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문화유산 담론의 창출과 변화 - 북한 체제 성립 초기부터 1970년대 까지를 중심으로 -

        권혁희 ( Kwon Hyeokhui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21 북한학연구 Vol.17 No.1

        최근 북한에서 문화유산과 관련된 정책과 활동이 대내외적으로 매우 활발하다. 북한은 해방 직후부터 유일영도체계의 수립과 3대 세습 체제의 흐름에 이르기까지 민족문화 계승을 중요시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이 어떠한 담론의 창출과정을 통해서 형성되었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먼저, 북한 정권 초기의 문화유산 담론 형성은 소련의 맑스-레닌주의 채택과 북한 내부의 강력한 민족주의가 혼재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혼종성은 북한 정권이 일제 식민지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체제의 정당성을 위해서 그리고 혁명역사와 세습적 지배체제의 공고화를 위해서라도 민족문화로부터 연속된 역사성의 확보가 필요했음을 의미한다. 이후, 6.25로 전소된 국가를 재건하고 새로운 사회주의 국가의 건설하는 과정에서 문화유산은 중요한 정책으로 부상했으며, 1960년대 유일영도체계와 주체사상으로 이어지는 시기를 거쳐 조선민족제일주의로 노정해가면서 문화유산 담론의 체계는 역동적으로 변화해 간다. 특히, 북한에서 민족문화의 강조는 주체사상을 통과하며 점점 지배체제의 공고화와 결합되었으며, 김정일 정권에서 조선민족제일주의를 통해 빗장을 열고 김정은 시대로 들어서면서 제도화와 일상적 실천의 단계로 전면화되기에 이른다. 최근에는 북한을 비롯한 사회주의 국가들에서 문화유산을 관광산업과 연계시키는 정책이 나타나고 있어 향후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게 될지 주목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policies and activitie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in North Korea are very activ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North Korea places great importance on the succession of national culture from the moment of its found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unique leadership system and the flow of the three generations hereditary systems. First, the formation of discourse on cultural heritage in the early days of the North Korean regime emerged as a mixture of Soviet Marxist-Leninism adoption and strong nationalism within North Korea. This hybridity implies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needed to secure a continuous historicality from national culture, even for the legitimacy of the new regime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for the consolidation of the revolutionary history and hereditary governance system. After that, cultural heritage emerged as an important policy in the process of rebuilding the country that was burned down to 6.25 and building a new socialist country. In particular, the emphasis on national culture in North Korea passed through the Juche idea and gradually combined with the consolidation of the ruling system, and as the Kim Jong-il regime opened the barriers through the national firstism rule and entered the Kim Jong-un era, it reached a stage of institutionalization. In recent years, socialist countries including North Korea have emerged as policies to link cultural heritage with the tourism industry, so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what changes will occur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공민속학 담론의 현황과 과제

        권혁희(Kwon Hyeokhui) 한국민속학회 2018 韓國民俗學 Vol.67 No.-

        최근 세계무형문화 유산이나 무형문화재와 관련해서 공공민속학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한국에서의 공공민속학 논의가 미국학계와의 비교를 통해 보다 발전적인 의제를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히. 필자는 민속학자들의 연구윤리안 마련과 함께 연구대상 집단에 대하여 문화해석의 주체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공공 민속학의 다양한 가능성을 통해 민속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되돌아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연구자는 향후 한국 민속학이 학문의 정치성에 관한 가혹한 성찰과 함께 내셔널리즘에 대한 보다 유연한 자세로 공공의 참여문제에 대하여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학문의 정치성에 대한 경계가 민속학의 사회적 실천에 대한 차단이 아니라 보다 신중하고 전략적인 참여를 위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향후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일본을 비롯해 서구학계의 연구를 참고해 가며 한국적 토대에 맞는 공공 민속학의 의제설정이 만들어져 가야 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discussions on public folklore have become active in relation to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This paper focuses on presenting more developed agendas of public folklore discussion in Korea by comparing with the United States. I mainly argued that folklore scholars of korea should prepare the guideline of research ethics, change the viewpoint of community as a research participant, and precede the work of reviewing the academic identity of folklore through possibility of public folklore.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folklore studies of Korea in the future should approach the problem of public participation in a more flexible posture with the harsh reflection on the politics of scholarship. This is because the vigilance of scholarly politics should not be an obstacle to social practice of folklore studies but should be done in a way for more prudent and strategic participa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agenda of public folklore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condition by referring to the studies of Western scholarship including Japan.

      • KCI등재

        1990년대 서울시의 전통 문화정책과 민속재현 축제에 관한 분석

        권혁희(Kwon Hyeokhui)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7

        이 연구는 1990년대를 중심으로 서울의 전통문화 정책이 무형문화재 지정과 어떠한 상호관계 속에서 진행되었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올림픽을 계기로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던 전통문화의 재현이 1990년대 민속의 발굴과 창출에 어떻게 연관되었으며, 그것이 각 구별 민속으로 정착되고 나아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88년 올림픽 이후 서울시에서는 올림픽 기념 축제의 일환으로 서울의 민속을 발굴하는 행사가 기획되었으며, 이후 1994년 서울정도 6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에서도 각 구별 대표 민속을 발굴하기 위한 시도들이 실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1990년대 전반의 지방자치제의 부활과 각 구별 문화원 설립 그리고 구지의 편찬 등은 구를 지역단위로 하는 지역 정체성의 형성과 이를 토대로 하는 다양한 전통문화 정책을 만들어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990년대 전반 발굴되었던 많은 민속들은 지역을 대표하는 전통문화로 창출되었음은 물론 서울시 무형문화재 지정으로 귀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민속을 매개로 하는 서울지역의 전통문화 창출은 1990년대를 기점으로 최근에 이르기까지 지자체의 정체성만들기에 기원하는 정책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to cultural policies with the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uring the 1990s in Seoul. In particular, I reviewed the correlation of “creation of folklore” with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culture which was widely spread around the 88 Olympics, furthermore, examined the process settled into each district of Seoul as a representative folklore and how they wer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social changes like these of the revival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centers in each district of Seoul and publication of history book of each districts have created a variety of cultural polices for the formation of regional identity in the local level.

      • 남북강원도 지역 문화유산의 비교와 교류 방안

        권혁희 ( Kwon Hyeokhui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2 강원문화연구 Vol.45 No.-

        본 연구는 남북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두 지역의 문화유산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상호 교류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먼저 북강원 지역에서 문화유산이 집중된 지역으로 금강산을 들 수 있다. 금강산은 유형문화유산 뿐만 아니라 구비전승과 음식문화와 같은 비물질문화유산과 명승, 천연기념물의 자연유산이 집중된 지역이다. 금강산과 마찬가지로 설악산과 같은 명산을 중심으로 한 조사와 연구를 통해 문화유산의 보고로서 남북 강원도를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 무형문화유산의 경우는 현재 지정된 분야보다 비지정된 분야에서의 상호교류가 기대된다. 특히, 아리랑을 비롯해 각 지역별 민요와 탈춤, 민속놀이 등이 상호간 교류에 있어 구심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유무형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은 분단으로 미완성된 강원도의 역사와 문화를 통합시키는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남북 강원지역의 문화유산 연구는 자연과 역사, 인문과 사회 연구를 총체적으로 다룰 수 있는 강원학 연구의 영지를 확장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a more comprehensive comparison by inclu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has been the mainstay of inter-Korean cultural heritage exchanges, focusing on the North and South Gangwon-do regions. First, the area around Mt. Geumgang has a wealth of intangible heritage such as oral tradition and food culture as well as 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the other hand, in the north of Gangwon-do, relics related to seowon and hyanggyo related to the ruling class of the Joseon Dynasty are very rare as feudal remnants, but many fortresses and beacons that symbolize Juche's history through battle with foreign enemies have been designated. Next, in the cas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expected that Arirang, as well as regional folk songs, mask dances, and folk games, will become the focal point for mutual exchange. In addition, the exchange of food cultur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an be said to be a notable field that can reflect the ecology and culture of Gangwon-do, which is connected to the mountains and sea. Finally, in order to implement these projects, Gangwon-do should be the center to establish a governance of cooperation that can link the legislation of the Peace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various institutions. In particular, with the Gangwon Provincial Office as the center, a consultative body should be formed in which local universities, various private organizations, and civic groups can participat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