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의약 분야의 2040년 델파이 기술예측조사 연구

        권수현,김동수,정근하,구기훈,김동준,우종민,안미영,허신희,권영규,Kwon, Soo Hyun,Kim, Dongsu,Chung, Keun Ha,Koo, Ki Hoon,Kim, Dongjoon,Woo, Jong-Min,Ahn, Mi Young,Heo, Shin Hee,Kwon, Young Kyu 대한예방한의학회 2016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20 No.2

        Objectives : This is a study for technological forecasting, aiming to find out the promising future technologies in KM(Korean Medicine) and deduc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M. Methods : The first pool of 145 technological tasks related to KM were composed by reviewing the existing data related to technological forecasting. The steering committee for the research set 99 final technological tasks. With the deduced technological tasks, mini-Delphi(2-round) method was conducted and 6 research items were used-the importance, realization time, urgency,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e main agent that will push forward the task, and obstacles. Results : As a result on the time when the technology will be realized, 58 out of 99 technologies(59%) were predicted to be realized in the same year domestically and globally. The average of the importance of the 99 technological tasks was 72.9. Among them. As for the main agent to push forwar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uture technologies,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took the highest portion at 58.7%, and regarding the obstacles to realize technological tasks, the lack of infrastructure(research funds) was the highest at 33.6%.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basic technologies in the technologies of Korean medicine is insufficient and it is believed that the development of basic technologies is urgent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ies.

      • 대공간 목구조시스템의 유형 분석 및 대안 연구

        권수현 ( Kwon Soo-hyun ),김도희 ( Kim Do-hui ),김윤미 ( Kim Yoon-mi ),김영민 ( Kim Yeong-mi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건축용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와 강재는 전 세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3∼5%를 차지한다. 반면,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온실가스 저장고로 사용이 가능하다. 목재는 구조성능과 내화, 단열성능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축물 디자인에도 유연한 재료이다. 목재를 현대 건축 프로그램의 요구사항 중 하나인 대공간에 접목함으로써 국내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국내외 사례를 통하여 적용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성운동과 정부, 그리고 여성정책의 동학

        권수현(Kwon Soo-hyu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1 아시아여성연구 Vol.50 No.1

        여성운동은 여성정책의 동학(dynamics)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행위자이다. 그런데 여성정책이 국가정책의 한 부분이라는 점에서 정부 또한 여성정책의 동학을 결정하는 중요행위자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민주주의 하에서 정부는 주기적 선거에 따라 교체되기 때문에 여성정책의 방향과 내용은 여성운동이 갖고 있는 역량(ability of women’s movement)의 크기와 함께 정부 당파성(government partisanship)에 따라 변화한다고 할 수 있다. 두 행위자의 관계에 따라 민주화 이후 한국 여성정책의 동학을 분석해 보면, 여성운동의 역량이 강하고 정부의 당파성이 보수적일 때(김영삼 정부)는 여성의 이해가 제한적으로 반영된 여성정책이 형성되었고, 여성운동의 역량이 강하고 정부 당파성이 진보적일 때(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는 젠더정체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여성정책이 변화했다. 한편, 여성운동의 역량이 약하고 정부 당파성이 보수적일 때(이명박 정부)는 여성정책이 후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비교정치학적 접근을 사용한 분석방법은 여성정책 동학의 일반적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여성운동이 실질적 전략ㆍ전술을 수립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Women’s movements are the main actors in affecting women’s policies. Governments, however, are also important actors because women’s policies are one part of policy areas in governments. Because governments are changed by periodic elections, the dynamics of women’s policies are affected and determined not only by the changes of the ability of women’s movements but also by the turnover of government partisanship. A case of South Korea will prove the dynamics of women’s policies occurred by interactions between women’s movements and government partisanship.

      • 대공간 목구조시스템의 유형 분석 및 대안 연구

        권수현 ( Kwon Soo-hyun ),김도희 ( Kim Do-hui ),김윤미 ( Kim Yoon-mi ),김영민 ( Kim Yeong-mi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건축용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와 강재는 전 세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3∼5%를 차지한다. 반면,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온실가스 저장고로 사용이 가능하다. 목재는 구조성능과 내화, 단열성능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축물 디자인에도 유연한 재료이다. 목재를 현대 건축 프로그램의 요구사항 중 하나인 대공간에 접목함으로써 국내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국내외 사례를 통하여 적용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피를 나눈 형제, 이웃보다 못한 친척?

        권수현(Soo Hyun Kwon),송영훈(Young Hoon Song)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5 OUGHTOPIA Vol.30 No.2

        본 연구는 분단 70년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이 어느 정도이며, 이러한 사회적 거리감에 개인이 갖고 있는 어떤 특징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2007년부터 2014년까지 통일의식조사를 활용한 분석 결과, 남한주민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별로 꺼리지 않음’과 ‘반반/그저 그렇다’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보다 개인적 책임에 부담이 적은 관계 맺기를 더 선호한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은 통일이 필요하다고 강하게 인식하는 사람일수록, 북한정권을 대화상대로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북한(주민)과의 경험이 많은 사람일수록, 수입이 많은 사람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반면,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은 사람일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한다. 흥미롭게도 단일민족을 강조하는 민족정체성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적 결과는 통일정책이 미래의 가치를 강조하는 것만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의 갈등 양상과 원인에 대한 분석에 기초해 수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determinants affect individuals’ social distance toward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The annual survey data of the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2007 to 2014 are employed for the OL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not only socio-cultural factors including unification consciousness, experiences with North Korea(n), perceptions on the North Korean government but also economic factors such as income are played crucial role in reducing individuals’ social distance toward North Korean settlers. However, the level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is likely to increase individuals’ social distance toward North Korean settlers. These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inter-Korean social integration policy should be based on comprehensive analyses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social conflicts which the Korean society has faced and will have to appropriately address.

      • KCI등재

        유적건조물 문화재 내의 복식 전시물에 대한 연구

        권수현(Soo Hyun Kwon),강순제(Soon Che Kang) 한국복식학회 2012 服飾 Vol.6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us of costume exhibitions displayed in architectural structures heritage today to examine if they play proper roles as visual materials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post-management for comfortable viewing.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makes costume exhibitions function as educational culture contents to let Korean and also foreign viewers know of our costume culture properly. As a research method, the database of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homepage was used to extract anything related to the lives of figures during the Chosun Dynasty among the architectural structures heritage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By doing so, the costume exhibitions were able to be examined among them. With field investigation and interviews of related institu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costume exhibitions, planning of exhibitions, and post-management. Also, they found costume exhibitions that were not right for the era, and suggested ways that were more appropriate for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third selection results, there were only six among 71 places where three districts of the architectural structures heritage were present. This is a very small quantity of places when compared with the total number of architectural structures heritage. Second, as a result of the current condition investigation, the costume exhibition in the Architectural Structures Heritage is not nearly enough for a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almost all polluted costumes were not displayed in suitable environments for an exhibition. Therefore, qualified managers who have expertise in exhibition planning were needed to be trained to do a post-management follow up.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systematically reorganize post-management methods. Third, the two selected places (Haepung-buwongun-yuntae-gyeong-jaesi and Sunaedong-gaok) were thought not to be right for the era among the six places with costume exhibitions, and suggestions such as flat-drawing and illustration were made.

      • KCI등재

        도시구성요소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권수현(Kwon, Soo-hyun),김승원(Kim, Seung-won),강준모(Kang jun-m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기후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주범이 이산화탄소임이 공식 선언됨에 따라 도시구성요소와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도시계획 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2002년과 2008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부문별로 구분하여 확인한 결과 산업, 상업공공, 수송부문은 증가한 반면 가정과 농업부문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2002년과 2008년을 비교한 결과 2008년에 상업 및 공업지역 밀도의 영향력이 낮아지고 1인당 차량등록수의 영향력이 높아짐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정책 및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도권 5개 지역으로 분류하여 확인한 결과 중부지역은 상업공공부문에서 높은 배출량을 보이며 수도권 서부, 북부, 동부, 남부지역에서 가정, 농업, 산업, 수송부문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중부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각 지역별 뚜렷한 배출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지역특성에 맞는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It has been confirmed that carbon dioxide is a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This study suggests urban planning guidelines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components and the carbon dioxide affecting climate change. First, the total carbon dioxide emissions in 2002 and in 2008 were categorized as 5 sectors. As results, carbon dioxide emission in industrial sector, commercial and public sector and transportation sector increased whereas that in household sector and agricultural sector decreased. Second,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components in 2002 and in 2008 were analyzed using a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in 2008, the effect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 density decreased 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vehicle registration per person increased, indicating carbon dioxide emissions are affected by the changes in policies and social environment. Third, the sector-specific carbon dioxide emissions were classified in 5 metropolitan areas and then analyzed. As results, in central area, commercial and public sector produced the most carbon dioxide; in western, northern, eastern and southern area, household, agriculture, industry and transportation sector produced more carbon dioxide than central area. These results evidently indicate area-specific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reby the necessity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measures.

      • KCI등재후보

        팜므파탈의 도상 연구

        권수현(Kwon Soo Hyun) 한국영화학회 2005 영화연구 Vol.0 No.27

        The male subjects have divided the world into dual systems of production/consumption, high-grade/low-grade, masculine/feminine, and the elite/the public, dominating the culture. Within the fixed frame, women have also been presented in specific dichotomous discourses, being labeled either 'good girls' or 'bad girls.'The images of women couldn't escape from the partial viewpoints of men. The recent diversification of social environment, however, has started to shake the deep-rooted dichotomous discourses down, which has been accompanied by postmodernism, consciousness of resistance, cultural pluralism, and subculture practicing their own kind of culture between the new emerging paradigms and thus being loved by minority groups, non-mainstreamers, and subculture class as well as active modem women. Mega-trends tend to be closely related to and complement each other. 'Women' are one of the mega-trends. The female mega-trend is perceived in two socio-cultural ways, one of which is erotic, liberating equipment of women and the other of which is disarmament of men. The trend is easily found in women magazines, novels written by contemporary authors, and TV drama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hanges to the external images of 'femme fatale' that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media products of bad girls judged by men. The images of femme fatale in films were classified in two kinds according to the subjects of viewpoints. The classical femme fatale viewed by men and the modem femme fatale viewed by women were reviewed for image characteristics. The two kinds of femme fatale are well explained in an essay by Laura Mulvey, who argued 'In the world in the order of sexual imbalance where visual pleasure is either active/masculine or passive/feminine, the reproduction of woman image in a film is bound to the viewpoints of men making the film.'The results regarding the changes to the femme fatale image will be of great help in interpreting the social status, roles, authority, and identity of women.

      • KCI등재
      • KCI등재

        허정숙의 여성론 재구성

        권수현(Kwon Soo-Hyun) 한국여성연구소 2010 페미니즘 연구 Vol.10 No.1

        1920~30년대 사회주의 여성운동가로 활동했으며 해방 이후에는 북한에서 여성 엘리트로 활동한 허정숙은 조선의 특수성을 고려한 여성론을 주장, 한국적 페미니즘의 토대를 마려하는 데 기여한 이론가 중 한 명이다. 허정숙의 여성론은 기본적으로 조선여성은 봉건적 억압과 자본주의 억압이라는 이중억압을 받고 있으며 이 두 가지 억압에서 모두 해방될 때 여성의 완전한 해방이 이뤄진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녀는 계급해방 이전에 성적해방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보았고, 이를 위해 여성들만의 독자적 운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녀는 조선여성의 인식이 아직까지 봉건적 관념에 얽매여 있으며 이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조선여성 자신의 개성에 대한 의식적 각성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하며 따라서 독자적 여성운동이 여성계몽운동에 집중할 것을 주장했다. 이러한 여성운동의 방향이나 방법은 허정숙의 조선여성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에서 출발한다. 그녀에게 인간은 감정을 통해 삶의 고통을 느끼고 그러한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번민하는 존재이다. 그런데 조선여성은 자본주의와 봉건제라는 이중 억압 하에서 감정도 갖지 못한 ‘노예’와 같은 존재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그녀는 조선여성이 인간이라는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삶에 대한 예민한 감정, 감정에 대한 자각을 가질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각 이후에는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상의 작은 억압에서부터 저항을 시작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여성운동과 여성지식인들은 조선여성들이 이러한 억압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여성들을 계몽하는 책임을 맡는다. 허정숙의 여성론은 ‘한국적’ 페미니즘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민족해방운동으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더 이상 진전되지 못했다. 또한 여성운동과 결별한 이후 그녀는 자신이 주장했던 여성론과 상반되게 봉건적 체제 하에서 반평생을 살아가는 모순적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는 허정숙 개인이 원래 이중적이고 모순적이었기보다는 허정숙이 살았던 시대의 이중성과 모순성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bout Heo Jeong-sook, who worked not only as a socialist feminis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20s~1930s but also as an elite in North Korea. I reconsider her thought of emancipation of women not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but from theoretical one. Heo Jeong-sook thought that because Chosun women were under several repressions (feudalism, patriarchy, capitalism, and colonialism), independent women’s movements would be needed for both sexual and class emancipations. There is ontological consideration about Chosun women in Heo Jeong-sook’s thought. At that point in time, the status and the state of Chosun women were lower than men and not treated like human beings, therefore, she labeled them as slaves. In her view, human beings were able to be concerned about lives of suffering and try to escape from such sufferings which could be felt by humans with senses. Therefore, she insisted on realizing Chosun women’s own keen senses and resisting the daily oppressions. Also, She stressed that Chosun women’s movement organization should act independently from male-centered class struggles organizations for women’s sexual emancipation. However, she acknowledged that women’s movement should join class struggle in the long run for completing perfect emancipation of women. Heo Jeong-sook worked as an official worker from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North Korea system until her death. She was elevated to a higher rank compared with other North Korean elite women and was commended as a woman revolutionary. However, her previous role as a socialist feminist and a fighter of oppression changed significantly. Instead, Heo Jeong-sook was a person who had a blind faith and vowed allegiance to Kim Il-sung and Kim Jung-il. Her lives between the colonized Chosun Dynasty and North Korea were totally different and opposite. She was not a person who had a twofold and self-contradictory character but a mirror of the Korean peninsula’s periodical contradiction where she li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