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를 위한 MANTRA적용 미술치료 사례연구

        권젬마,안정아,이은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신경성 식욕부진증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영국 보건의료치료지침의 MANTRA (The Maudsley Model of Anorexia Nervosa Treatment for Adult)를 적용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로 병리적 증상 호전과 정서적 변화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P대학병원에서 신경성 식욕부진증으로 진단받은 만 33세 여성으로 연구적용기간은 2017년 11월 13일부터 2019년 12월 30일까지였다. 연구 결과 첫째, K-EDE를 통해 알아 본 신경성 식욕부진증 증상변화는 4개 하위영역 모두 수치가 감소하여 병리의 심각성이 완화되었고, 특히 식사관심 척도와 체중관심 척도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둘째, K-BDI를 통해 알아본 우 울정서는 심각한 우울 상태와 중한 우울 상태를 반복하는 양상을 보이며 우울감이 지속되었 고, STAI-X를 통해 알아 본 불안정서는 심각한 불안 수준에서 경한 불안 수준으로 호전되 었다. 셋째, MANTRA를 적용한 미술치료는 억압된 부정적인 정서를 표현하도록 도와주어 자신의 모순된 모습을 직면하게 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회복에 대한 변화된 관점을 가 질 수 있게 도와주어 장기간 치료 유지를 가능하게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symptoms and emotional changes in art therapy case study applying the Maudsley Model of Anorexia Nervosa Treatment for Adult (MANTRA) of NICE guidance in adult patient with anorexia nervosa. The participant of the this study was a 33-year-old woman who was diagnosed with anorexia nervosa at P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period of this participant was from November 13, 2017 to December 30,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thological symptoms related to anorexia nervosa decreased in all four sub-regions of the K-EDE eating disorder assessment. In particular, eating concerns and weight concerns were significantly changed. Secondly, the participant’s emotional changes were shown in the form of continued depression that repeated through ranges of severe to moderate states through K-BDI. Through STAI-X, the participant’s emotional state changed from severe anxiety to mild anxiety. Third, art therapy applied MANTRA helped the participant to express suppressed negative emotions and confront her feelings of opposition and the self-contradictory aspects. The participant had a changed perspective on her recovery while being able to maintain and sustain a long-term treatment.

      • KCI등재

        미술치료자의 선호매체에 관한 연구

        김양자,최윤희,김태완,권젬마,김광웅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therapy media of art therapists and it's therapeutic significance. The subjects were 103 art therapists working in Seoul area. A questionnaire produc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It was found that art therapists preferred ‘dry-types of art media’ in general because of easy handling and safe protection of clients and therapists themselves. They had low preferences in ‘untypical art media’ and ‘wet-types of art media’ because of difficult handling and possibility of making clients regressive. According to therapists career, there was some differences. Bu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rapy media preference and art major. It was also found that therapy media preference of therapists were reflected and affected by chronological changes of social and cultural aspects. In the next study, the therapeutic influence of preference media on art therapy should be analyzed. And to gain the deep understanding about clients, we will need to find a detailed review about new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alteration of time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자의 선호매체를 조사하고 치료적 의미를 살펴보는데 있다. 수도권 지역에 종사하는 미술치료자를 대상으로 103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빈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술치료자는 비교적 통제가 가능하고 대상자와 치료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평면건식매체를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미술치료자는 통제가 어려운 비정형매체와 평면습식매체를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셋째, 미술치료자의 치료 경력에 따라 질적인 차이를 보였다. 넷째, 미술치료자의 전공여부는 선호매체에 별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치료자들은 선호매체와 선호하지 않는 매체가 있고, 미술매체는 사회문화적인 시대 변화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술치료자는 대상자들의 욕구를 알아차려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매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미술치료자의 선호매체가 구체적으로 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시대변화에 따른 인간 이해를 위해 시대적 변화에 따른 매체선호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미술치료에서 생산된 내담자 작품관리에 관한 연구

        최윤희 ( Choi Yunhea ),김양자 ( Kim Yangja ),김태완 ( Kim Taewan ),권젬마 ( Kwon Gemma ),김광웅 ( Kim Kwangwo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생산되는 내담자의 미술작품을 미술치료자가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조사하여, 작품관리 형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작품관리 형태에 관한 20문항의 설문지를 실시하여, 2017년 6월 22일부터 9월 21일까지 미술치료자 116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들 중 73%는 내담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작품관리 방법을 결정하였다. 내담자의 의사를 반영하는 이유로는, 내담자의 마음을 존중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45.2%로 가장 많았다. 개인치료실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치료적 요인을 고려하여 치료자가 작품관리를 하는 경향이 있었고, 고용된 치료자는 내담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작품관리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작품관리 방법에 따른 치료의 의미를 고찰해보고, 작품관리의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rt therapist deals with the client’s artwork produc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to examine the form of the artwork. 20 questions questionnaires about the form of art work management were conducted from Jun. 22 to Sep. 21, 2017, and data of one 116 art therapists were analyzed. About seventy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determined the way of keeping artwork of client, reflecting the client’s opinion. The most common reason for reflecting the client’s opinion was that forty five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respect for the client’s mind. In the case of operating the personal clinic, the therapist tended to manage client’s artwork considering the therapeutic factors rather than the client’s opinion, and the employed therapist tended to manage the artwork mainly reflecting the client’s opin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the management of the client’s ar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