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결정론과 생태적 합리성 - 비결정론에 대한 맑스의 생태사회론의 양가성 비판과 변형 -

        권정임 한국환경철학회 2010 환경철학 Vol.0 No.9

        In diesem Artikel geht es um die ökologische Rationalität, auf der eine ökologische Vergesellschaftung basiert. Mit der Konfrontation mit der modernen Form des rationellen Verhältnisses von Natur und Menschen, die auf der deterministischen Problematik beruht, untersucht dieser Artikel die ökologische Rationalität auf der Grundlage der indeterministischen Problematik. Dabei geht diese Untersuchung von der kritischen Auseinandersetzung mit Marxscher Theorie aus. Denn sein Entwurf zur kommunistischen und ökologischen Vergesellschaftung zum Teil durch die indeterministische Promlematik strukturiert ist. Allerdings kennzeichnet sich seine Theorie auch durch deterministische Tendenz, die zum Teil aus seinen Früschriften stammt. Daher behandelt dieser Artikel seine Theoriebildungsgeschichte kritisch, um indeterministische Seite seiner Theorie herauszuarbeiten. Auf der Grundlage dieser kritischen Auseinandersetzung mit Marx stellt dieser Artikel die Merkmale der ökologischen Rationalität wie folgend dar;Erstens muss sie holistisch sein. Zweitens, vorausgesetzt durch die prinzipielle Unmöglichkeit einer völligen Regelung eines Gegenstands, kann die Regelung eines Gegenstands nach dieser indeterministischen ökologischen Rationalität nicht eine völlige, sondern eine möglichst größte Regelung sein. Daher muss diese Regelung durch ‘Vorsorgeprinzip’ ergänzt werden. 이 글에서는 생태친화적 사회, 곧 생태사회가 기초해야 할 ‘생태적 합리성’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합리적인 자연관계’의 근대적 형태가 결정론적 문제틀에 기초한다는 문제의식 아래, 비결정론적 문제틀에 기초하여 ‘생태적 합리성’을 모색한다. 이러한 모색은, 중후기 맑스의 생태사회론 및 이에 함축된 생태적 합리성과의 비판적 대결에서 출발한다. 그의 이론이 비결정론적인 측면을 가지며, 또한 그가 비결정론에 기초하는 ‘생태적 합리성’의 문제를 ‘사회형태’ 및 이에 기초한 인간과 자연 간의 관계에 대한 문제로 확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맑스는 사실 비결정론과 관련하여 양가적이다. 즉 결정론적 편향을 동시에 보이며, 이는 그의 생태사회론과 생태적 합리성을 제약한다. 생태적 합리성에 대한 논의가 보다 발전적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그의 한계를 넘어설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이 글에서는 우선 맑스의 ‘비결정론’적 사유방식에 초점을 맞추어 맑스의 이론사적 발전과정이 분석된다. 이를 통해 맑스가 초기부터 ‘비결정론’과 관련하여 양가적임과 동시에, 초기의 결정론적 편향이 중후기에 이르기까지 그의 ‘비결정론적 사유’를 모호하게 하여 일정 정도 제약함을 보인다. 이어서 그의 생태친화적인 코뮌주의 기획이 비결정론에 기초하는 비결정론적 합리성의 단서를 제시함을 보인다. 첫째, 그가 대상을 그 구성요소들 및 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연구하는 전체론에 기초하여, 자연관계와 사회형성을 합리적으로 계획하고 조절하고자 함을 보인다. 둘째, 그의 이론이 대상에 대한 원칙적으로 완전할 수 없는 조절을 보완하는 ‘예비의 원칙’을 함축함을 보인다. 후기에까지 이어지는 그의 결정론적 편향이 특히 두 번째 측면을 모호하게 한다는 비판에 이어, 이 단서들을 생태적 합리성의 ‘근본원리’로 발전시키고자 시도한다.

      • KCI등재

        판 빠레이스의 공유주의와 기본소득 재구성

        권정임,곽노완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9 시대와 철학 Vol.30 No.2

        Van Parijs also discusses distributive justice in terms of 'just distribution of entitlements to resources'. He also integrates this with the distributive justice based on the ideal of real libertarianism, i.e., the maximin of real freedom and the basic income policy for its implementation. This paper is a critical reconstruction of this process. The research in this paper proceeds as follows. First, this paper critically reconstructs Van Parijs' process of incorporating a distributive justice based on the ideal of real libertarianism and a distributive justice based on his entitlement theory of justice which argues just distribution of entitlement to resources. As a result, this paper shows that he basically distinguishes basic income as a distributive justice from ʻjustice as reciprocityʼ.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shows that the distributive justice based on the ideal of real libertarianism is justified based on the entitlement to sharing of inherited commons, in terms of entitlement theor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lso shows that liberal-egalitarianism and commonism are integrated through real libertarianism. Second, based on this critical reconstruction, this paper, on the one hand, argues that direct and indirect efforts by everyone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new commons are also the basis for the entitlement to basic income. In other words, this paper argues that in this case justice as reciprocity, especially cooperative justice, is another basis for entitlement of basic income.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shows that 'maximin of real freedom' is not an independent principle of distributive justice but a principle that defines the size of basic income. In this context, this paper also presents the real libertarianism as a type of commonist distributive justice, a liberal-egalitarian type. 판 빠레이스는 ʻ자원에 대한 권한의 정의로운 분배ʼ라는 관점에서도분배정의를 논의한다. 또한 이를 실질적 자유지상주의 이념에 기초하는분배정의, 곧 ʻ실질적 자유의 최소극대화ʼ 및 이를 위한 기본소득정책과통합한다. 이 글은 이러한 과정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첫째, 판 빠레이스가 실질적 자유지상주의 이념에 기초하는 분배정의와 자신의 권한이론적 관점에 기초하는 분배정의, 곧 ʻ자원에 대한 권한의 정의로운 분배ʼ를 통합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한다. 그 결과 한편에서는 그가 기본소득을 분배정의로서, ʻ호혜성으로서의 정의ʼ와 근본적으로 구분함을 보인다. 다른 한편 실질적 자유지상주의 이념에 기초하는분배정의가, 권한이론적 관점에서는, 물려받는 공유지에 대한 모두의 공유권한에 근거하여 정당화됨을 보인다. 또한 이런 맥락에서 실질적 자유지상주의를 통해 자유주의적 평등주의와 공유주의가 통합됨을 보인다. 둘째, 이러한 비판적 재구성에 기초하여, 한편에서는, 새로운 공유지의 생산과 관련되는 모두의 직간접적 노력 또한 기본소득에 대한 권한의근거임을 주장한다. 즉 이 경우 호혜성으로서의 정의, 특히 협동적 정의가기본소득에 대한 권한의 또 다른 근거가 된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 ʻ실질적 자유의 최소극대화ʼ가 독립적인 분배정의원칙이 아니라 기본소득의크기를 규정하는 원칙임을 보인다. 또한 이런 맥락에서 실질적 자유지상주의를 공유주의 분배정의론의 한 유형, 곧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유형의 하나로 제시한다.

      • KCI등재

        일리야 마슈코프의 정물화: 다이아몬드 잭, 조스토보 쟁반, 러시아 세잔주의, 회화적 유희

        권정임 한국러시아문학회 2023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82 No.-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a plethora of I. I. Mashkov’s still lifes. A member of the avant-garde art association 'Jack of Diamonds', one of the largest art groups that existed from 1910 to 1917, Mashkov abandoned the traditions of academicians and wanderers, opting instead for emerging artistic trends such as primitivism, Fauvism and Cezannism. Mashkov, whose focus was primitivism, used aesthetic elements of Russian popular prints 'lubok', painted trays, the backdrop of a provincial photographic gallery or signboard. Unlike other associates of the 'Jack of Diamonds', Mashkov experienced a meager and ill-fated adolescence as an errand boy, and thus could be considered a literal 'jack’. 'Jack-Mashkov' in his works attempted an aesthetic combination of the gaudy, rude tastes of the lower classes which he identified with in youth, and the techniques of French primitivism. As a ‘Russian cezannist’ Mashkov was looking for a fixed, eternal and unchanging form of nature, not a fleeting and malleable one. To achieve this, the artist went much further than Cezanne. He sometimes replaced natural things with papier-mache replicas, which achieved the effects of isolation and materiality of objects. This approach of the artist is reduced to the search for a geometric form of nature like a diamond. As a gambler of 'jack of diamonds', Mashkov deployed a daring 'artistic game' on his canvases. Overhauling the existing artistic vernacular, he involved a serious spectator in a game where the living and the inanimate, the mobile and the stationary could readily swap places. The artist used 'trays of Zhostovo' most often for this deception and gam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