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 총화의 ‘飛行機’ 시대와 帝國-植民地의 낙차:염상섭의 『청춘항로』과 『불연속선』을 중심으로

        권은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2

        권은, 2022, 기술 총화의 ‘비행기’ 시대와 제국-식민지의 낙차, 어문연구, 194 : 201~228 본 연구는 염상섭의 『불연속선』과 『청춘항로』를 중심으로 새로운 교통수단인 ‘비행기’가 서사에 전면적으로 등장하는 양상과 그것의 서사적 효과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청춘항로』는 자신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조선의 청춘들의 모습을 비행기의 항로에 비유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 종호의 그림 <서울>에서 경성의 하늘을 솟아오르는 비행기의 모습은 상징적이다. 『불연속선』의 중심인물인 김진수는 동경에서 ‘삼등 비행사’ 면허증을 취득하였지만, 식민지 조선에서는 택시 운전수로서 살아가는 인물로 등장한다. 이 작품에서 인물들은 비행기를 타는 경험을 통해 새로운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자신들의 성장을 위해 식민지 조선을 떠나 동경으로 향하는 것으로 서사는 마무리된다. 두 작품의 중심인물들은 공통적으로 동경에서 새로운 학문과 문화를 배워 돌아온 지식인이자 예술가이지만, 식민지 조선에는 그러한 지식과 경험을 실현할 수 있는 토대가 조성되어 있지 않다. 결국 그들은 새로운 꿈을 좇아 조선 외부로 나아가고자 시도한다. 이러한 설정은 염상섭이 ‘내선일체’로의 변화 속에서 이 작품들을 끝으로 절필을 한 채 만주로 떠난 일련의 상황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형성과 서양 고전음악의 의미-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을 통한 탐색

        권은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1 No.-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Western classical music on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novels, an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Western classical music in the modern era. To this end, it was intended to write and analyze a network map among western composers, Korean modern novelists and music critics by performing text mining for 2,000 Korean modern novels and 180 music reviews and essays. Interest in Western classical music was not limited to some writers, but was a phenomenon that appeared in most writers. However,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response to Western classical music by series. Writers such as Lee Kwang-soo, Yeom Sang-seop, and Na Do-hyang, who are the first-generation writers who pioneered modern Korean novels, do not specifically mention Western composers in their works. In addition, Western classical music rarely appears in the works of KAPF writers like Cho Myung-hee, Song Young, and Lee Ki-young. Writers who have relatively actively embraced Western classical music in their literature are those of Lee Hyo-seok and Lee Tae-joon, who have been classified as modernists. However, it also includes writers in the field of companion writers such as Yoo Jin-oh. In that Yoo Jin-oh and Lee Hyo-seok are from Kyongsong University. Western composers, who often appear in modern Korean novels, are Beethoven, Chopin, Schubert, Mozart, and Tchaikovsky, accounting for 78% of their total. It can be seen that the category of Western classical music, which began to be formed during this period, continues almost to this day. Writers who actively used Western classical music at novels include Lee Hyo-seok, Lee Tae-joon, Yoo Jin-oh, and Park Tae-won. They borrowed the atmosphere of Western composers or works or used Western classical music to express things that could not be expressed in language, and borrowed the form or structure of Western music. 본 연구는 서구 고전음악이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거시적으로 파악하고, 근대 시기 서구 고전음악이 갖는 함의를 작곡가와 작품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 근대소설 2천여 편과 음악평론 및 수필 180여 편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하고 서양 작곡가와 한국 근대소설가 및 음악 평론가의 네트워크 맵을 작성하여 분석하였다. 한국 근대 소설가들은 대부분 서양 고전음악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렇지만 서양 고전음악에 대한 반응은 작가군에 따라 차이가 난다. 한국 근대소설을 개척한 1세대 작가들이라 할 수 있는 이광수, 염상섭, 나도향의 작품에서는 서양 작곡가를 구체적으로 언급한 사례가 많지 않다. 또한 카프 계열의 작가들인 조명희, 송영, 이기영 등의 작품에서도 서양 고전음악은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서양 고전음악을 비교적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작가들은 모더니즘 계열로 분류되는 이효석이나 이태준 등 구인회 작가들이다. 그렇지만 유진오와 같은 동반자 작가계열의 작가도 포함된다. 유진오와 이효석은 경성제대 출신이라는 점에서 ‘구인회’와 더불어 ‘경성제대’가 서양 고전음악과 긴밀히 연결되는 고리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근대소설에서 자주 등장하는 서양 작곡가는 베토벤, 쇼팽, 슈베르트, 모차르트, 차이코프스키 등으로 이들이 전체의 78%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다. 이 시기 형성되기 시작한 서양 고전음악의 범주가 오늘날까지 거의 그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양 고전음악을 서사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 작가들로는 이효석, 이태준, 유진오, 박태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서양 작곡가나 작품의 이미지를 차용하거나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서양 고전음악을 활용했으며, 수미상관의 원점회귀 구조나 대위법적인 구조 등에서 서양 음악의 형식을 차용하였다.

      • KCI등재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 연작과 비총체화된 총체성

        권은 한국현대문학회 202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6

        This study examined that Kim Nam-cheon’s series of Aquarium of Lov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expanding and zoning Kyongsong(Great Keijo) plan. Until now, the importance of Kyongsong in Kim Nam-cheon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The literary theory of observatio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mpletion of Kim Nam-cheon's creative methodology, is based on the study of Balzac whose literature presuppose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the environment. Just as Balzac repeated various methodological searches to recreate the overall pattern of Paris, the capital of France in 19th century, Kim tried to closely observe the changes in spatial order and characteristics of detailed zones after the expanded Kyongsong and embodied them literary. The series of Aquariums of Love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such efforts. Among modern Korean novelists, Kim can be evaluated as the author who most precisely embodies the historical changes of expanded Kyongsong as a novel. In the Aquarium of Love series, there are places such as hubs that attract various characters and connect works. These are located in the east, west, north, and south of Kyongsong, respectively, which can be said to be a change that occurred when the dual urban structure of Kyongsong. Wondong is a place name derived from the sponsorship of Changdeok Palace and symbolizes the space of emerging bourgeois, which took over new wealth and power on behalf of kings and aristocrats of the Joseon Dynasty. Meijimachi is the center of financial capital and can be said to be a place where young people gather dreaming of a quick change. The Jukcheomjeong is a place where the latest residential areas have been built in earnest after the expansion of Kyongsong. The area of Dongsungdong, where Kyongsong University is located, is described as a space where young intellectuals of colonial Joseon want to grow, but eventually get killed or expelled. The expansion of Kyongsong meant the transition from a nation-centered political city to a capital-centered industrial city. As the area expanded, Kyongsong was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and scenic areas, and each area was required to have a network with each other. And residential area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economic class. Each district of the city has a conciliatory relationship with the formation of a network of various characters in the feature novel in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while taking charge of a part of the entire city. Kim Nam-cheon’s works attempted to read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patterns of each district through various characters placed in the urban space of Kyongsong.

      • KCI등재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간접적 인간로봇 상호작용 방법에 대한 실험적 평가

        권은,박종경,김정현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7 No.2

        대부분의 인간 로봇 상호작용 방법은 제스쳐, 음성, 터치스크린, 버튼등과 같이 로봇에 "직접적으로" 향하 거나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방법은 아직 기술의 완성도 때문에 많은 경우에 아직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예: 인식 불량). 이 논문에서는 간접적이 나 보다 안정적인 방법으로 로봇과 상호작용 하는 방법을 소개 한다. 세부적인 예로서, 프로젝터를 로봇에 장착하여 가깝고 넓은 면에 정보를 투사하고 인터액션 공간을 제공 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간 접적인 HRI 방법의 요구사항과 기술적인 이슈들을 정리 하고, 두 실제 프로젝터 로봇의 구현을 소개 한다. 더 나아가서, 실험을 통하여 프로젝터 로봇을 이용한 간접적 HRI 방법의 효과와 장단점을 살펴본다. 실험 결과는 간접적 HRI 가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는 효과적이나 휴머노이드 로봇과 비교 하여 친밀 성이나 감정적인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면은 프로젝터를 통한 컨텐츠나 로봇 자체 의 외부 모습을 바꾼다면 극복 할 수 있는 문제로 보여 진다.

      • KCI등재

        징후로서의 轉向과 형식의 이데올로기: 한설야의 『청춘기』론

        권은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4 No.2

        This thesis wants to reconsider the notion and categorization problem of conversion literature at colonial period through studying Han Sulya’s Cheongchungi by relating to conversion. If ‘conversion’ implies the irreversible change of world view and rupture of rapid consciousness, there is always a considerable change in author’s literature world from that point. Cheongchungi adopted love story style, and it highlighted fantastic aspect such as dream and reverie rather than the fact. The content related with conversion had newly inserted in the process of adaption, and it mention about philosophy of Chestov which was judged based on ideology of conversion literature. It also shows a consciousness of pursuing international solidarity through the medium of the imperial language, the Japanese language. Considering these various characteristics, Cheongchungi does not have a direct relation with conversion in terms of context;however, it is a literature work that shows the symptomatic characteristic of conversion from formal aspect. The characteristic of Cheongchungi becomes more prominent as conversion literature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three versions. It is noticeable by looking into the process of adaption in Cheongchungi that the adaption was made for a way to enhance the conflict relation between imperial Japan and colonial Chosun. But, the conflict rela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was not prominently expressed in first book. Above all, Japanese language plays important part in narrative function in first book, and it seemed that Sulya Han was seeking a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solidarity through Japanese language. 본 논문은 한설야의 『청춘기』를 ‘전향’과의 관련 속에서 살피고, 이를 통해 식민지 시기 한국 轉向文學의 개념과 범주화의 문제를 재고해보고자 한다. 『청춘기』는 연애소설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사실보다는 ‘꿈’과 ‘공상’과 같은 幻想的 측면이 부각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개작 과정에서 ‘전향’에 관한 내용이 새롭게 삽입되었으며, 전향문학의 사상적 기반으로 평가받는 셰스토프의 철학이 언급되었다. 또한 帝國의 언어인 일본어를 매개로 하여 國際的 聯隊를 추구하고자 하는 의식이 나타난다. 이러한 여러 특성들을 고려할 때, 『청춘기』는 전향의 특성이 징후적으로 나타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전향문학’으로서의 『청춘기』의 특성은 新聞連載本, 單行本, 改作本의 3개의 판본을 비교ㆍ검토해 보면 더욱 두드러진다. 『청춘기』는 일제에 대한 저항의식을 담은 민족주의적 텍스트라기보다는 ‘일본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국제적 연대를 추구하려는 의식이 강하게 나타나는 텍스트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파시즘에 드리운 모더니즘적 상상력 -자넷 풀의 『미래가 사라져갈 때』(2021)

        권은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4 No.-

        Janet Pool‘s When the Future Disappears: The Modernist Imagination in Late Colonial Korea examines Korean literature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from a modernist perspective. Until now, Korean modernist literature has been discu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can be seen from the use of various names such as ’Korean modernism’, ‘Modernism at the margins’, ‘Kyongsong modernism’, and ‘modernism of 9 members’, there have been various views on modernism, but no attempt has yet emerged to synthesize them. In this regard, Janet Pool’s study, which gives a new meaning to Korean literature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from the modernist perspective in a broad sense, is of great significance. Janet Pool’s discussion on Korean modernism encompasses heterogeneous ideologies such as capitalism, socialism, and fascism, includes the literary features of realism and modernism, and also deals with various genres such as poetry, novels, essays, and philosophy. Her discussion makes it possible to expand the discourse of Korean modernism and examines it more macroscopically. However, it is problematic that his concept of modernism is comprehensive enough to cover almost all literary and cultural trend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자넷 풀의 미래가 사라져갈 때 는 식민 말기의 한국문학을 거시적인 모더니즘의 시각에서 새롭게 살핀 논의라 할 수 있다. 그동안 한국 모더니즘 문학은 다양한 시각에서 논의되어 왔다. ‘한국 모더니즘’, ‘주변부 모더니즘’, ‘경성 모더니즘’, ‘구인회 모더니즘’ 등 다양한 명칭들이 사용된 것에서 알 수 있듯, 모더니즘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존재했지만 이들을 두루 아우르며 종합하려는 시도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광의의 모더니즘의 시각에서 식민 말기의 한국 문학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자넷 풀의 연구는 학술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 이 책은 자본주의, 사회주의, 파시즘 등의 이질적인 이데올로기를 아우르고,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사조적 특징도 포괄하며, 시, 소설, 수필, 철학 등의 여러 장르도 모두 다룬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거시적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의 논의는 한국 모더니즘 문학 담론을 확장하고 좀더 거시적으로 살피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그렇지만 그의 모더니즘 개념이 20세기 전반기의 거의 모든 문학ㆍ문화적 흐름들을 포괄할 수 있을 정도로 포괄적이라는 점은 문제적이다. 이 책은 완결되었다기보다는 새로운 문제의식을 제시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