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종생기:증상으로 읽는 이상 문학

        권택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9 No.-

        This paper presents Sang Lee’s work from a perspective of symptoms. This is arrived at by means of a detailed reading of “JongSaeng-Gi,” one of his stories known to be extremely elusive. As used by Freud, ‘symptoms’ do not simply indicate features of hysteria, but rather they are integrated features of human living. Symptom, a filling of the Void, can take on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aspects. Positive symptoms are sublimated objects, objet a as promoted by Lacan, while negative ones are perversions or psychoses. In Lee’s works, symptoms can be explained with a pun, “동해.” One meaning of "동해" is "infant" and the other is "skull." “Jong Saeng-Gi” is a love story of a pair who are in an effort to disguise and hide their minds before one another because of overflowing self-consciousness. In the story, the narrator, a lover, overcomes a girl who deceived him, through his writing after being his own death. It is a story written by a skull, a Lacanian subject whose other side is the Void, nothing. Thus, Lee’s writing presents a symptom, a filling of the Void, to be repeatedly read in different contexts. My ultimate assumption is that Lee’s writing style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at is, the style which keeps a normal space between words, represents properly controlled self-consciousness while the style which does not allow any spaces at all, represents the overflowing of self-consciousness.

      • KCI등재
      • KCI등재

        김동리 문학의 바이오 휴머니티

        권택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4 No.-

        Many critics have positioned Dong-Ree Kim in the tradition of Korean Shamanism, particularly exploring the conflict between two oppositional thoughts of Eastern mysticism and Western rationalism, the value of aesthetics, and even the realist vein of his literature. On the contrary, this paper explores Kim's short stories in light of the new paradigm of ecology promoting the subversion of the boundaries of human and nonhuman world. For this purpose, I will investigate three dominating tendencies, or patterns occurring in his fiction. First, Lee's stories featur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oppositional ideologies whether they are religions, or philosophy, and the ensuing defeat of his characters after their obsessional self-assertion. Second, I will examine the recurrent theme of incest throughout his stories, which simultaneously provokes a negative reaction and sympathy from the reader. Third, his stories also evoke the uncanny feeling due to the strange mixture of opposite desires such as the life impulse with the death drive,─ the desire of self-preservation and self-destruction,─ to borrow from Sigmund Freud. My investigation concludes with one significant point that most of characters end up in tragedy because of these three conflicts. Furthermore, exploring the reason for the tragic ending explained in the above, and attempting to find the ways we avoid this tragedy, I examine the complexity of Darwinian evolution in relation to Lee's fiction. For instance, his stories lend themselves to the question of how human life can coexist with nature. Why does mankind alone exploit nature? Animals are trapped into neither the fantasy of an object nor the excess of greed. In fact, Darwin's evolutionary theory itself has a conflict in proportion to the conflicts in human life portrayed in Kim's stories. In this context, I suggest the best way to reduce human sufferings and the tragedy of the Mother-Earth is that we need to accept the Other in order to live in accordance to the cycle of nature and yin-yang harmony. Hence, the formular of Kim's third humanism can be reinterpreted to the Biohumanism in the vein of the new paradigm of ecology. 본 논문은 김동리의 대표 단편 들 속에 나타난 공통된 징후들을 살펴보고 그것을 “바이오휴머니티” 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이해하려는 연구이다. 데카르트의 주체는 근대 이후 인본주의의 출발이었다. 인간의 사유를 객관적이고 절대적으로 규정한 그의 철학은 동물과 자연을 재현의 대상으로 삼고 기술과학의 무한한 발달을 통해 찬란한 문명을 이룩한다. 그러나 그사이에 자연은 개발의 대상으로 전락하여 오염되고 인간과 동물, 식물, 무생물의 관계는 유리된다. 그리고 오늘날 우리는 자연의 복수를 조금씩 체험하고 있다. 김동리는 거의 한 세기 전에 이미 기술과학의 병폐를 인식하고 자연과 문명이 어떤 관계를 이루어야 평화와 공존이 가능한지 모색하였다. 그는 서구의 합리주의에 대해 저항했던 니체, 하이데거, 토마스 만의 인문학에 심취하면서 동시에 한국인으로 풍속적 믿음체계, 음양의 도사상, 불교를 자연스럽게 체득한다. 근대의 메마른 인간중심 합리주의를 고대 자연철학과 연결하여 사유한 그는 자신의 사상을 “구경적 문학,” 혹은 “제삼의 휴머니즘”이라 이름 붙인다. 그리고 문명과 자연의 갈등관계를 작품속의 인물이 보여주는 본능적 갈구와 사회적 요구 사이의 갈등으로 재현한다. 혼인제도, 근친상간, 죽음충동 등의 주제는 샤머니즘. 기독교, 불교, 도사상등과 어우러지고 문학과 현상학의 경계도 무너진다. 등신불과 예수의 처형을 극화한 부활을 대조하여 불교와 기독교의 소통과 조화를 모색한 그는 음양이 조화를 이루듯이 인간이 대상(타자)과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야한다는 것을 여러 가지 다른 징후들로 재현하였다. 이런 작품세계는 인간을 다시 동물과 자연 속에 위치시키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주고 실패와 비극적 결말을 넘어서는 길을 암시한다. 인간은 동물이면서도 동물이 아니다. 그러기에 진화는 그리 단순한 개념이 아니다. 여기에서 김동리 문학을 “바이오휴머니즘”이라는 간결하고 분명한 용어로 다시 규정해본다.

      • KCI등재

        한국문화에 나타난 우울증과 폭력 : 최근 서사를 중심으로

        권택영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07 OUGHTOPIA Vol.22 No.1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 점차 만연되고 있는 우울증과 폭력이라는 병리현상을 최근 서사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올바른 미학에서 그 치유방법을 찾아보려는 글이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의하면 우울증과 폭력은 인간의 본능인 공격성이 사회 속에서 이상적 대상을 찾아 승화되지 못할 경우에 나타난다. 사도마조히즘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파괴와 증오를 통해 쾌락을 경험하는 것으로 최근 우리문화, 특히 영화에서 두드러진다. 이런 영화는 미학적 완결성 대신, 잔인함이나 비속어를 통해 관객의 쾌락을 부추기는데 이것은 상품사회의 페티시 현상이나 민주시민의 자율성 결핍과 같은 현상이다. 후기 기술 산업사회는 그 자체가 이미 숭고한 대상을 상실하고 주체가 페티시로 추락할 위험성을 내포한 사회다. 그런데 한국은 기술적 급성장에 비해 개인이 자율성을 연습할 기회는 적어 더욱 잔인함이나 폭력에 노출될 우려를 안고 있다. 미학의 본질은 칸트가 밝히듯이 판단력을 길러주는 것에 있다. 미는 부정을 통해 긍정을 합성하는 공간을 부여하여야하는데 최근 많은 관객을 불러일으킨 작품들일수록 사도마조히즘을 부추기는 경향이 있다. 본 글은 잘 짜인 서사가 많은 관객에게 노출되어 시민의 자율성을 길러주는 미학의 본질에 충실하지 않으면 사회병리현상이 깊어질 것임을 밝히려 한다.

      • KCI등재

        버튤러의 퀴어이론과 정신분석

        권택영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2002 영미문학페미니즘 Vol.10 No.1

        Judith Butler formulates her queer theory with Foucaultian materiality of body. Foucault illustrates how body cannot be repressed on the symbolic level, through his argument of the interdependence of power and knowledge which produces sexuality. According to Foucault, body is the material inscribed by historical and social needs. Butler focuses on the process of that inscription and emphasizes the displacement of power and discourse: body is not neutral but political. Body's inscription of power provides her with a new with a new assumption that heterosexuality is neither natural nor absolute, but arbitrary and temporal: body is nothing but a production of history. Through the politicizing of the body Butler raises a question over all kinds of absolutism about sex, gender, race and class. In rearticulating Foucault into queer theory, Butler consistently criticizes psychoanalysis. Particularly, she condemns Freud's incest taboo and Lacan's pre-social imaginary, which, according to her, establish and confirm the social discriminations over sex, race, and class. However Butler's complaint about the lack of political aspect in psychoanalysis reveals her confusions and sometimes misunderstandings of psychoanalys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in what ways she misunderstands psychoanalysis, and how she distorts it in the process of unfolding her queer theory. First, I will explore the materiality of body in Foucault and Butler, and Butler's queer theory inspired by Foucault. Finally I will point out Butler's 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of psychoanalysis, which are originated from her structuralistic view of Lacanian registers and her underestimation of revolutionary elements in Lacanian death driv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