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핵의학 영상검사에서 Pocket dosimeter 착용의 유용성 평가

        김영빈,이은지,김건재,Kim, Young-Bin,Lee, Eun-Ji,Kim, Kun-Jae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1 핵의학 기술 Vol.15 No.1

        Pocket dosimeter는 열형광선량계(TLD)나 필름 뱃지(Film Badge)와 다르게 실시간으로 피폭량을 확인할 수 있다. 주로 행하여지는 핵의학 영상검사에서 Pocket dosimeter가 Survey meter와 비교하여 얼마나 정확히 피폭량을 측정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각 핵의학 영상검사에 따른 피폭량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2010년 9월에 핵의학과를 방문한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법은 첫 번째로 Pertechnetate 185 MBq부터 1850 MBq까지 각각 185 MBq씩 증가시킨 점선원을 50 cm 거리에서 Survey meter로 측정하고 같은 위치에서 Pocket dosimeter로 5분 동안 측정하였다. 두 번째로 PET/CT 검사를 받는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18}F$-FDG 370 MBq를 정맥주사하고 90분 후에 환자로부터 50 cm거리에서 Survey meter로 측정하고 같은 위치에서 Pocket dosimeter로 5분 동안 측정하였다. 세 번째로 Bone Scan 검사를 받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99m}Tc$-DPD 925 MBq를 정맥주사하고 3시간 후에 환자로부터 50 cm거리에서 Survey meter로 측정하고 같은 위치에서 Pocket dosimeter로 10분 동안 측정하였다. 점선원을 이용한 실험결과 Survey meter로 측정된 값은 평균 $70.12{\pm}39.36{\mu}Sv/h$이고 Pocket dosimeter로 5분 동안 측정된 값은 평균 $5{\pm}3.06{\mu}Sv$였다. PET/CT 환자에서 측정한 결과 Survey meter로 측정된 값은 평균 $25.04{\pm}6.16{\mu}Sv/h$이고 Pocket dosimeter로 5분 동안 측정된 값은 평균 $2.41{\pm}0.51{\mu}Sv$였다. Bone Scan 검사에서 측정한 결과 Survey meter로 측정된 값은 평균 $8.58{\pm}0.96{\mu}Sv/h$이고 Pocket dosimeter로 10분 동안 측정된 값은 평균 $1{\mu}Sv$였다. 위 실험 측정 결과에서 Pocket dosimeter의 값은 Survey meter의 값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Survey meter의 값이 증가할수록 Pocket dosimeter의 값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핵의학 영상검사에서 Pocket dosimeter의 착용은 방사선사의 피폭관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aim of study is to find accuracy of pocket dosimeter in measuring exposed dose in compared with survey meter and to compare exposed dose according as Nuclear medicine exams. Materials and Method: First, radiation dose to point source(185 MBq,370 MBq, ${\ldots}$, 1665 MBq, 1850 MBq) were measured in using a pocket dosimeter and a survey meter. Second, radiation dose to 12 patients injected $^{18}F$-FDG 370 MBq were measured in using a pocket dosimeter and a survey meter. Third, radiation dose to 10 patients injected $^{99m}Tc$-DPD 925 MBq were measured in using a pocket dosimeter and a surveymeter. Result: The average is $70.12{\pm}39.36{\mu}Sv/h$ in measurement of point source with Surveymeter and $5{\pm}3.06{\mu}Sv$ in measurement of point source with Pocket dosimeter. The average is $25.04{\pm}6.16{\mu}Sv/h$ in measurement of PET/CT patients with Surveymeter and $2.41{\pm}0.51{\mu}Sv$ in measurement of PET/CT with Pocket dosimeter. The average is $8.58{\pm}0.96{\mu}Sv/h$ in measurement of Bone Scan patients with Surveymeter and $1{\mu}Sv$ in measurement of Bone Scan patients with Pocket dosimeter.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Survey meter value and Pocket dosimeter value in all experimentation (p<0.001). Conclusion: Accoring to rusult Wearing Pocket dosimeter is usefulnee in manerage of exposed dose in nucler medicine exams.

      • KCI등재

        방사성옥소(<SUP>131</SUP>I) 치료 시 유효선량과 체질량지수의 상관관계

        신규설(Gyoo-Seul Shin),김건재(Gun-Jae Kim),동경래(Kyung-Rae Dong),김현수(Hyun-Soo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8 방사선기술과학 Vol.31 No.1

        목 적: 갑상선 암 환자에서 방사성옥소(<SUP>131</SUP>I) 치료 시 체질량지수와 초기 유효선량 값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또한 갑상선치료 환자로부터 1m 떨어진 옆 사람에게 전달되는 유효선량 값을 측정하여 환자의 격리가 언제 까지 필요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치료당일 오전에 금식을 하게 하여 입원실에서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였다. 방사성옥소(<SUP>131</SUP>I) 150mCi를 환자에게 투여하기 전에 핵의학과에서 병에 들어있는 I-131 capsule을 방사선량 측정기[ATOMLAB DOSE CALIBRATORS(Biodex Medical Systems)]로 측정하여 기록 하여둔다. 치료적 용량 150mCi(±6mCi)를 투여받은 환자는 격리된 입원실에서 투여 후 바로 1m 거리에서 초기 유효선량을 G-M survey meter로 측정하고 다음날 아침에도 같은 방법으로 선량을 측정하여 법정인 허용선량이 되면 퇴원 처방을 내고 4~5시간 후에 퇴원을 한다. 자료 분석은 Med calc Version 9,2,1,0통계 프로그램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초기 유효선량 값과 체질량지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Correlation coefficient 값이 음의 값으로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초기 유효선량 값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0.0004로 유의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group간의 비교를 하기위해 One-way ANOVA분석한 결과 체지방지수가 증가 할수록 초기 유효선량 값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0.007로 유의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체질량지수와 초기선량과의 관계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53%의 환자가 NRC규정에서 권고하는 선량을 만족시켜 1박2일 동안 입원을 하였다. 따라서 체질량지수와 초기 유효선량과의 관계를 잘 이용하게 되면 병실 회전율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radiation dose at 1 meter with BMI(body mass index) in thyroid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adio-iodine and provide the efficient guideline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Methods: 140 patients from thyroidectomy for thyroid cancer were enrolled. All subjects under went 150mCi radio-iodine therapy and performed whole body scan 1 week later. BMI(weight divided by square of height) was calculated to evaluate the amount of fatty tissue indirectly. The radiation dose at 1 meter was measured initially and on 2nd days. the relation of values with BMI were analyzed statically. As for the method of statistical analysis, using Med calc Version 9,2,2,0 Program Results: ① The initial effective dose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BMI. Significance level was 0.0004 ② We obtained the following formula from the data of initial effective dose and BMI: Y=-30.91X+ 350.4(μSv/h)(Y: initial radiation dose, x: Group). ③ After 21.55 hours, than radiation dose was less than those recommended by ICRP or NRC in 53% of the population. Conclusion: Using BMI, the initial radiation dose and 2nd days dose can be predicted in thyroid cancer patients before radio-iodine therapy. It may be used for predicting the time of discharge and control the isolation room. We were able to predict the radiation exposure after discharge using this calculated value.

      • Establishment of Reference Intervals of Osteocalcin according to Age in Women for Health Promotion Center

        강지순,유병주,오정은,김건재,Kang, Ji-Soon,Yoo, Byoung-Joo,Oh, Jung-Eun,Kim, Geon-Jae The Korean Society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2009 핵의학 기술 Vol.13 No.1

        목적 : Bone Gla protein (BGP)라고도 불리는 Osteocalcin은 조골세포에 의해 합성되는 비 콜라겐성 뼈 단백질이다. 혈청 Osteocalcin은 골 대사의 생화학적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Osteocalcin수치의 참고치는 연령에 따라 제조회사에서 권장하는 참고치가 있으나 검사실 자체적으로 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어지고 있는 연령별 Osteocalcin 참고치를 재설정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 및 방법 : 2007년 8월부터 2008년 9월 사이에 본원 건강검진 센터를 방문하였던 20~80세의 정상 성인 여자 8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청 Osteocalcin은 면역방사계측법(IRMA)을 이용한 Kit (OSTEO-RIACT, CIS Bio international, Gif-sur-Yvette, France)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결과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Hoffmann 방법을 시행하여 얻은 Osteocalcin 참고치는 다음과 같다. 20~30세에서는 8.8~39.4 ng/mL에서 6.3~28.8 ng/mL로 31~40세에서는 7.7~31.9 ng/mL에서 5.9~17.4 ng/mL로 41~50세에서는 8.0~36.0 ng/mL에서 5.5~20.1 ng/mL로 51~60세에서는 8.0~50.5 ng/mL에서 6.7~27.0 ng/mL로 61~80세에서는 12.9~55.9 ng/mL에서 7.5~27.5 ng/mL로 변경되었다. Osteocalcin 참고치는 제조회사 권장 참고치와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대사성 골질환의 지료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Osteocalcin의 참고치를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서 임상적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 번 정한 참고치는 계속 사용하지 말고 지속적으로 재평가를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Osteocalcin is also known as the bone gamma-carboxyglutamic acid (Gla) protein (BGP), is noncollagenous bone protein synthesized by osteoblasts. Serum concentrations of Osteocalcin have been used as a biochemical marker of bone turnover. The reference intervals of Osteocalcin is categorized by kit corporation according to the age. However, each laboratory should establish its own reference intervals. In this study, the variation in the serum Osteocalcin level were used to find actual standard age-specific Osteocalcin reference intervals. Materials and Methods: We have selected 864 healthy females aged 20~80 year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between Aug. 2007 and Sep. 2008. The Osteocalcin IRMA Kit (OSTEO-RIACT, CIS Bio international, Gif-sur-Yvette, France) was used for the quantification. Each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2.0 statistical software. Results: The analyzed reference intervals of Osteocalcin by using Hoffmann method are from 8.8~39.4 ng/mL to 6.3~28.8 ng/mL for the case of the age from 20 to 30, from 7.7~31.9 ng/mL to 5.9~17.4 ng/mL for the case of the age from 31 to 40, and from 8.0~36.0 ng/mL to 5.5~20.1 ng/mL for the case of the age from 41 to 50, and from 8.0~50.5 ng/mL to 6.7~27.0 ng/mL for the case of the age from 51 to 60, and from 12.9~55.9 ng/mL to 7.5~27.5 ng/mL for the case of the age from 61 to 80. Reference intervals of Osteocalcin were not in agreement with those recommended by the manufacturers. Conclusions: Osteocalcin is used as an indication of metabolic bone diseases. So in our study we wanted to provide reference intervals of Osteocalcin that can be useful to a clinical decisions. Also, previous reference intervals should not be re-used and new intervals should be set by continuous analyzing.

      • $^{201}Tl$을 이용한 레이노 검사에서 동적 Composite 영상의 유용성

        김대연,신규설,오은정,김건재,Kim, Dae-Yeon,Shin, Gyoo-Seol,Oh, Eun-Jung,Kim, Gun-Jae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0 핵의학 기술 Vol.14 No.1

        레이노 현상에 대한 검사 중 $^{201}Tl$을 이용한 검사에서 관류영상을 composite하여 혈액 풀 영상 과 국소 지연 영상 관찰 및 비교 시의 유용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한다. 2008년 2월부터 2009년 8월까지 레이노 현상을 호소로 경희대학교 동서 신의학병원 혈관외과를 찾은 29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방사성 동위원소는 $^{201}Tl$ 111 Mbq (3 mCi)를 검사부위 반대편 팔과 다리의 대각선 사지에 정맥 내 주사하였고, 최초 dynamic 관류 영상과 혈액 풀 영상 그리고 국소지연 영상을 저에너지 고해상도 조준기를 장착한 감마카메라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보고자 하는 손 또는 발에 대한 관심영역(ROI : Region of Interest)은 관류영상을 composite한 영상과 혈액 풀 영상, 국소 지연 영상 순으로 양측을 동시 분석하였고 대응표본 T 검정(SPSS v12.0)을 이용하여 p-value를 측정하여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대상 29명의 레이노 환자(positive)에서 분석된 관류 composite 영상, 혈액 풀 영상, 국소 지연 영상에서 나타난 count ratio(Rt./Lt.)의 평균은 $1.25{\pm}0.39$, $1.20{\pm}0.33$, $1.11{\pm}0.17$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혈액 풀 영상과 국소 지연 영상의 대응표본 T-검정결과 p<0.029를 만족했고, 또한 관류 composite 영상에 대한 혈액 풀 영상(p<0.038)과 국소 지연 영상 (p<0.016)이 각각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201}Tl$을 이용한 Raynaud scan에서 관류 영상을 composite함으로써 혈액 풀 영상과 국소 지연 영상을 비교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또한 육안적 식별도 가능하여 향후 좀 더 깊이있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적절하고 유용한 진단적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Raynaud scan is divided to flow, blood pool and local-delay image. Usually, we evaluate comparison through blood pool and local-delay image. We will evaluate about usability when comparative observe blood image and local-delay image in Raynaud scan that used $^{201}Tl$ as making flow image to one sheet of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We have selected 29 Raynaud phenomenon patients aged 14~68 years who visited department of vascular surgery between Feb. 2008 and Aug. 2009. An intravenous injection $^{201}Tl$ of 111 MBq (3 mCi) to opposite side diagonal line limbs above an internal auditing department. Equipment used Philips gamma camera forte A-Z, and collimator used LEHR. Matrix size set up to each $64{\times}64$, $128{\times}128$, $256{\times}256$ and zoom factor used to full field. Protocol of dynamic is 2 second to 155 frames. Blood pool and delay count to 300 second. We set up ROI by a foundation to data acquired in PEGASYS processing program. Each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2.0 statistical software. Results: Each averages of count ratio (Rt / Lt) to have been given at composite image, a blood pool image, delay images analyzed at Raynaud phenomenon patients is $1.25{\pm}0.39$, $1.20{\pm}0.33$, $1.11{\pm}0.17$. The sample analysis results of blood pool image and delay image contented itself with p<0.029. Also, there don't have been each difference, and blood pool image, delay image regarding composite image was able to know. Conclusion: We were able to give help for comparison to evaluate a blood pool image and a local delay image at the Raynaud scan which used $^{201}Tl$ while making a flow image to one sheet image. Identification to be visual too was possible. If you are proceeded a researcher that there was further depth, you are more appropriate for, and you may get useful information.

      • 타액선 신티그라피 검사에서 타액선 영상과 타액 제거율의 비교 연구

        김영빈,신규설,박연경,김건재,Kim, Young-Bin,Shin, Kyu-Seol,Park, Yeon-Kyung,Kim, Keon-Jae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09 핵의학 기술 Vol.13 No.1

        Purpose: The aim of study is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Salivary clearance rate using saliva and blood and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using Salivary gland Scan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Salivary Scan and Stimulate clearance of $^{99m}Tc$-pertechnate was performed in 20 patients with moderate function(group 1), 9 patients with severe function glands (group 2), 3 patients with non function (group 3) and normal 6 controls. Salivay clearance rate was compare with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Salivary glands' ROI. Result: Stimulate salivary clearance of normal controls was 18.4 ml/min, salivary clearance of group 1 was 10.1 ml/min, salivary clearance of group 2 was 10.4 ml/min and salivary clearance of group 3 was 2.3 ml/min.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normal controls and group 2,3 (p<0.05, p<0.05).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normal controls was 21.6%, 24.6%,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group 1 was 17.6%, 24.0%,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group 2 was 8.8%, 13.9% and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of group 3 was 5.6%, 2.9%.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normal controls and group 2,3 (p<0.05, p<0.05). Conclusions: Stimulate salivary clearance using saliva and blood and Secretion rate and Excretion rate using Salivary gland Scan images accord well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