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45kW급 전자 제어형 승용 자주식 마늘수집기 포장성능시험 (Ⅰ)

        이예슬 ( Yeseul Lee ),김영화 ( Younghwa Kim ),강나래 ( Narae Kang ),유승화 ( Seunghwa Yu ),남영조 ( Youngjo Nam ),권승귀 ( Seunggwi Kwon ),하유신 ( Yushin Ha ),박형규 ( Hyunggyu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마늘은 고추, 양파, 파 등 조미채소 중 재배면적의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는 중요 작물이다. 그러나 마늘의 재배면적은 2020년도 25,372 ha에서 2021년도 21,999 ha로 약 13% 감소하였으며, 생산량 또한 2020년도 363,432 톤에서 2021년도 308,532 톤으로 약 15%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 원인은 인건비 상승, 수입 마늘 증가, 농가의 인구 고령화 등이 있다. 기계화율을 향상시키고 생산비 절감을 위해 승용자주식 마늘 수집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5kW급 전자 제어형 승용 자주식 마늘 수집기 시작기를 투입하여 주행속도 및 수집속도를 요인으로 포장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경상남도 창녕군 효정리 소재 농가 포장에 시험포장을 조성하였으며, 마늘(품종 : 대서)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늘 수집기의 주행 및 수집속도에 따른 손실률, 손상률, 이물질 혼입률 등 주요 작업부의 작업성능 및 적정 작업 속도를 선정하였다. 주행속도 3수준(0.2, 0.3, 0.4 m/s), 수집속도 3수준(60, 70, 80 rpm)으로 시험 요인을 선정하고, 요인별 시험 구간은 3 m로 3반복 실시하였다. 시험 결과 주행속도 0.3 m/s, 수집부 회전속도 70 rpm일 때 수집성능은 손실률 5.98%로 가장 양호하였다. 요인시험에서 수집된 마늘과 흙, 줄기 등의 무게를 조사하여 이물질 혼입률을 분석하였다. 수확한 마늘은 요인별로 찍힘과 쪼개짐을 조사하였으며, 30개씩 무작위로 선별하여 마늘의 껍질을 제거하여 멍을 분석하였다. 주행속도별 수집부 회전속도 70 rpm에서 손상률이 1.11%로 가장 양호하였다. 목표성능인 마늘 손상률 3%미만, 수확률 95% 이상을 만족하는 주행속도 0.3 m/s, 수집속도는 70 rpm으로 판단하였다.

      • 45kW급 전자 제어형 승용 자주식 마늘수집기 포장성능시험 (Ⅱ)

        강나래 ( Narae Kang ),김영화 ( Younghwa Kim ),이예슬 ( Yeseul Kim ),유승화 ( Seounghwa Yu ),남영조 ( Youngjo Nam ),권승귀 ( Seunggwi Kwon ),하유신 ( Yushin Ha ),박형규 ( Hyunggyu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마늘재배 기계화율은 평균 59.2%로 마늘재배 전과정 중 파종·정식과 수확작업의 기계화율은 각각 16.1%, 수확 39.2%로 미흡한 실정이다. 수확작업의 경우 수확 15∼20일 전 줄기절단작업을 진행하고, 트랙터 부착형 땅속 작물 수확기로 마늘을 굴취한다. 굴취한 마늘은 노지에서 건조과정 거친 후 수집작업을 하고 있으며, 수집작업은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많은 노동력이 소모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승용 자주식 마늘수집기 시작기를 이용하여 주행속도 및 이송속도에 따른 포장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포장성능시험에서 사용한 마늘수집기 시작기는 크롤러 타입으로 주행부와 수집부, 이송부, 선별부, 수납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집부를 통해 수확된 마늘의 뿌리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이송부에서 분리하고, 아직 남아 있는 이물질은 선별부에서 보조작업자가 선별하여 수납될 수 있도록 설계·제작하였다. 포장성능시험은 남도마늘을 대상으로 경상북도 성주군 소재 농가포장에서 진행하였으며, 주행속도 3수준(0.2, 0.3, 0.4 m/s)과 이송속도 3수준(60, 70, 80 rpm)을 요인으로 수행하였다. 요인별 시험구간을 3 m로 설정하고, 3반복 진행하였으며, 성능분석은 마늘수집기 시작기로 수집되지 않고, 포장에 남아 있는 마늘을 조사한 손실률, 수집된 마늘의 찍힘, 쪼개짐, 멍 등을 조사한 손상률, 수집부에 담긴 마늘과 이물질 비율을 조사한 이물질 혼입률을 분석하였다. 손상률은 요인별 수집부에 담긴 마늘에서 임의로 30개를 선정하여 껍질을 제거하여 멍을 조사하였다. 성능시험 결과 주행속도 0.2m/s, 이송속도 70 rpm에서 손실률 1.54%로 가장 양호하였다.

      • KCI등재

        트랙터 부착형 양파 줄기절단기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홍순중(Soonjung Hong),백이(Yee Paek),강동현(Donghyeon Kang),김효철(Hyocher Kim),이상희(Sanghee Lee),문석표(Seokpyo Moon),민병규(Byeonggyu Min),남영조(Youngjo Nam),권승귀(Seunggwi Kwon),김동억(Dongeok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7

        최근 국내 농촌인력의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인하여 인력 수급의 어려움 등으로 농촌 노동력 부족현상이 심화되어 농작물 생산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파 재배농가의 노동력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파 수확작업에 필수적인 줄기절단기를 개발하여 농용트랙터에 줄기절단장치를 부착하였으며, 줄기절단시험을 실시하였다. 엔진의 회전수 증가에 따라 PTO 회전수의 편차는 다소 있으나 엔진회전수 증가에 따라 PTO 회전수는 증가되었다. PTO 540 rpm으로 고정을 한 후 엔진의 회전수가 1,600 rpm일 때 줄기 절단율은 53.1%, 미절단율은 43.8%, 극절단율은 3.1% 및 손실율은 0%로 나타났고 1,800 rpm일 때 줄기 절단율은 64.1%, 미절단율은 31.3%, 극절단율은 4.7% 손실율은 0%로 나타났다. 2,000 rpm일 때 줄기 절단율은 64.1%, 미절단율은 18.8%, 극절단율은 17.2% 및 손실율은 0%로 나타났다. 양파 줄기절단기 작업시간은 10a 당 기계작업시 0.6시간, 인력작업은 10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작업성능은 인력에 비하여 약 16배 노력절감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포장조건에 따른 작업성능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Recently, the shortage of rural labor in South Korea has intensified due to the aging and decrease of the population. This is resulting in difficulties in finding workers and has added to the difficulty in producing crops. Therefore, to solve the labor shortage problem of onion growers, a stem cutter for harvesting onions was developed and attached to an agricultural tractor in this study. The number of engine revolutions varies slightly, and the change in power take-off (PTO) increases with the number of engine revolutions. When fixing the PTO at 540 rpm, the rate of cut stems was 53.1%, the rate of uncut stems was 43.8%, the rate of extreme cuts was 3.1%, and the loss rate was 0%. At 1,800 rpm, the rate of cut stems was 64.1%, the rate of uncut stems was 31.3%, and the rate of extreme cuts was 0%. At 2,000 rpm, the rate of cut stems was 64.1%, the rate of uncut stems was 18.8%, the rate of polar cutting was 17.2%, and the loss rate was 0%. The work time of the onion stem cutter was 0.60 hours per 10a, which would have taken 10 hours to do manually. The cutter saved about 16 times more effort compared to manual labor. However, there is still a need for research to improve work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field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