맥류성 양성 섬유조직구종 단독보고는 국내외에서 보고를 찾을 수 없었으며, 양성 섬유조직구종의 분석 보고에서 일부 유사한 형태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나 표피 및 진피 내 병변이 함께 있었는지 본 증례와 같이 주로 피하지방층에만 위치 했었는지는 확인하기 어려웠다2,5. 본 증례는 임상적으로 표피 변화가 거의 없는 피하지방성 결절의 형태이고, 병리조직학적으로 주로 피하지방층에 위치하는 하부 양성 섬유조직구종의 형태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현재까지 보고된 동맥류성 양성 섬유조직구종과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에 저자들은 좌측 상완에 발생된 비전형적인 임상 양상을 보인 심부 동맥류성 양성섬유조직구종 1예를 경험하고 임상적으로 드문 예라 생각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

        Characterization of neutron spectra for NAA irradiation holes in H-LPRR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김경오,노규홍,이병철 한국원자력학회 2022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54 No.11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has designed a Hybrid-Low Power Research Reactor (H-LPRR) which can be used for critical assembly and conventional research reactor as well. It is an open tank-in-pool type research reactor (Thermal Power: 50 kWth) of which the most important applications are Neutron Activation Analysis (NAA), Radioisotope (RI) production, education and training. There are eight irradiation holes on the edge of the reactor core: IR (6 holes for RI production) and NA (2 holes for NAA) holes. In order to quantify the elemental concentration in target samples through the 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Analysis (INAA), it is necessary to measure neutron spectrum parameters such as thermal neutron flux, the deviation from the ideal 1/E epithermal neutron flux distribution (a), and the thermal-to-epithermal neutron flux ratio (f) for the irradiation holes. In this study, the MCNP6.1 code and FORTRAN 90 language are applied to determine the parameters for the two irradiation holes (NA-SW and NA-NW) in H-LPRR, and in particular its a and f parameters are compared to values of other research reactor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neutron irradiation holes in H-LPRR are designed to be sufficiently applied to neutron activation analysis, and its performance is comparable to that of foreign research reactors including the TRIGA MARK I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