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돌 증후군에서 Ketorolac 국소주사 요법의 단기 효과

        권지은(Jieun Kwon),이예현(Ye Hyun Lee),김해민(Hae Min Kim),김종민(Jong Min Kim),정현석(Hyun Suk Jung),이승림(Seung Rim Y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2

        목적: 견봉 하 국소주사 요법으로 ketorolac과 corticosteroid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충돌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 20명에게 ketorolac 60 mg을, 또 다른 20명에게 triamcinolone 40 mg을 주사하고, 시간에 따른 시각적 통증 점수(visual analogue scale, VAS), 관절 운동 범위(range of motion, ROM) 및 Constant-Murley score를 측정하여 후향적인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VAS는 주사 4주 후, 두 군 모두에서 감소된 소견을 보였으나 corticosteroid군에서 ketorola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더 감소된 소견을 보였고(p=0.001), 12주 후에는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p=0.707). Constant-Murley score는 두 군 모두에서 향상되었으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77). ROM 역시 두 군 모두 향상되었으며, 외회전의 경우 ketorolac군이 corticosteroid군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05). 결론: 당뇨 등의 기저 질환이나 반복되는 주사 치료로 인한 부작용이 우려될 경우, ketorolac은 견봉 하 스테로이드 국소주사 치료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between the subacromial injection of the ketorolac and that of the corticosteroid in patients with subacromial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received an injection of 60 mg ketorolac and were evaluated in terms of visual analogue scale (VAS), range of motion (ROM) and Constant-Murley score. The outcomes are compared with the data of patients treated by 40 mg triamcinolone injection, retrospectively.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mographics, VAS, ROM, and Constan-Murley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the injection. At the 4 weeks follow-up, pain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corticosteroid group (2.7±1.53) than in the ketorolac group (4.9±2.08; p=0.001). However 12 weeks after the inje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impro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ketorolac: 2.9±2.32, corticosteroid: 2.6±1.82; p=0.707). The Constant-Murley score at the final follow-up improved from 33.5 to 52.1 in the corticosteroid group, and from 39.0 to 56.6 in the ketorolac group (p=0.677). ROM was increased in both groups, and external rota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ketorolac group than in the corticosteroid group at the final follow-up (ketorolac: 29.3°±9.90°, corticosteroid: 20.8°±7.99°; p=0.005). Conclusion: In this study, ketolorac provided an effect equivalent to triamcinolone in the treatment of subacromial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at 12 weeks after the injection. This result could offer better opportunities to manage patients with diabetes or local and systemic side effects of repetitive use of corticosteroids.

      • 증강현실 옥외광고의 사용자 행동 모델에 관한 연구

        권지은(Kwon, Jieu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5 No.-

        최근 증가하고 있는 BTL(Below The Line) 광고 분야에서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옥외광고 형태가 등장하고 있다. 도심 핵심 지역에 대형 전광판에 설치되어 행인들의 라이브 영상과 그래픽 합성 영상으로 사용자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참여를 유도하여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광고 매체이다. 이러한 광고 매체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을 사용자로 설정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결과물은 그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정도로 극적인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은 공간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증강현실 옥외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유형별 행동 모델을 분류하고 페르소나를 제작한다. 이 사용자 행동 모델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증강현실 옥외광고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가이드로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국내 IFC 쇼핑몰에 설치되어 있는 증강현실 옥외광고를 선택하여 비디오 에스노그라피를 활용하여 관찰하고 조사한다. 광고 설치물 환경과 컨텐츠 내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을 나열, 행동 분류, 그룹 분류하여 행동 모델 유형과 페르소나를 연구한다. 타인 유도형, 참여형, 호기심형, 무관심형의 4가지 행동 모델에 따른 디자인 가이드를 제안하여 효과적인 증강현실 옥외광고를 제작을 위한 방법과 고려사항, 한계점을 논할 것이다. Recently, OOH(Out of Home) advertisements based on an AR(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ve emerged in the area of BTL(Below The Line) advertisements. Basically, it is one of the media to draw users" interest and attract their participation for huge billboard in main spot of city. It takes a vision technology of compositing between users" live figure and graphic video. This kind of advertisements allows unspecified audiences as users and takes extremely effect which is to be a landmark in local area, if it is successful.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user behaviors with an AR OOH advertisement based on the space and classify the types of behavior model. Then we create persona by user behavior model. In conclusion, we would like to provide a design guide of the AR OOH advertisement which is increasing consistently. For this research, we took the AR OOH advertisement to appeal branding in IFC shopping mall and have observed and studied with video ethnography. This article analyzes the environment and contents of this advertisement. We enumerate their behaviors, classify them, make group model and finally create personas. There are 4 types of personas: attracting others, participation, curiosity and indifference. Futhermore, we will discuss possibilities and the points of issue that there are considerations and limitations to success by user behavior models.

      • KCI등재

        종말서사 속 유토피아적 상상력의 가능성과 한계 ―『스테이션 일레븐』을 중심으로

        권지은 ( Jieun Kwon ) 미국소설학회(구 한국호손학회) 2021 미국소설 Vol.28 No.1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utopian imagination is intertwined with the post-apocalyptic narrative in Emily St. John Mandel’s Station Eleven. The novel is praised by many critics for conveying an optimistic and hopeful vision of the post-apocalyptic world, particularly through the power of culture and art. This paper follows this thread of criticism, on one hand, by arguing that Station Eleven indeed embodies the impulse of articulating utopian thoughts, which is heralded not just by art but also by the effort to reclaim the idea of community. Contrary to the majority of criticism on the novel, however, this paper also attempts to show the ideological limitation of the utopian impulse manifested in Station Eleven. This is revealed foremost by the novel’s treatment of reality. By positing modern technology as normality and Shakespeare as the only legitimate gatekeeper of spirituality, Station Eleven presents the real world as the ultimate goal for the post-apocalyptic world to return to. In doing so, the sense of temporality becomes disrupted and the apocalypse turns into a historically contingent incident. By closely examining these ahistorical aspect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utopian imagination of the novel, however with good faith, functions to reconfirm a romanticized version of reality and thus an ideological perception of history.

      • KCI등재

        인터랙티브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참여 단계 모델 개발

        권지은(Kwon, Jieun),나건(Nah, Ke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최근 공간(Space)은 최첨단 디지털 기술과 감성적 패러다임의 변화로 단순히 삶을 영위하기 위한 의미로서의 장소가 아닌, 인간과 교류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대상으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인터랙티브 스페이스(Interactive Space)는 인간-컴퓨터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가상공간과 전통적인 아날로그 감성, 그리고 물리적 환경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인간의 장이다. 이러한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역할과 의미도 변모하고 있다. 인터랙티브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참여는 디자인의 성패를 좌우하고 공간 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하게 하는 핵심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터랙티브 스페이스라는 새로운 형태의 공간에서의 사용자 참여단계 유형을 모델로 정립하여 사용자 참여 유도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디자인 개발 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첫째, 인터랙티브 스페이스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특징에 따른 사용자와의 관계를 살펴본다. 국내외 논문, 단행본, 사전, 리서치 자료 그리고 인터넷 자료를 활용한 문헌조사를 실시한다. 둘째, 사용자 참여의 개념과 전통적 방식과 디지털 방식 매체에 따른 참여 단계 유형을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셋째, 인터랙티브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참여 단계 유형을 재구성하여 참여 단계 모델을 구축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한 연구 결과, 참여의 정도에 따른 단계별 사용자 모델인 NK-I?(I Five)을 구축하여 효과적인 인터랙티브 스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개발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안한다. Recently, space design, which was place to lead a life basically, has become a subject to communicate and interchange with human. Especially, interactive space is "human"s place", which is made up complex elements of digital virtual space and traditional analog and physical environment based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system. Users" role and meaning have changed in it at the same time. User participation is a significant subject to lead successful design and achieve an aim of space system.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velop user participation model in interactive space as new form and to suggest framework for design planning. For this research, the first of all, we would found definition of interactive space and studied relationship with users.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presents main theory and concept of user"s participa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that are traditional and digital media of participation. The third, we make user participation model by stage for interactive space. Through this process, ‘NK-I?(I Five)’ model is developed for user participation types in interactive space. Furthermore, we would present the point of issue that there are considerations and design guide to successful interactive space by user participation model.

      • KCI등재

        앱북(App Book)으로의 매체 전환을 위한 퍼놀로지(Funology)에 관한 연구

        권지은(Kwon, Jieun),김보영(Kim, Boyo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0

        전통적인 인쇄매체의 종이책이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스마트기기에서도 전자책이라는 매체로도 확장 되고 있다. 특히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의 콘텐츠로 제공되는 앱북(App Book)은 책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정보제공과 교육, 감성전달 목적 이외에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재미 요소를 부가하여 몰입도를 배가 시키고 체험적 효과를 증가시키고 있다. 기존에 이미 검증받은 고퀄리티콘텐츠를 애플리케이션 매체로 전환하는데 있어서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앱북으로의 매체 전환에 있어서 디지털 기술과 재미 요소가 융합된 퍼놀로지(Funology)가 어떻게 활용되고 사용자에게 어떠한 효과를 제공하는지에 대해 사례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앱북 콘텐츠 개발에 가이드를 제공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퍼놀로지에 대한 개념과 요소들을 살펴보고 분석할 수 있는 기준의 토대를 마련한다. 둘째, 원작 "무, 바, 라라라!(Moo, Baa, La La La!)’ 그림책을 아이패드(iPad)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한 앱북을 선정하여 퍼놀로지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한 요소들이 실제로 인쇄매체의 종이책과 비교하여 퍼놀로지의 활용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심층인터뷰인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사운드를 활용한 감각적 퍼놀로지에 대한 감성적 효과가 높았으며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모션과 변화에 따른 인터랙션에 의한 퍼놀로지 요소를 선호하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오리지널 책에서 강조되던 유희 자체를 위한 퍼놀로지 요소는 다른 관점에서의 즐거운 감성으로 유도하고 있어 책의 콘텐츠 내용과 정보 보다는 게임적 성향의 인터랙션 자체에 더욱 치중되어 체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과 인터뷰 결과는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앱북 개발에 있어서 본래 책이라는 매체가 가지고 있는 콘텐츠의 장점을 살리면서 애플리케이션의 퍼놀로지 요소의 특징을 부각시킬 수 있는 매체전환 방법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기대해 본다. Recently, traditional books based on printing on the paper have expanded to e-book media in smart device because of developing digital technology. Especially, app book applied application makes users" experience increase and provides immersion to them, because it allows them basically delivering information, educational effect and fun elements with multimedia technology. There are various experimental trials to make enhance effect of reformatting for application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formatting effect for app book with funology which is converge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a fun. Then this article would provide design guide and be applied to new application contents. For this research, the first of all, we would discuss concept and elements of funology by publication including thesis, articles, and books. Secondly, this article will be focused on "Moo, Baa, La La La!" which is reformatting application for iPad to analyze type of funology. Thirdly, we would make sure that app book makes users get emotional effect comparing original book by FGI(Focus Group Interview). In conclusion, sensitive funology used the sound allows user emotional effect and they prefer to intuitive and immediate motion and response of interactive funology. In other way, funology of fun in itself which is strong concept in original book diminishes in app book. Then users concentrate interactive factors like game structure. This results make that app books could be created by strength of original contents and advantage of funology. Therefore this makes us expect the possibility of reformatting effect with funology and we need to discuss the points of issue that there are considerations and limitations to successful app book for users.

      • KCI등재

        퍼포먼스에 있어서 인터렉티브 미디어의 효과와 활용 분석

        권지은(Jieun Kwon),김경수(Kyungsu Ki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1 애니메이션연구 Vol.7 No.3

        최근 인터렉티브 미디어는 퍼포먼스 분야에까지 적극적으로 활용되면서 다양하고도 실험적인 공연예술의 표현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무대미술을 배경으로 공연자가 행위를 하고 전체적인 연출이 이루어지는 공연이 관객에게 감동을 주고 함께 소통한다는 목적을 두고 있다. 때문에 퍼포먼스에서 디지털 인터렉션 요소는 다양한 시청각적 표현력을 다양화시키고 관객의 몰입도를 증가시켜 총체 예술의 의미를 부각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렉티브 퍼포먼스에 있어서 공연자와 무대, 공연자와 관객과의 인터렉션 요소와 사례 분석을 통하여 가변적 효과, 역동적 효과, 즉흥성에 의한 해프닝, 몸의 재해석 등의 영향을 살펴본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총체 예술로서의 가치와 의미를 논하고 인터렉티브 퍼포먼스 디자인의 발전 가능성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Ahigh technology of an interactive media is strongly taken in performance area. It makes performing to expand to experimental and various methods. A goal of an art and design of a stage which is shown background of performing is to communicate between performers and audiences to bring their emotional experience. Therefore a digital interaction helps to enhance expression of synesthesia and lead to immersion of audiences. It allows standing out meaning of Gesamtkunstwerk which Wagner could only have approved.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the interactive elements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stage, and the performer and audience. In addition, we will identify variable effects, dynamic effects, the effects of improvisation, and the effects of the reinterpretation of the body through case studies. Based on analyzing case studies, we will expect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in the interactive performance design area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발전 방향 연구

        권지은 ( Kwon Jieun ),권기윤 ( Kwon Giyoon ),박현주 ( Park Hyunj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공공도서관은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단순한 정보 제공의 기능뿐만 아니라 교육, 여가활동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의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도서관은 지역의 활성화를 위하여 복합문화공간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은 특정 지역의 고유문화 예술 발전의 구심점을 제공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조성하도록 하는 공공도서관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연구를 통해 지역문화 브랜딩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정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개념, 지역 사회와 관련한 역할,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도서관이 어떤 의미인지 연구하고 둘째,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운영되고 있는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분석하여 셋째, 분석 결과를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의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복합문화공간의 기능은 상징성, 복합성, 전문성, 참여성, 접근성으로 분류하여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연계할 수 있다. 사례 분석결과, 다섯 가지 특성 요소 중 참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간을 제공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의 중요성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복합성과 접근성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의 공간에서 다양한 가치를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의미에 부합한다. 상징성은 모든 사례에서 가장 높은 척도로 평가되었다.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이러한 상징성을 바탕으로 지역의 특색을 살린 랜드마크화가 가능하고 이로 인한 타지역민 유입이나 관광산업의 가치까지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지역의 특색에 맞는 문화공간의 콘텐츠를 개발, 전문적 정보 제공 등을 통하여 지역의 상징을 살릴 수 있는 랜드화가 가능하며 문화공간의 질적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공간의 하드웨어가 되는 건축물은 개성을 살리고, 소프트웨어인 운영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해야 하며 복합문화공간의 특징인 다양성을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과 서비스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공공도서관의 기본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복합문화공간의 역할과 공간구성을 융합한 방향성 추구는 그 지역 브랜딩과 지역 주민의 삶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beyond the place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education centered on books is demanding the symbol of the community and the value as a cultural community space. Accordingly, public libraries are developing in the form of complex cultural spaces to revitalize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ublic library to provide the central point of the development of unique culture and arts in a specific region and to create a cultural ident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libraries for local cultural branding through the study of public librar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Method) First, we studies the concept of public library, the role related to the community, and the meaning of the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Second, we analyzes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operating as complex cultural spaces. Thir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we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Results) The functio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can be linked to the function of a public library by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ism, complexity, expertise, participation and accessibility.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participation among the five characteristic elements was the highest, which could see the importance of encouraging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oviding various programs and spaces. The next high level of complexity and accessibility conforms to the meaning of a complex cultural space in that you can experience various values in an easily accessible space. Symbolism was rated as the highest scale in all cases. Based on this symbolism, the public library as a cultural complex will be able to be a landmark that accentu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thus gain the value of the tourism industry as well as the influx of people from other regions. (Conclusions) Public librar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can be landlocked and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al spaces by developing contents of cultural space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providing profess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rchitecture that serves as the hardware of space should be unique, and the operating program that is the software should meet the user's requirements. Variety, a characteristic of complex cultural spaces, needs to be appli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and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conclusion, the pursuit of directionality, which fused the role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mposite cultural space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is expected to help promote the local branding and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 KCI등재

        교사들의 진화 개념 이해 향상을 위한 논변활동 프로그램 효과 분석

        권지은 ( Jieun Kwon ),차희영 ( Heeyoung C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이 연구는 생명과학교사들의 진화개념 향상을 위한 논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교사교육에 적용하여 진화개념에 대한 논변활동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진화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주요 개념들을 문헌 조사를 통해 추출하여 ‘변이’, ‘변이의 유전’, ‘경쟁’, ‘자연선택과 적응’, ‘차등적 생식력’, ‘개체군 내 개체분포의 변화’, ‘대진화’를 주요개념으로 선정하였고, 각각의 개념에 대한 논변활동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ADI모형을 변형한 7단계로 이루어진 순환적 논변활동 학습모형도 개발하였다. 총 7회에 대학원 교과교육 수업에 적용하였다. 현직 생명과학교사 4명과 예비 생명과학교사 2명을 대상으로 남, 여 3명씩 두 개의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논변활동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녹음을 통한 담화와 논변글쓰기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논변글쓰기는 ‘설명의 충분성’, ‘설명의 개념적 수준’, ‘증거의 수준’, ‘정당화의 적절성’의 4가지 범주를 기준으로 논변의 질 수준을 분석하여 사전사후에 진화개념의 변화 정도를 확인하였고, 담화분석을 통해 진화주요개념에 대한 논변활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논변글쓰기와 담화를 분석한 결과 개발된 논변활동 모형과 프로그램은 생명과학교사들의 진화개념 이해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는 논변활동을 통한 교수학습 전략이 생명과학교사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진화개념학습 전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biology teachers`` education program based on argumentation activity about core concepts of evolution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re concepts of evolution learned during the program. The eight core concepts of evolution in this study were variation, heritability of variation, competition, natural selection, adaptation, differential reproductive rate of individuals, changes in genetic pool within a population, and macroevolution. The performance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argumentation activities; consisting of seven sessions on the eight core concepts of evolution. The process of the program was specially designed by learning cycle model for teacher education, consisting of seven phases: identification of the task, production of a tentative argument, small group’s written argument, share arguments with the other groups, reflective discussion, final written argument, and organization by an instructor.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wo pre-service biology teachers and four in-service biology teachers. The results suggest that biology teachers reduced the teleological explanation for biological evolution and improve its adequacy after the intervention. Teachers lacked the opportunity to discuss variation, heritability of variation, competition, and macroevolution because science textbooks lack information on the concepts of biological evol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ecause the argumentation program developed for teachers helps to improve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evolution and to reduce inadequate conceptions in biology, teacher education programs using argumentation activity and eight core concepts of evolution will play a role for efficient evolution education for biology teachers.

      • KCI등재

        『선셋파크』에 나타난 역사의식과 탈역사적 세계관의 충돌

        권지은 ( Jieun Kwon ) 미국소설학회 2024 미국소설 Vol.31 No.1

        This paper explores the ambivalence in the political aspect of Paul Auster’s Sunset Park. Set in the 2008 Subprime Mortgage Crisis that has led to a significant amount of house foreclosures and the ensuing economic recession throughout the early 2010s, the novel creates an alternative space of Foucauldian heterotopia going against the logic of financial capitalism behind the Crisis. By refusing two kinds of optimistic view on history altogether - one that financial capitalism promises and the other that the American ideal of infinite progress explicates - the novel tries to redefine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here and now” free from the over-optimistic historicity. In doing so, however, the novel reveals quite an ironical impulse of ahistoricity, which is mostly marked by Auster’s trademarks of coincidence and chance. Its narrative heavily depends upon the idea of how coincidence and fate can change the course of life, thereby implying that the main driving force behind history - both personal and national - can be as much random as rational. This process of incorporating ahistorical randomness to the novel ends up undermining its own political premise: The whole project begins with the political impulse of criticizing contemporary American society dictated by the financial capitalist idea economically and the American belief of progress culturally, but it ends with a highly apolitical notion that all the scars you get from life can be not only random but also somewhat helpful for your inner growth.

      • KCI등재

        애도를 통한 무위의 공동체의 가능성 엿보기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을 중심으로

        권지은 ( Jieun Kwon ) 미국소설학회(구 한국호손학회) 2020 미국소설 Vol.27 No.1

        This paper explores the idea of community in Foer’s Extremely Loud & Incredibly Close, particularly focusing on how it attempts to imagine a new form of community different from the pervasive notion of patriotic national community that has gained strong currency since the 9/11 incident in 2001. The community presented in the text provides a form of membership through mourning, but this membership is not dictated by nationality, racial demarcation, or any pre-determined notions of identity. By sharing loss and pain with complete strangers and thus realizing the fluid yet continuing connection that we all share in a society, the characters show that collective mourning can be an alternative form of communal identity to the rigid boundary of national community. The idea of communal membership through mourning in the text is very much in the same line with Judith Butler’s and Jean-Luc Nancy’s theories, which theoretically outline the communal relationality containing Otherness.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the community presented in Extremely Loud & Incredibly Close encapsulates these theories, creating through literary imagination a mourning community that does not require fixed boundaries or any label of homogeneous memb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