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주 신림면 성황림 마을제의의 상징과 의미

        김경남(Kim, Kyong-na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1 아시아강원민속 Vol.36 No.-

        마을제의는 우리의 기층신앙이며 농업과 어업 등의 생산과 직결되어 있는 종교의례이다. 이러한 제의를 통하여 기층의 문화적 특성을 발견할 수 있고 그들의 세계관 삶의 질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종교적, 정치적, 축제적, 예술적, 기능을 하며 마을이라는 단위의 공동체 구성원의 화합과 질서를 구가하는 하나의 원동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나름대로 그 지역의 역사, 자연환경 등과 무단한 교섭을 거쳐 오늘날까지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낭제가 지닌 신앙적, 공동체적, 기층적 성격은 역사적인 전개와 함께 그 지역 환경의 영향을 받아 꾸준한 전승을 통하여 살아있는 힘으로 작용하였다. 오늘날 산업 사회로의 전환은 이러한 제의를 위협하여 축소내지는 전승 중단의 사태까지도 초래하였지만 기층민들의 끈질긴 전승력이 오늘날에도 마을제의를 지키는 힘으로도 작용하게 된 것이다. Village rites are the basic faith of our nation. It is a religious ceremony related to production such as agriculture and fishing. Through village ritual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class can be discovered. And through the village rites, the world view and order of life can be grasped. Village rituals have religious, political, festive, and artistic functions. It also functions to maintain harmony and order among community members in the village unit. Village rites are maintained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y and natural environment of the region. Therefore, the religious and communal characteristics of village rites are transmitted through historic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village festival continu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local environment. The transition to today’s industrial society threatens the village festival. Village festivals are sometimes interrupted. However, the tenacious power of transmission of the lower classes still works as a force to keep the village rites today.

      • 강릉 대성황사 활용방안 小考

        김경남(Kim, Kyong-na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0 아시아강원민속 Vol.34 No.-

        강릉 읍치성황제의와 관련한 중요한 제의의 공간은 바로 대성황사(大城隍祠)였다. 또한 이와 관련된 서낭당으로 약국성황, 대창리성황이 있었다. 이 대성황사는 일제의 강점기가 시작되면서 멸실되었다. 이러한 사정이 원인이 되어 이 시기를 거치면서 강릉단오제의의 모습도 변화를 맞게 된다. 대성황사에서 진행되었던 제의는 남대천으로의 이동이 불가피하게 되었고, 산신을 모시던 행차가 국사성황신 행차로 변화되었으며, 대성황사에 안치되었던 신목은 국사여서낭당에서 그 기능을 담당하였다. 강릉대성황사에서 진행되었던 전통제의 문화는 강릉시를 대표하는 중요한 문화자원이며, 전통문화라는 재인식의 전환이 다시 필요한 때이다. 이제 강릉대성황사의 복원이나 그 활용에 있어서도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올바른 보존과 전승 그리고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과제를 안고 있다. The important place of the ritual related to the “Eupchi village shrine ritual” in Gangneung was Daesunghwangsa Temple. Also, there were also Yakguk Village Shrine and Daechang-ri Village Shrine as the related village shrines. This Daesunghwangsa Temple was extinguished at the beginning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situation caused the change in the appearance of Gangneung Dano Festival throughout the period. It was inevitable to move the ritual held at Daeseonghwangsa Temple to Namdaecheon Stream, and the journey to serve the mountain god was changed to the Guksasughwangshin(meaning ‘national affairs village ritual deity’). Sinmok(spiritual wood), which had been enshrined in Daesunghwangsa Temple, were served in Guksayeoseonangdang (meaning ‘national affairs village deity shrine’) as a function of the shrine. The culture of traditional rituals held at Gangneung Daesunghwangsa Temple is an important cultural resource representing Gangneung City, and it is time for a change in the recognition that it is a part of traditional culture.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in the restoration and utilization of the Daesunghwangsa Temple in Gangneung, it now has new task for proper preservation, transmission, and revitalization.

      • KCI등재

        상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무기박막의 화학기상 증착법에 대한 연구동향

        김경남(Kyong Nam Kim),이승민(Seung Min Lee),염근영(Geun Young Yeom) 한국표면공학회 2015 한국표면공학회지 Vol.48 No.5

        In recent years, the cleaning and activation technology of surfaces using atmospheric plasma as well as the deposition technology for coating using atmospheric plasma have been demonstrated conclusively and drawn increasing industrial attention. Especially, due to the simplicity, the technology using atmospheric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has been widely studied from many researchers. The plasma source type commonly used as the stabilization of diffuse glow discharges for atmospheric pressure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essure is th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In this review paper, some kinds of modifie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type will be presen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ilicon based compound such as SiOx and SiNx deposited using atmospheric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system will be discussed.

      • 강원도 전통건축의 의례 고찰

        김경남(Kyong-nam Ki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3 江原民俗學 Vol.27 No.-

        고사는 원칙적으로 지연(地緣)적인 집터의 가신(家神)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아울러 이러한 신들을 중심으로 하는 의례이므로 가정신앙의 중요한 핵심이라 하겠다. 또한 고사는 정월에 지내기도 하지만 가을 추수 뒤에 지내는 경우가 많아서 추수감사제의 성격이 강하다. 그리고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을 하나의 우주로 인식하고 교섭하고자 했던 우리 조상들의 신앙관과 세계관을 파악할 수 있는 가정신앙 제의(祭儀)이다. 오늘날 아파트나 양옥집의 건축 구조는 우리의 이러한 가신의 좌정 공간이나 문화를 사라지게 한 중요한 요인이라 할 것이다. Ritual is closely related to regional(地緣) deity of one’s family(家神) at site for a house in principle, and also the ritual focusing on the spirits are the most essential part of home religion. Furthermore, the ritual is performed in the first month of the year, but more frequently it is performed after harvest in autumn,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harvest thanksgiving festival. And through the ritual ceremony (祭儀) of home religion, it can be understood the view of belief and worldview of our ancestors who were pursuing to recognize the space of living of human as a universe and confer with it. The building structure of today’s apartments and western-style houses can be a major cause to make sitting space or culture of the deity disappeared.

      • 삼화사국행수륙재의 문화재 지정이후의 과제

        김경남(Kim, Kyong-na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5 아시아강원민속 Vol.29 No.-

        삼화사국행수륙재는 이제 한국불교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국가중요무형문화재가 125호가 되었다. 무형문화재 제도는 유형의 문화재를 만드는 사람을 보호하는 것이다. 그 기술을 이어갈 수 있도록 보호, 육성, 계승하자는 것이다. 근대화로 잃어버린 우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해방 이후 성립된 것이다. 전통사회에서는 생활이었던 것이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사라져가지만, 우리를 우리이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켜내고자 인위적인 노력을 하는 것이다. 무형문화재는 ‘원형’보존에 그 의미가 있는데, 지금까지 어느 정도 국가주도의 그 ‘원형보존’이 가능했던 이유는 시대에 맞는 ‘가치’가 계속 창출되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이것이 꼭 왜 ‘전통’이어야 하느냐 하는 것은 우리를 ‘우리’ 이게 하는 요소는 전통 속에서 그 맥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치 같은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우리’ 라는 감정을 느끼는 것처럼 ‘전통’의 맥락에서 우리라는 민족의식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각종 우리 언어가 넘쳐나는 가운데 표준어는 엄연히 존재하고 그렇지만 또 언어의 유희는 계속되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삼화사국행수륙재처럼 강원도의 경우, 보다 많은 불교무형문화 자원이 존재 하고 있다. 이를 좀 더 보완하여 불교 포교를 위해 무형문화재 추진을 함께 서둘러 불교문화 원형 자원화해야 할 것이다. Samhwasa nationa suryukjae is now an important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 symbol that represents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Buddhism was call 125.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is to protect the person making the cultural assets of this type. Protect, nurture continue to be the technology, and suggesting succession. It will be established after the liberation to establish a modernized lost our identity. In traditional societies thing to disappear as modernization proceeds were living, because we keep naegoja that this is our effort to create artificial. Because it i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ll ‘round’ There is a meaning to preserve, to some extent, its “circular preservation ‘of the reasons that led the country has been possible to continue to create “value” for the period until now. It is not know exactly why this is, you must do the traditional thing for us, because we ‘That element is found in the Mac tradition. As if to feel emotions by using the same language of ‘we’ because we feel that the national consciousness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Among the various Mandarin distinctly present and our language is overflowing, but again just as in the language of the play is going on. And in the case of Gangwon like Samhwasa nationa suryukjae, and the more intangible Buddhist cultural resources exist. To complement this, the more the Buddhist Missionary hurry with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mote Buddhist culture will have a circular recycling.

      • 민속문화에 나타난 원주지역 여성의 삶

        김경남(Kim, Kyong-na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0 아시아강원민속 Vol.33 No.-

        민속문화 속에 원주여성의 삶의 모습이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 그리고 현재적 가치에 대한 시론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민간전승 즉, 구비전승, 신앙전승, 의식 · 행사전승, 기 · 예능 전승, 의식주 생활전승, 행위전승 등을 민속문화라 할 수 있다. 전승되었다는 것은 오랜 시간을 두고 그 집단의 취사선택의 여과를 거쳐 생활감정, 사고, 공감, 동화 등과 같은 지지를 받아왔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과거 어느 한때 존재하다가 사라졌다든가 역사 속에 생명을 잃은 채 묻혀 있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재발견, 또는 재창조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겠다. 일상생활에서 여성은 의 · 식을 책임졌다. 때문에 길쌈과 바느질은 여자들이 꼭 익혀야 하는 빼놓을 수 없는 일거리였으며 의생활은 완전히 여자들의 손에 달려 있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여성이 인류의 반을 차지하며 남성의 조력자로 인류 역사에 커다란 공헌을 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사회적, 문화적인 환경이 남성에 비해 열악하기 때문에 지금도 여러 장르에서 양성평등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우리의 전통문화 속에서는 여성의 역할과 그 가치가 우수한 기능을 하고 있었음을 원주지역 민속 문화를 탐색하며 알 수 있었다. This essay aimed to look at how the life of women at Wonju has appeared with time in the folk culture and what its present values really are. Folk culture refers to folklore, that is, transmission of oral literature, faith, ceremony · event, technique · entertainment, life as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acts. For something to be transmitted indicates that they have received support over time in such forms as life feeling, thinking, empathy, assimilation, etc. through the group’s filtration of adoption or rejection. It also means rediscovery or re-creation for today, rather than a disappearance after existence at a certain time in the past or lying buried in history after losing life. In everyday life, women had to be in charge of clothing and food in the first line. So hand weaving and needlework was women’s inevitable job to practice as a must and it wouldn’t be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clothing habits totally relied on the hands of women. It is true women accounting for half of the whole mankin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human history as men’s partner but, as women’s social and cultural standing is lower than men’s, many fields are still raising their voices for gender equality even now. Anyway, it was found after this inquiry of folk culture in the area of Wonju that women’s role and value performed an excellent function in our traditional culture.

      • 삼화사국행수륙대재의 현대적 계승양상

        김경남(Kim Kyong-Na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2 江原民俗學 Vol.26 No.-

        삼화사국행수륙대재의 모든 의식문은 소문, 유치청사, 게송, 축원문 등으로 되어 있는데 이들은 범패 홑소리와 짓소리 평염불성 등으로 독송되고, 이에 맞추어 법고춤, 나비춤, 바라춤 등의 의식무용이 따르게 된다. 나비춤은 작법(作法)이라고도 하는데 운심게작법, 다게작법 등 12가지가 있고 바라춤은 명바라, 천수바라 등 6가지가 있다. 이는 수륙대재가 설행되어 오면서 감로탱화나 삼장탱화 같은 많은 문화유산을 남겼으며, 수인작법과 범패작법 같은 무형의 문화유산도 남기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수륙대재의 의식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음악, 무용, 미술, 설단과 장엄 등의 풍부하고 훌륭한 종합예술적 가치는 중요한 전통문화유산이라 할 것이다. All rituals of Samhwasa Gukheng Suryukdaejae consist of rumors, Yuchi Cheonsa, Gesong and written prayers. They are spoken aside by Beombae single sound and Jitsori Pyeongyeombulseong, and then the ritual dance such as Beom-go dance, Nabi dance and Bara dance is followed. Nabi dance is called Jakbeob and there are 12 kinds of Jakbeob including Unsimgegakbeob and Dagejakbeob and 6 kinds of Bara dance including Myeongbara and Cheonsubara. It can be known that as Suryukdaejae was performed, it produced many cultural traditions like Gamrotenghwa and Samjangtenghwa, and made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such as Suinjakbeob and Beompyejakbeob. That is, the rich and great artistic value of the music, dance, art, Seoldan Jangeob shown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uryukdaejae rite will become the important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 江原道 端午歲時風俗의 樣相과 特質

        金京南(Kim, Kyong-na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0 아시아강원민속 Vol.24 No.-

        단오날의 세시풍속은 농경을 근본으로 하는 파종 이앙 및 성장기의 의례로 예축과 경축, 축원의 주술적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의미와 기능이 단조롭고 지루한 일상의 삶을 변화와 희망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던 것이며, 이 시기를 통하여 휴식과 내일의 활력을 그리고 문화적 재창조의 역할을 함께 하도록 했던 것이다. 잠깐 동안 일상의 일을 놓고 가족제사, 마을제사, 시절음식, 놀이를 통한 마을 단위의 축제를 함께 공유함으로써 가족 또는 마을 간의 화합과 사회적인 결합을 확인시켜 주는 미풍양속의 본보기가 되는 셈이다. 강원도의 단오세시 풍속은 강릉의 단오제를 중심으로 태백산맥의 동과 서의 지역에서 조금씩 그 특실을 달리하고 있는 양상으로 전승되고 있다. 이는 그 지역의 여러 가지 자연 인문 환경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강원도의 단오세시 풍속 가운데 제사나 축제를 통해서 우리 전통 문화의 가치가 보존되고 회복될 수 있는 기능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seasonal customs of Dano Festival holds the incantational meaning of prospection, celebration and wish for the farming through ceremonies of seeding, rice-planting and the period of growth which are fundamental to farming. This kind of meaning, as well as function through which the rest, the store of energy for the second day and the recreation would be achieved has brought change and hope to the monotonous and tedious daily life. It"s a model of fine customs which means confirming the harmony and consocia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villages through festivals of family and village worship ceremonies for ancestors, seasonal foods and games among villages during festivals after putting the daily affairs down for a moment. Seasonal Customs of Dano Festival in Gangwon-do which regard Gangneung Dano Festival as the core have been passed on through the appearance of gradually changing of characteristics in both eastern and western areas of the Tae Baek Mountains. And they"re formed naturally on the basis of natural and civilizational environment. We can also see the ability of protection and restoration of our traditional culture through worship ceremonies for ancestors and festivals from the Seasonal Customs of Dano Festival in Gangwon-do.

      • 평창둔전평농악의 현대적 전승구조

        김경남(Kim Kyong Na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9 아시아강원민속 Vol.31 No.-

        평창둔전평농악은 강원도무형문화재 제15-1호로 지정되어 있다. 무형문화재 제도는 유형의 문화재를 만드는 사람을 보호하는 것이다. 그 기술을 이어갈 수 있도록 보호, 육성, 계승하자는 것이다. 근대화로 잃어버린 우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해방 이후 성립된 것이다. 무형문화재는 "원형"보존에 그 의미가 있는데, 지금까지 어느 정도 국가주도의 그 "원형보존"이 가능했던 이유는 시대에 맞는 "가치"가 계속 창출되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전통은 우리 생활 속에서 매일 만들어지는 것이다. 우리 한국인들이 매일 느끼고 부대끼며 살고 있는 삶을 어떻게 "이야기꺼리"로 만들어서 형상화할 것인가? 그것을 고민하여 나타내야할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이것이 꼭 왜 "전통"이어야 하느냐 하는 것은 우리를 "우리" 이게 하는 요소는 전통 속에서 그 맥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치 같은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우리" 라는 감정을 느끼는 것처럼 "전통"의 맥락에서 우리라는 민족의식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규격화된 문화콘텐츠를 개발해야한다는 틀에 사로잡혀 있으면 그것은 또 다른 억압 틀이 되어 우리에게 갑옷을 입히는 꼴이 될 것이다. 우리가 고민해야할 것은 많은 사람들이 좋아할 ‘가치와 이야기거리’ 를 만들어내고 이를 각 부문의 전승자들의 좋은 기술로 형상화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보존회를 중심으로 회원들 간에 상부상조의 노력이 더욱더 필요하다 할 것이다. Pyeongchang Doonjeonpyeong Nongak is a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Gangwon-do (Registration No.15-1).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gram has been implemented to protect and preserve those who create 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 objective of the program is to preserve, nurture and convey to our descendants, the rich traditional techniques and culture. Programs were brought to fruition to retrieve and cherish the identity of Korea, once lost during the colonization of imperial Japan and modernization. The connot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gram is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 whereas such connotation has been achieved by generating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and error. Tradition is formed and made throughout the daily life of people. The main question should be “How can we compose the daily life of the Korean people in a form of art?” As one may know, the reason why the focus should be in ‘Tradition’ can be explained by the simple fact that it is the tradition that presents the factor that makes people, ‘a community’. As one can feel the sense of unity by speaking the same language, people can embrace the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the context of ‘Tradition’. Caught in the myopia that a standardized cultur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may act as another suppression and limit the potential of culture. The point of emphasis should be on creating ‘Values and Stories’ that would be embraced by the people, and materialize those with the technique and mastery of successors of each artistic field. Therefore, it is essence for the Preservation Committee to take the lead and encourage each and every member to complement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