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碧梧 李文樑의 삶과 시세계

        권진호(Kwon, Jinho)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9 No.-

        본 논문은 碧梧 李文樑(1498~1581)의 삶과 시세계를 조명하였다. 고려 말 軍器寺 少尹을 지낸 李軒이 예안 汾川에 정착한 이후, 영천이씨 집안은 대대로 벼슬과 문한이 끊이지 않고 문인학자들을 배출하였다. 聾巖 李賢輔 (1467~1555) 형제와 그의 아들대에 이르게 되면 안동 지역의 명망있는 가문으로 성장하게 된다. 특히 선대로부터 내려온 부모에 대한 효성과 형제간의 우애는 家風의 특징이 되어 후손들에게 전해졌다. 이문량은 이같은 家學的 배경 하에 出仕보다는 退處의 삶을 택하여 대부분 향촌에 기거하면서 부친과 아우들을 대신하여 집안의 대소사를 도맡아 경영하였다. 그러나 60세 때 잠시 관동지역의 平陵道 察訪직을 수행하면서 33수의 시를 지어 ‘平陵紀行’이라고 하였다. ‘평릉기행’의 시적 내용은 직책을 수행하면서 느끼는 즐거움보다는 낯설은 지역에서 느끼는 외로움과 客愁를 달래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더 이상 관직생활은 그에게 무의미한 것이며, 궁극적으로 그가 원하는 삶은 고향으로 돌아가 아름다운 산수간을 노닐며 그 속에서 ‘참다운 즐거움[眞樂]’을 찾는 것이며, 부친인 농암의 九老會의 전통을 이어받아 孝養을 실천하는 것이었다. 특히 효양의 실천은 예안 영천 이씨의 가풍적 특징이며, 나아가 16세기 이 지역의 지성사와 풍속사의 한 특출한 면모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life and poetry world of Munryang Lee(1498~1581) known by his pen name Byeogo. His family of Lee which originated from Yeongcheon turned out literary scholars with successive government positions and literary arts after Heon Lee settled at Buncheon, Yean. Hyeon Lee worked as Soyun, an official position to Gungisi in charge of defense acquisition. His family of Lee came to be prestigious in the Andong region with the appearance of Munryang’s father Hyeonbo Lee(1467~1555) known by his pen name Nongam, his uncle and himself. His family was characterized by filial devotion and affection between siblings which wer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Under such influence of his familial learning, Munryang Lee preferred secluded life to a public position. He mostly resided in his hometown and took care of all sorts of family matters for his father and younger brothers. However, at the age of sixty, he worked as Chalbang, a traffic official in Pyeongreungdo of the Gwandong area. At that time, he wrote thirty three poems, naming them ‘Traveling in Pyeongreung’. This anthology mostly expressed his loneliness and weary heart felt in a strange place rather than his delight at the performance of his public duties. He found it meaningless to lead a life of a public official. What he really wanted was to find ‘true pleasure’ in returning home and roaming amid beautiful mountains and streams, and to inherit the tradition of Gurohoe(a group of nine elderly men) and discharge filial duties. Above all, his family of Lee which originated from Yeongcheon was characterized by such filial devotion, which was remarkable in the intellectual and folkloristic history of the Andong region.

      • 복부 선자세 후전방향 촬영시 유용성 평가

        김민정(Minjeong Kim),권진호(Jinho Kwon),김병오(Byungo kim),박근령(Geunryung Park),양지연(Jiyeon Yang),이영현(Younghyun Lee),정주환(Juhwan Jeong),정형식(Hyungsik Jeong),한유리(Yuri Han),강세식(Sesik Kang) 한국방사선학회 2015 한국방사선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추계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전후방향 검사가 힘든 경우 대체 할 수 있는 후전방향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 다. 설문조사 실험은 부산지역 P병원 에 내원하거나 방문한 환자 중 2015년 3월 5일부터 한 달간 복부 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전후방향, 후전방향 두 가지 검사와 거리 100 cm, 180 cm의 4가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5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18명, 영상의학과 의사 2명에게 영상의 화질평가, 환자의 안정성 및 촬영 효율성을 기준 으로 총 17문항으로 영상평가를 의뢰하였다. 입사표면선량 측정 실험은 복부팬텀과 측정기를 사용하여 전후방향, 후전방 향 두 가지 검사 각각 거리 100 cm, 180 cm로 실험의 재현성을 위해 다섯 번씩 검사하였다. 각 검사법의 설문조사 결과 로 100 cm 전후방향검사와 180 cm 후전방향검사를 비교하면 영상화질 0.7점, 환자 안정성 측면 1점 차이로 180 cm 후전방향검사가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거리에 따른 입사 표면 선량 측정 시 100 cm 전후방향검사의 선량에 비해 180cm 전후방향검사는 0.2708 mGy, 180 cm 후전방향검사는 0.2718 mGy의 차이로 두 검사 모두 거리가 100 cm에서보다 180 cm일 때 입사표면선량이 감소하였다. 일반적인 검사법인 전후방향 검사가 힘든 응급환자나 선자세가 불편한 환자의 경우에 후전방향 검사를 이용하여 환자의 낙상사고를 줄이고 거리를 증가시켜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이고 방사선사의 업무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is going to look into clinical usefulness of PA Position tests, which may be substituted in cases of the AP Position test is unable. For about a month starting from March 5, 2015, a survey experiment of people hospitalized or visitors in 'P' hospital in Busan collected four kinds of information about tests of AP Position and PA Position and distances of 100 cm and 180 cm. The survey, which included a total of 17 questions, was evaluated by 18 radiological technologists with at least 5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2 doctors from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The standards were sharpness of the picture, safety of the patients, and efficiency of the shooting process. Abdominal Phantom and a measuring instrument was used for AP Position and PA Position in distances of 100 cm and 180 cm to measure ESD. For reproducibility, the tests were conducted five times each. Comparing the 100 cm AP Position image and 180 cm PA Position image, the 180 cm PA Position method showed a better result in higher definition of the image by 0.7 points and safety of the patients by 1 point. During the measurement of ESD by distance, the 100cm AP Position method indicated a 0.2708 mGy decrease compared to the 180cm AP Position method and a 0.2718 mGy decrease compared to the 180cm PA Position tests. For patients with difficulty of examination by the common AP Position method such as emergency patients or patients who are unable to stand properly, it can be considered that using the PA Position testing can prevent falling accidents, increasing the distance can reduce radiation exposure, and enhance work efficiency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