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음악적 개념 인식 및 이해수준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의 차이

        권수현(Kwon Su-hyun),박선미(Park Seon Mi)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 인식과 실제 이해를 살펴보고 자기 인식과 실제 이해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유치원 교사 302명이며, Kim, Lee, Kwon과 Park(2011)의 유아교사 음악적 개념 실제 이해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를 살펴본 결과, 경력이 4년 이상 8년 미만이고, 교육정도가 대학원 이상이며, 음악관련 현직교육을 수 강한 경험이 있고, 양성과정에서 음악관련 수업을 들었고, 음악을 매우 즐기고, 악기교육을 4년 이상 받 은 경험이 있는 경우 자신이 음악적 개념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았다. 둘째, 유치 원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경 력이 8년 이상이고, 교육정도가 대학원 이상이며, 근무기관이 국․공립 유치원이고, 음악관련 현직교육 을 수강한 경험이 있으며, 양성과정에서 음악관련 수업을 들었고, 악기교육을 4년 이상 받은 경험이 있 는 경우에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가 높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 과 실제이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아는 것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perception and actual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concepts according to six variables and to compare their self-perception with their actual understand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2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measurement developed by Kim, Lee, Kwon & Park(2011). The results show, first, in terms of the teachers’ self-perception of the musical concepts related to the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the variables except for the types of kindergarten. In general, the teachers who had longer teaching career (4-8 years), higher educational level (graduate school or above), took music education related course(s) during pre-service education years, had taken music-related course(s) through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the more enjoyed music, had higher understanding about the musical concepts. Also, the teachers who had more learning experiences in musical instrument (over 4 years) had higher understanding about the musical concepts. Second, in terms of the teachers’ content knowledge of the musical concepts depending on th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all of the variables except for the level of enjoying music. In other words, in general, the teachers who had longer teaching career (over 8 years), higher educational level (graduate school or above), worked in national public kindergarten, took music education course(s) during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and had more learning experiences in musical instrument (over 4 years) showed higher understanding level about the musical concepts. Third,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knowledge in the musical concep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of their actual knowledge.; there was a considerable gap between perceived knowledge and actual knowledge of musical concepts.

      • KCI등재

        한의약 분야의 2040년 델파이 기술예측조사 연구

        권수현,김동수,정근하,구기훈,김동준,우종민,안미영,허신희,권영규,Kwon, Soo Hyun,Kim, Dongsu,Chung, Keun Ha,Koo, Ki Hoon,Kim, Dongjoon,Woo, Jong-Min,Ahn, Mi Young,Heo, Shin Hee,Kwon, Young Kyu 대한예방한의학회 2016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20 No.2

        Objectives : This is a study for technological forecasting, aiming to find out the promising future technologies in KM(Korean Medicine) and deduc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M. Methods : The first pool of 145 technological tasks related to KM were composed by reviewing the existing data related to technological forecasting. The steering committee for the research set 99 final technological tasks. With the deduced technological tasks, mini-Delphi(2-round) method was conducted and 6 research items were used-the importance, realization time, urgency,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e main agent that will push forward the task, and obstacles. Results : As a result on the time when the technology will be realized, 58 out of 99 technologies(59%) were predicted to be realized in the same year domestically and globally. The average of the importance of the 99 technological tasks was 72.9. Among them. As for the main agent to push forwar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uture technologies,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took the highest portion at 58.7%, and regarding the obstacles to realize technological tasks, the lack of infrastructure(research funds) was the highest at 33.6%.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basic technologies in the technologies of Korean medicine is insufficient and it is believed that the development of basic technologies is urgent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i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및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와 음악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최정아(Choi Jeong Ah),권수현(Kwon Su Hyun),유주연(Ryu Joo-ye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및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와 음악교수 효능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에 위치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201명이었으며, 연구 도구는 Svengalis(1978)가 개발하고 Philips(2002)가 수정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 Kim, Lee, Kwon과 Park(2011)이 개발한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 실제이해 측정 도구’,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하고 방은영, 박찬옥(2005)이 수정한 ‘음악교수 효능감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 념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교수 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 음악교수 효능 감은 대체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 전체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음악교수 능력에 대한 신념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이 더 큰 영향력을 미쳤고, 결과에 대한 기대감은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만이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1) examin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2)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nd influence among them.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0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in Gyeongnam, Korea. The measure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Concept in Music Scale (SCIM), the scale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MTEB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were about the average, besides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Thir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lf-concept in music and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mong the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the belief of music teaching ability' and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had more influence on 'the beliefs of music teaching ability'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was the only influential factor on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 KCI등재

        도시구성요소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권수현(Kwon, Soo-hyun),김승원(Kim, Seung-won),강준모(Kang jun-m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기후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주범이 이산화탄소임이 공식 선언됨에 따라 도시구성요소와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도시계획 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2002년과 2008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부문별로 구분하여 확인한 결과 산업, 상업공공, 수송부문은 증가한 반면 가정과 농업부문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2002년과 2008년을 비교한 결과 2008년에 상업 및 공업지역 밀도의 영향력이 낮아지고 1인당 차량등록수의 영향력이 높아짐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정책 및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도권 5개 지역으로 분류하여 확인한 결과 중부지역은 상업공공부문에서 높은 배출량을 보이며 수도권 서부, 북부, 동부, 남부지역에서 가정, 농업, 산업, 수송부문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중부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각 지역별 뚜렷한 배출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지역특성에 맞는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It has been confirmed that carbon dioxide is a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This study suggests urban planning guidelines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components and the carbon dioxide affecting climate change. First, the total carbon dioxide emissions in 2002 and in 2008 were categorized as 5 sectors. As results, carbon dioxide emission in industrial sector, commercial and public sector and transportation sector increased whereas that in household sector and agricultural sector decreased. Second, carbon dioxide emission and urban components in 2002 and in 2008 were analyzed using a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in 2008, the effect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 density decreased 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vehicle registration per person increased, indicating carbon dioxide emissions are affected by the changes in policies and social environment. Third, the sector-specific carbon dioxide emissions were classified in 5 metropolitan areas and then analyzed. As results, in central area, commercial and public sector produced the most carbon dioxide; in western, northern, eastern and southern area, household, agriculture, industry and transportation sector produced more carbon dioxide than central area. These results evidently indicate area-specific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reby the necessity of carbon emission reduction measures.

      • KCI등재

        Rasch 모형을 통한 유치원 교사 회복탄력성 척도 개발

        권수현 ( Su Hyun Kwon ),이승연 ( Seung Yeo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is study describe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rating scale to assess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using the Rasch model and then of verifying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First, the procedure for developing a Kindergarten Teacher Resilience Scale began wit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four focus group interviews (consisting of kindergarten teachers with various educational backgrounds, teaching experiences, and resilience levels), and specialist conferences, and culminated in developing the first draft (106 items) and the second draft (76 items) of the scale. The scale consisted of two main factors and seven sub-factors: internal factor (psychological, behavioral, cognitive, and social factor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 (personal environmental, relational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Next, the third draft of the scale was completed through a pilot study of 95 kindergarten teachers. Then, using the data collection of 437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third draft of the scale and based on the item analysis results using Andrich’s Rating Scale Model and infit-outfit MNSQ, the final 47 items were settled to assess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the developed Kindergarten Teacher Resilience Scale was tested to verify its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and validity (content and criterion-related). In terms of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was revealed to be acceptably high (Cronbach’s alpha=.94), and a significant association (r=.85) between test and retest scores was found. In terms of validity, four specialists (professors and researchers) reviewed the scale and confirmed its conte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r=.78, p<.01) and the Resilience Quotient Test (r=.54, p<.01). Through these validation measures, the Kindergarten Teacher Resilience Scale (KTRS) was proven to be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to assess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with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유치원 교사 회복탄력성 척도(KTRS)’를 개발하고,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척도 시안 개발 절차를 거쳐 1차 시안, 2차 시안을 개발하고, 유치원 교사 95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여 55개 문항의 3차 시안을 완성하였다. 최종문항의 선정을 위해 실시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공·사립 유치원 교사 437명을 표집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3차 시안을 배부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평정척도 범주 적절성 분석(Rating Scale Model: RSM)과 문항 적합도 분석(infit-outfit MNSQ)을 실시하여 47개 문항의 최종 척도를 확정하였다. 둘째,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종 척도의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Cronbach’sa)는 .94로 나타났으며, 재검사 신뢰도(r)는 .85로 나타나 본 척도가 안정적이고 일관성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회복탄력성 관련 연구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 전공 교수 및 연구자로 구성된 전문가 검토를 통해 내용타당도가 있음이 검증되었고, ‘심리적 안녕감 척도(PWS)’와 일반인 대상으로 개발된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QT)’를 외적 준거로 한 준거타당도에서 상관계수가 각각 .78(p<.01), .54(p<.01)로 나타나 타당한 척도임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

        문화적 지평에서 바라본 생물학적 성 담론

        권수현(Kwon Su-Hyeon)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3 No.-

        본 논문은 인간의 생물학적 본성에 기초하는 성 담론의 진리와 이데올로기를 밝히고자 한다. 유전자와 문화의 공동 진화로 요약되는 사회생물학의 비전은 흔히 두 마리의 토끼를 잡으려는 헛된 노력으로 비추어지거나 특정 정치적 세력의 정당화하는 것으로 이해되곤 한다. 이러한 부정적 반응의 배후에는 이성에 대한 근대계몽의 열광적인 신뢰와 이 신뢰를 배반하고 이성의 도구화와 이성 도착현상을 불러온 근대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대한 불신이 존재하며, 이성의 해체를 주장하는 탈 근대적 냉소가 있다. 본 논문은 비 환원론적 비판 해석학의 방법을 성 담론이라는 특수한 분야에 적용시켜 문화적 지평에서 생물학적 지식이 생성되고 흡수되는 방식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인간해방을 위한 성 담론 형성에 생물학적 지식이 차지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그 한계와 가능성을 밝힌다. 먼저 과학적 객관성으로 대표되는 근대의 축소된 이성이 실증주의의 신화 속에서 근대의성 담론을 어떻게 왜곡해왔는가를 살피며, 동시에 이에 대한 저항으로서 등장한 탈 근대적 페미니즘이 지니는 해체주의적 독해의 한계 또한 밝힌다. 그 다음 대상의 객관성에 대해 맹신하는 실증주의적 근대나 이를 완전히 도외시하고 있는 탈 근대적 해체 작업 역시 마찬가지로 진정한 근대성을 표현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인간해방을 꿈꾸는 근대 계몽의 정신은 미완의 기획으로 아직도 진행 중임을 논증한다.

      • KCI등재

        피를 나눈 형제, 이웃보다 못한 친척?

        권수현(Soo Hyun Kwon),송영훈(Young Hoon Song)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5 OUGHTOPIA Vol.30 No.2

        본 연구는 분단 70년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이 어느 정도이며, 이러한 사회적 거리감에 개인이 갖고 있는 어떤 특징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2007년부터 2014년까지 통일의식조사를 활용한 분석 결과, 남한주민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별로 꺼리지 않음’과 ‘반반/그저 그렇다’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보다 개인적 책임에 부담이 적은 관계 맺기를 더 선호한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은 통일이 필요하다고 강하게 인식하는 사람일수록, 북한정권을 대화상대로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북한(주민)과의 경험이 많은 사람일수록, 수입이 많은 사람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반면,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은 사람일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한다. 흥미롭게도 단일민족을 강조하는 민족정체성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적 결과는 통일정책이 미래의 가치를 강조하는 것만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의 갈등 양상과 원인에 대한 분석에 기초해 수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determinants affect individuals’ social distance toward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The annual survey data of the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2007 to 2014 are employed for the OL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not only socio-cultural factors including unification consciousness, experiences with North Korea(n), perceptions on the North Korean government but also economic factors such as income are played crucial role in reducing individuals’ social distance toward North Korean settlers. However, the level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is likely to increase individuals’ social distance toward North Korean settlers. These empirical results imply that inter-Korean social integration policy should be based on comprehensive analyses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social conflicts which the Korean society has faced and will have to appropriately address.

      • 대공간 목구조시스템의 유형 분석 및 대안 연구

        권수현 ( Kwon Soo-hyun ),김도희 ( Kim Do-hui ),김윤미 ( Kim Yoon-mi ),김영민 ( Kim Yeong-mi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1

        건축용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와 강재는 전 세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3∼5%를 차지한다. 반면,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온실가스 저장고로 사용이 가능하다. 목재는 구조성능과 내화, 단열성능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축물 디자인에도 유연한 재료이다. 목재를 현대 건축 프로그램의 요구사항 중 하나인 대공간에 접목함으로써 국내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국내외 사례를 통하여 적용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성정책 법안에 대한 제17ㆍ18대 국회의원 투표행태 분석

        권수현(Soo Hyun Kwon) 한국여성학회 2015 한국여성학 Vol.31 No.4

        본 연구는 의원들의 투표행태에 있어 남녀의 차이뿐 아니라 여성들 간에도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제17대와 제18대 국회를 통과한 여성정책 법안들의 표결데이터를 활용해 의원들의 투표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경험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첫째 제17대 국회에서는 남녀의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투표행태의 차이가 존재하는 반면, 제18대 국회에서는 그러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17대 국회에서 나타난 남녀 간의 차이는 보수정당 여성의원과 진보정당 남성의원 간의 차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보정당 남성의원이 보수정당 남성의원보다 여성정책 법안에 대해 찬성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지만 진보정당과 보수정당 남성의원 모두 소속 정당의 위치가 야당일 경우에 여성정책 법안에 대해 반대하는 경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수정당 여성의원이 진보정당 여성의원보다 정치적 맥락의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정책 법안이라 할지라도 남녀의원의 투표행태에 있어 젠더와 함께 정당의 당파성이나 정당의 위치 등과 같은 정치적 요인과 맥락이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legislators and among women legislators in legislative voting behaviour. An analysis of roll-call votes in the 17th and 18th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reveals that not only are women legislators different from men legislators in legislative voting behaviour but women legislators also behav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party`s partisanship or whether their party is government party or opposition party. Especially, men legislators in progressive parties show different voting behavior compared with other legislators. These results mean although women legislators are more interested in women`s issues and polices than men legislators, women legislators are not freed from party politics and political context. Also it shows that men legislators are also likely to become good supporters or partners for improving gender equali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권수현(Kwon Su Hyu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1 육아지원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가지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고,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4년제와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예정인 예비유아교사 4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 사용된 Reivich와 Shatte(2003)의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tient Test: RQT)는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낙관성, 원인분석력,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적극적 도전성의 하위요인을 포함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난 하위요인은 공감능력이며, 낙관성, 충동통제력, 자기효능감, 정서조절력, 원인분석력, 적극적 도전성의 순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인 연령, 교직 예상 기간, 멘토 수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적 변인에 있어서 연령이 높을수록, 교직 예상 기간이 길수록, 멘토의 수가 많을수록 회복 탄력성 전체 혹은 하위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verall aspect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4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didates were students of university and a 3 year course college. The research tool that was utilized is called RQT(Resilience Quotient Test) developed by Reivich and Shatt(2003). In RQT, resilience includes subordinate factors such as emotion regulation, impulse control, optimism, causal analysis, empathy, self-efficacy and reaching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scores (total and subordinate factors) was above averag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highest score was empathy, followed by optimism, impulse control, self-efficacy, emotion regulation, causal analysis, and reaching out in the order mentioned. Second, all of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age, estimated teaching career, and the number of mentor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total) and each of subordinate factors. In other words, teachers who are older, longer estimated teaching career, and the higher number of mentor career display higher resilience or subordinate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