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기 후 성장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권진숙(Jin Sook Kwon)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8

        인간의 삶에서 위기란 피할 수 없는 삶의 실존이다. 이런 인간의 위기는 질병과 죽음의 공포,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사건과 사고, 자신이 애착을 가지고 있는 대상과의 이별 등을 통해서 우리는 끊임없는 상실의 경험을 한다. 바로 인간의 위기란 상실의 경험이다. 이런 인간의 상실 경험 속에서 기독교인들은 자신이 믿고 있는 신앙체계가 함께 상실되는 경험을 한다. 내가 믿고 있는 하나님이 나에게 왜 이런 고통을 주시는가? 과연 이런 위기속에서 하나님은 나에게 어떤 존재인가? 기독교인들은 위기 상황 속에서 인간의 유한성과 취약성과 신에 대한 질문을 갖게 된다. 따라서 오늘날 전지구적인 코로나바이러스 19 감염병과 같은 위기 상황 속에서 수 많은 스트레스, 위기, 외상의 경험을 하고 있다. 이런 위기 상황 속에서 과연 위기란 무엇인가를 목회신학적으로 성찰해 보고, 피할 수 없는 삶의 실존으로서의 위기를 어떻게 하면 잘 수용하고, 삶의 새로운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는가를 제언할 수 있는 위기 애도 상담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기존의 위기상담이 위기의 정의와 개입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에서 좀 더 거시적인 측면에서 위기를 삶의 실존으로 받아들이고, 고통을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내담자들에게 더욱 귀를 기울일 수 있는 위기의 새로운 정의의 필요성을 주장할 것이다. 그래서 위기를 지나치게 병리화하는 진단의 영역을 넘어서서 스트레스, 위기, 외상 모두를 삶의 실존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위기 개념으로 확대하고자 한다. 스캇 플로이드는 이런 확대적 개념의 위기를 적용할 수 있도록 위기상담을 상실이라는 개념을 통해 위기 애도 상담을 제안하고 있다. 필자는 이를 통합적으로 수용하여 위기 애도 상담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위기 애도 상담을 통해 위기 후에 좀 더 우리의 삶이 성장하고 성숙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목회적 돌봄으로서 위기상담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하워드 스톤(Howard W. Stone), 데이비드 스위처(David K. Switcher), 스캇 플로이드(Scott Floyd), 리차드 테데스치(Ricahrd G. Tedeschi)와 로렌스 칼혼(Lawrence G. Calhoun)이 주장하고 있는 위기에 대한 성찰을 시도할 것이다. 이를 통해 위기의 다양한 정의의 가능성과 위기가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는 외상 후 성장 이론의 긍정적 측면을 새로운 위기의 정의로 통합할 것이다. 끝으로 위기를 성장과 성숙의 경험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목회적 돌봄을 통해 위기 후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새로운 시도가 더욱 필요하다는 주장을 할 것이다. Human nature does not let us escape from crisis. We are constantly in crisis as we face death due to a disease, unpredictable accidents and sudden losses of loved ones in our lives. These experiences culminate into loss. Many Christians question and blame God for their pain from this loss and waver in their faith as a result. We must ask, “Where is God amidst our crisis?”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has created stress, crisis, and trauma, which has pushed Christians to reflect on their own mortality and vulnerability. We must be able to develop a pastoral counseling methodology specific to crises. This will allow pastoral counselors to help Christians accept and mourn their crisis or crises and grow by finding a new direction in life. In effect, crisis counseling will formally establish crisis as a part of human nature and restore justice to the individual narratives of the clients. Moreover, it will deter the pathologization of crisis by expanding the definition to encompass stress, crisis and trauma. Scholars like Scott Floyd champion the necessity of such standards by proposing “crisis grief counseling” as a way to live fuller and more mature lives after experiencing crisis. In addition to Floyd’s proposal, it will be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post-traumatic growth theory from Howard W. Stone, David K. Switzer, Richard G. Tedeschi and Lawrence G. Calhoun. In order to reach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crisis and growth after loss. These approaches will hopefully cultivate a more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crisis in order to help Christians find growth after loss.

      • KCI등재

        세월호 참사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관계 문화적 목회 돌봄

        권진숙 ( Jin Sook Kwon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6 목회와 상담 Vol.26 No.-

        이 논문에서는 세월호 참사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목회 상담적 접근을 시도해보려고 한다. 첫째로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에게 적용되었던 지나친 고통의 의료화에 대한 문제제기를 시도하려 한다. 세월호 참사의 치료를 지나치게 의료적, 임상적 측면에서 접근했던 방식의 기저에 깔려있었던 DSM V의 외상후스트레스 장애와 급성 스트레스 장애의 트라우마 정의의 한계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두 번째로 관계 문화적 관점에서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사회적 자아이해의 중요성을 논의하려고 한다. 트라우마를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의 상처로 보는 것의 한계점을 넘어, 관계 문화 이론의 관계적 자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 트라우마로서의 세월호 참사의 본질을 살펴보려고 한다. 따라서 사회적, 문화적 구성으로서의 자아 이해를 위한 체계적 이해를 위한 세월호 참사의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구조적 문제로서 세월호 참사를 둘러싼 한국교회의 대처에 대한 성찰도 포함될 것이다. 선한 이웃으로 죽어가는 이웃을 구해야할 사명을 한국교회가 제대로 감당했는지에 대한 성찰과 회개를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곤경에 빠진 이웃을 돕기 위한 실천적이고, 행동적인 목회적 돌봄의 필요성과 개인의 의료화를 극복하기 위한 관계 문화적 돌봄으로서의 목회적 돌봄, 그리고 트라우마를 통한 공동체의 사랑과 영성의 회복을 기원하는 월트 부르그만(Walter Brueggeman)과 캐리 도어링(Carrie Doehring)의 주장을 끝으로 논문을 마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how pastoral care can be used to treat the trauma of the victims of the Sewol Ferry tragedy. First, I critique how the clinical model widely used to treat victims is based far too much on the individual. This exploration reveals the limits of the methods used to cur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cute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the DSM-V. Second, I propose how a relational cultural model that prioritizes a cultural identity can be used to overcome the limits of a clinical model. By focusing on the trauma the tragedy inflicted on the country as a whole, I will be able to see how a cultural understanding is used to treat individuals. Also, an analysis of the problems regarding the involvement of Korean churches with respect to the victims will be provided. Last, I will assert that the relational cultural pastoral theolog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one individual as a social cultural construction. Also, I will provide traditional Christian understandings of theodicy to provide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ical resources for pastors and pastoral caregivers. I will conclude this paper with reflections of two theologians, Carrie Doehering and Walter Brueggman, to reiterate the importance of the faith community and God`s grace.

      • 메타버스 시대의 목회적 돌봄과 목회상담

        권진숙(Jin-Sook Kwon) 감리교신학대학교 2022 신학과세계 Vol.- No.103

        본 논문은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의 영향으로 증강한 메타버스 문화의 영향력에 대한 이해를 반영하는 메타버스 시대의 목회적 돌봄과 목회상담에 관한 논문이다. 그동안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로 기술 문명의 발전과 신학적 성찰과 적용에 대한 논의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 기술 문명 가운데 메타버스 문화에 한정시켜 목회적 돌봄과 목회상담의 새로운 가능성과 도전에 대한 성찰을 시도하고 있다. 실천신학의 한 분야로서의 목회상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돌봄의 장에 대한 세심한 이해가 필수적이라는 전제에서 이 논문은 출발한다. 따라서 첫째는, 메타버스가 무엇인가에 대한 실천신학적 상황 (context)에 대한 이해를 시도할 것이다. 둘째는, 메타버스가 목회적 돌봄과 목회상담에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논의를 시도한다. 메타버스가목회적 돌봄과 목회상담과 연관된 첫 번째 상관성은 상황성, 다중적 관점, 진정한 참여의 원칙이 적용되는 상호적 목회적 돌봄의 원칙과 관련이 있다. 두 번째 상관성으로는 디지털 정체성의 경계선 문제이다. 세 번째 상관성으로는 메타버스 시대에 가상 세계를 활용한 목회상담의 가능성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 메타버스 시대의 목회적 돌봄과 목회상담을 위한 목회신학적 원리로 첫째, 메타버스 세계 속에서의 기독교적 세계관의 중요성, 둘째, 안전한 메타버스 성전 만들기, 셋째, 트랜스휴머니즘 사회를 위한 목회적 돌봄과 목회상담 계발의 필요성 제언함으로써 논문을 마칠 것이다. This paper is a pastoral reflection on pastoral care and pastoral counseling in the Metaverse era, reflecting upon how the Covid-19 virus augmented the influence of the metaverse culture. There have been continuing discussions about how the 4<SUP>th </SUP><SUP></SUP>Industrial Revolution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impacted theological reflection and application. This paper will attempt to use the framework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to reflection new, potential challenges of pastoral care and pastoral counseling within a growing Metaverse world. This paper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pastoral counseling as a branch of practical theology is the need for a careful understanding of the field of care.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commercialized metaverse culture, we will first attempt to understand what the metaverse is. The metaverse refers to everything in the digitized world. The second attempts to discuss the connection of metaverse to pastoral care and pastoral counseling. The first correlation argues that metaverse, pastoral care and pastoral counseling should be reciprocal pastoral care. Mutual pastoral care emphasizes pastoral care in which the principles of contextuality, multiple perspectives, and authentic participation are applied. As the second correlation, the problem of the boundary issue of digital identity as the advent of trans-humanism society. As the third correlation, the possibility of pastoral counseling using the virtual world in the metaverse era will be discussed. And finally, the paper will conclude its thesis with a suggestion on the pastoral principles for pastoral care and pastoral counseling in the Metaverse era regarding 1) the necessity of a Christian worldview, 2) creating a safe metaverse sanctuary, and 3) the need to develop pastoral care and pastoral counseling for a trnas-humanism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SNS에 대한 목회 신학적 성찰

        권진숙(Jin Sook Kwon) 한국기독교학회 2013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88 No.-

        This article reviews current literature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 that today is playing an increasingly significant role both in human communication and in human isolation. Social networking is newly emerging as a way of human communication that is changing the traditional face-to-face mode of communication. The advanced development of SNS technology in Korea`s mobile industry has greatly influenced the way humans connect with each other. However, at the same time, recent literature has been pointing out the negative impact of social networking on humans by increasing their isolation, distraction, and disconnection. Because of this enormous influence, social networking should be regarded as a topic that pastoral counselors and theologians must reflect upon for their pastoral theology and pastoral counseling practice. My reflection on this phenomenon for its relevance to pastoral theology and counseling will take the form of a review of literature on this topic. Articles and other resources used represent current thinking of experts in bo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upon these scholarly views on communication and isolation, I will offer my own reflection on how social networking can be viewed from a hybrid perspective: how it impacts both human communication and human isolation. Lastly, I will analyze all of these refle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theology and pastoral counseling ethics.

      • KCI등재후보

        캐리 도어링(Carrie Doehring)의 여성주의 목회 신학 : 트라우마, 관계, 힘, 그리고 영성

        권진숙 ( Jin Sook Kwon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3 목회와 상담 Vol.21 No.-

        This paper reviews Carrie Doehring`s three books and analyzes what Doehring`s theological tenets are.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eminist pastoral theologians in America, Doehring`s pastoral theology embodies the importance of trauma, relationship, power, and spirituality on her feminist pastoral theology. In her first book,Internal Traumatization, she interviewed some women about how their childhood trauma impacted their representation of God. Then Doehring found out that women did not have an angry or distorted image of God even though they had traumatic experiences. Therefore, Doehring concluded that severe traumatic experiences could impact one`s representation of God, but did not in most cases because their trauma was not severe enough to impact them. Her second book, Taking Care: Monitoring Power Dynamics and Relational Boundaries i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rticulates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power, and spirituality for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These theological topics are also from her personal experience and they are well weaved into her academic argument. Therefore, from this book she is able to integrate the importance of trauma, its impact on relational dynamic, and the power of God`s grace for her. The third book, The Practice of Pastoral Care: A Postmodern Approach articulates the importance of postmodern approaches with emphasis on the narrative pastoral theology, contextual pastoral theology, cross disciplinary pastoral theology, and pragmatic pastoral theology. Utilizing all four postmodern approaches, she is able to envision how one can develop a pastoral care plan. After reviewing her main publications, I provided arguments between Doehring`s works and Korean feminist pastoral theology in relation to analyzing her work and how one can integrate her work into Korean pastoral care situations. Finally, I concluded the article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nd limitation.

      • KCI등재후보

        여성주의 목회신학에서 바라본 상호관계

        권진숙 ( Jin Sook Kwon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2 목회와 상담 Vol.18 No.-

        This paper presents the study of connection for those Korean Christian immigrant parent-child relationships that experience a disconnection caused by their immigration and their experience of the existential reality of modern life where they must deal with multiple conflicting values, such as Korean and American values, Confucian values and feminist values, fluid and changeable values and relationships that change from loving to discordant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order to facilitate exploring the disconnection that occurs in some Korean Christian families, I point out three characteristics of connection for Korean Christian immigrant parent-child relationships. These three elements are first, inter-relating, second, multiple, fluid, changeable and third, just. Lastly, I borrow Brita L. Gill-Austern`s definition of sacrifice for cultivating relationships that are just and connecting in a Korean Christian immigrant family, relationships that carefully consider each individual family`s unique issues and dynamics. Based upon these three characteristics of connection, I propose a feminist pastoral theology of mutual sacrifice that empowers Korean Christian immigrant families to recreate a healthy Christian family environment that is mutually supporting and sacrificing as exemplified by the life of Jesus Christ.

      • KCI등재후보

        심혈관질환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최적화 전략

        김용숙 ( Yong Sook Kim ),박인규 ( In Kyu Park ),권진숙 ( Jin Sook Kwon ),정명호 ( Myung Ho Jeong ),김명곤 ( Myeong Kon Kim ),안영근 ( Young Keun Ahn ) 한국조직공학과 재생의학회 2009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Vol.6 No.1

        재생능과 분화능이 뛰어난 줄기세포를 이용한 심혈관질환의 치료효과에 대한 연구는 재생의학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적합한 줄기세포의 종류, 이식 방법, 이식 시기 등과 같은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동물모델을 이용한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의 하나가 이식 세포의 생존률과 회귀능이 낮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줄기세포 자체의 장점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유전자 도입이나 싸이토카인을 이용한 세포 전처리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어 향후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세포의 최적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