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음악적 개념 인식 및 이해수준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의 차이

        권수현(Kwon Su-hyun),박선미(Park Seon Mi)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 인식과 실제 이해를 살펴보고 자기 인식과 실제 이해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유치원 교사 302명이며, Kim, Lee, Kwon과 Park(2011)의 유아교사 음악적 개념 실제 이해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를 살펴본 결과, 경력이 4년 이상 8년 미만이고, 교육정도가 대학원 이상이며, 음악관련 현직교육을 수 강한 경험이 있고, 양성과정에서 음악관련 수업을 들었고, 음악을 매우 즐기고, 악기교육을 4년 이상 받 은 경험이 있는 경우 자신이 음악적 개념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았다. 둘째, 유치 원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경 력이 8년 이상이고, 교육정도가 대학원 이상이며, 근무기관이 국․공립 유치원이고, 음악관련 현직교육 을 수강한 경험이 있으며, 양성과정에서 음악관련 수업을 들었고, 악기교육을 4년 이상 받은 경험이 있 는 경우에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가 높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 과 실제이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아는 것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perception and actual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concepts according to six variables and to compare their self-perception with their actual understand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2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measurement developed by Kim, Lee, Kwon & Park(2011). The results show, first, in terms of the teachers’ self-perception of the musical concepts related to the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the variables except for the types of kindergarten. In general, the teachers who had longer teaching career (4-8 years), higher educational level (graduate school or above), took music education related course(s) during pre-service education years, had taken music-related course(s) through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the more enjoyed music, had higher understanding about the musical concepts. Also, the teachers who had more learning experiences in musical instrument (over 4 years) had higher understanding about the musical concepts. Second, in terms of the teachers’ content knowledge of the musical concepts depending on th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all of the variables except for the level of enjoying music. In other words, in general, the teachers who had longer teaching career (over 8 years), higher educational level (graduate school or above), worked in national public kindergarten, took music education course(s) during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and had more learning experiences in musical instrument (over 4 years) showed higher understanding level about the musical concepts. Third,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knowledge in the musical concep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of their actual knowledge.; there was a considerable gap between perceived knowledge and actual knowledge of musical concepts.

      • KCI등재

        한의약 분야의 2040년 델파이 기술예측조사 연구

        권수현,김동수,정근하,구기훈,김동준,우종민,안미영,허신희,권영규,Kwon, Soo Hyun,Kim, Dongsu,Chung, Keun Ha,Koo, Ki Hoon,Kim, Dongjoon,Woo, Jong-Min,Ahn, Mi Young,Heo, Shin Hee,Kwon, Young Kyu 대한예방한의학회 2016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20 No.2

        Objectives : This is a study for technological forecasting, aiming to find out the promising future technologies in KM(Korean Medicine) and deduc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M. Methods : The first pool of 145 technological tasks related to KM were composed by reviewing the existing data related to technological forecasting. The steering committee for the research set 99 final technological tasks. With the deduced technological tasks, mini-Delphi(2-round) method was conducted and 6 research items were used-the importance, realization time, urgency,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e main agent that will push forward the task, and obstacles. Results : As a result on the time when the technology will be realized, 58 out of 99 technologies(59%) were predicted to be realized in the same year domestically and globally. The average of the importance of the 99 technological tasks was 72.9. Among them. As for the main agent to push forwar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uture technologies,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took the highest portion at 58.7%, and regarding the obstacles to realize technological tasks, the lack of infrastructure(research funds) was the highest at 33.6%.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basic technologies in the technologies of Korean medicine is insufficient and it is believed that the development of basic technologies is urgent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i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및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와 음악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최정아(Choi Jeong Ah),권수현(Kwon Su Hyun),유주연(Ryu Joo-ye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및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와 음악교수 효능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에 위치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201명이었으며, 연구 도구는 Svengalis(1978)가 개발하고 Philips(2002)가 수정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 Kim, Lee, Kwon과 Park(2011)이 개발한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 실제이해 측정 도구’,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하고 방은영, 박찬옥(2005)이 수정한 ‘음악교수 효능감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 념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교수 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 음악교수 효능 감은 대체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 전체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음악교수 능력에 대한 신념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이 더 큰 영향력을 미쳤고, 결과에 대한 기대감은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만이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1) examin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2)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nd influence among them.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0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in Gyeongnam, Korea. The measure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Concept in Music Scale (SCIM), the scale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MTEB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were about the average, besides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Thir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lf-concept in music and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mong the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the belief of music teaching ability' and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had more influence on 'the beliefs of music teaching ability'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was the only influential factor on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 KCI등재후보

        과학기술과 목적합리성

        권수현(Kwon Su-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4 사회와 철학 Vol.0 No.7

        근대 계몽 정신의 총아로서 합리성과 객관성을 지향하는 과학적 인식은 흔히 자연주의적 입장에서 이해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자연주의적 이해를 비판하고 과학적 인식의 성격이 오히려 언어적 행위와 비언어적 행위를 포괄하는 ‘행위Handlung’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올바르게 규명될 수 있음을 보이려 한다. 이를 위해 과학적 인식이란 ‘행위의 업적물’이라는 관점이 과학적 인식의 규범적 성격에 대한 지적과 더불어 주장되며 과학적 인식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비판은 행위를 근간으로 한 ‘문화’의 관점에서 방법론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강조된다. 즉 문화란 총체적인 삶의 형태로서 정형화된 행위들과 그 양식을 바탕으로 한 '삶의 실천Lebenspraxis’과 ‘제도Institutionen’들로 이루어진다고 이해할 때, 과학적 인식은 삶을 영위하는 행위의 틀이라는 문화와 유기적 연관 속에 있으며, 결국 이러한 문화의 지평 속에서 과학적 인식이 가지는 도구성과 합목적성의 의미를 ‘의미합리적sinnrational’인 차원에서 반성하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른 지평의 보편성 획득과 문화상대주의의 극복을 위해서 ‘해석학적’ 노력이 요청된다.

      • KCI등재

        자유의지와 윤리적 책임

        권수현(Kwon Su-hyeo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8 사회와 철학 Vol.0 No.15

        오늘날 자유는 우리 모두에게 보편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인간은 행위 하는 자로서 그리고 행위의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는 자로서 자유롭다. 그러나 최근의 자연과학적 성과는 우리의 ‘자유’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신경생물학과 인지과학은 경험적 자료에 기초해서 행위의 결정을 뇌의 신경적 사건의 인과적 결과물로 증명하려 한다. 형태 생리학자 로스는 자유의지와 이에 따른 책임의 문제를 더 이상 현대 뇌 연구와 심리학이 지지할 수 없는 방식으로 증명하려 할것이 아니라, 대신에 인격적 책임과 도덕적 죄의 개념을 포기하고 범죄자들을 확실히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처치와 수단에 집중하자고 제안한다. 이렇게 사실로 축소된 자연주의적 세계관에 마주하여 파우엔은 자유의지와 결정론이 양립가능하다는 입장에서 자유의지나 자기의식이 자연적 속성이나 능력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인정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행위의 인과성을 모두 밝혀낸다 하더라도 생활세계의 실천적 차원에서 행위의 정당성은 결코 포기할 수 없음을 논증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자유의지와 책임의 문제가 신경생리학이나 심리학의 경험대상 영역을 넘어서는 정신적인 영역에 관한 것임을 밝히며, 이러한 범주 구분을 통해 자유와 결정론의 긴장관계가 대립적 모순관계에서 벗어나 상호보완의 관계로 모습을 드러낼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권수현(Su Hyeon Kwo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자살에 대한 태도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중립적인 태도를 고수하고 로마인들은 찬미하며 기독교 초기에는 열광했다. 그 열광은 중세의 기독교에서 죄악시와 혐오감으로 변질되고 르네상스를 지나 근대에 이르기까지 정신이상과 도덕적 타락으로 배척했다. 18세기 들어서야 자살을 더 이상 범죄시 하지 않고, 이후 사회과학의 탐구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자발적 죽음을 사회적 병리현상으로서 ‘자기 살해’와 인간 자유의 행사로서 ‘자유죽음’의 두 측면으로 다룬다. 그리고 자유죽음의 관점에서 삶의 완성을 위해 죽음을 미리 숙고하기, 즉 ‘죽음의 연습’을 논한다. 논문의 첫 단계에서 생명연장찬성론과 생명연장반대론의 논쟁점을 살펴봄으로써, 생명연장찬성론이 설득력을 지닐 수 있다면 그 내용은 무엇인지,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설득력에 맞서서 생명연장 반대론을 어떻게 주장할 수 있는지 탐색한다. 그 다음에 자살의 역사를 조명한다. 자살의 대한 판단의 역사적 변천을 통해 자살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절대적이 아니라 상대적임을 보인다. 이와 함께 개념적 차원에서 자살의 정의를 둘러싼 문제를 다루며, 자살의 개념적 확장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죽음의 연습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기며, 인간적인 사건으로서 자유죽음을 규명한다. Attitudes toward suicide have been changing with times and cultures. The ancient Greeks took a neutral attitude toward suicide; the ancient Romans praised it, and even the First Christians became enthusiastic about it. But in the medieval Christianity this enthusiasm altered to a vice and abhorrence, so that from the Renaissance to the early modern period, suicide has been excluded as an insanity and a moral corruption. It was not until the 18th century that suicide became not a crime. Afterwards suicide began to be realized as an object of social scientific research. This article concerns two aspects of voluntary death, namely suicide as an phenomenon of social pathology, and as ‘Freitod’, an act of Freedom of human beings. From the aspect of ‘Freitod’, the article considers the rehearsal for death (meletē thanatou) related to the completion of life. The first step for this maintenance examines some controversial issues between pro and contra side over the artificial prolongation of human life, and thereby discusses, which arguments make the pro side more persuasive, and how the contra side can argue against those. And then taking a look at the history of suicide, I try to show that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suicide ist not absolute, but relative. I deal with the issue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suicide from the conceptual point of view, and further suggest an conceptual extension of suicide. Finally,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rehearsal for death(meletē thanatou), I try to establish ‘Freitod’ as a human issue.

      • KCI등재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권수현(Su Hyeon Kwo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5 사회와 철학 Vol.0 No.30

        죽음의 대척점에는 삶이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호흡과 맥박이 완전히 멈춘 심폐사를 죽음으로 인정해 왔던 반면에 현재 법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뇌사는 뇌의 완전한 기능정지만으로도 죽음의 판정이 가능하다. 뇌사를 인정하는 이유는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서 무의미한 첨단의료기술의 개입을 중단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장기이식을 위한 신선한 장기의 공급을 위해서이기도 하다. 이런 뇌사판정에는 윤리적, 법적 차원의 논쟁점뿐만 아니라 생물학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있어, 지속적인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죽음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생명의 생물학적 정의를 통해서 살펴보면서, ‘생명’과 ‘죽음’이 ‘그 자체로 본질적인’ 실체에 대한 개념이 아니라 일련의 과정임을, 그리고 복합적 특징을 갖는 통합적 메타개념임을 밝힌다. 생명과 죽음은 개념적으로 모순대립의 성격을 가지며 서로가 서로를 배제하지만 인간의 죽음에는 뇌사와 같이 죽어가는 과정인 중간 영역이 존재한다. 그래서 인간의 죽음은 생물학적 죽음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죽음이 생물학적 사건인 동시에 규범적 사건이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이전에 죽음은 친숙한 자연현상이었으며 죽어가는 자가 자신의 죽음에 대한 주도권을 갖고 이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죽음은 불쾌와 혐오의 대상으로 변화하며 일종의 질병으로 간주되기 시작하였다. 죽음을 극복하고 은폐하는 공간으로서 병원이 등장하여 죽음의 의료화가 진행되는 동안 사람들은 철저히 자신의 죽음으로부터 소외되어 왔다. 죽음의 존엄성을 되살리고 인간적인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요하다. 죽음에 대한 담론이 공론장에서 활성화되고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인정되어야 한다. At the antipode of death is life. While cardiac arrest, which happens when your heart stops pumping blood around your body, was traditionally acknowledged as death, it is today legally admitted that brain death, nam ely the loss of brain function, can be determined as death. The reason why brain death is admitted, is to interrupt meaningless intervention of advanced medical technologies in incurable and irreversible conditions. Furthermore, it is to provide fresh organs for organ transplantation. The determination of brain death is continuously at issue not only because of its ethical and legal controversy, but also because of unsettled biological problem s. In this article I will argue that life and death as such are no concepts of entity, but meta-concepts which are about processes and have complex characteristics, examining the question of w hat is death with regard to biological definition of life. Life and death are conceptually opposites and exclude each other, but in the death of hum an beings there is a grey zone pertaining to dying processes like brain death. The hum an death does not mean just a biological death, because it is not only biological, but also normative event. Before the full-fledged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death w as a natural phenomenon, and dying persons took the initiative on his own death and accepted his death. However, after the 19th century death became the object of obnoxiousness and loathing, began to be deem ed a kind of disease, and hospitals emerged as a space that could cover death. As a result, humans have been alienated thoroughly from their ow n death. So it is necessary to revive the dignity of death and to change in oder to meet one’s death. For this it is necessary to stir discourse on hum an death and to concede the self-determination of death.

      • KCI등재

        한국의 여성대표성 법제도의 변화·효과·한계 그리고 개혁의 조건들

        권수현 ( Soo Hyun Kwon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21 의정연구 Vol.27 No.1

        It has been 20 years since the gender quota system for expanding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was enacted. However, the proportion of Korean women’s representatives has not exceeded 20 percen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gender quota system, public funding for women candidates, and public funding for women’s development, which are the three pillars of the legal system to expand women’s representation, have changed systematically over the past 20 years, how they affected women’s representation, and what institutional limitations they have. In addition, it explores the im/possible conditions of reforms for expanding women’s representation. To reform the legal system for women’s represent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Korea’s political system is arranged in a gender-based way in a male-dominated structure, while also understanding that the existence of critical actors and mass driving reforms for gender equality in politics is essential.

      • 대공간 목구조시스템의 유형 분석 및 대안 연구

        권수현 ( Kwon Soo-hyun ),김도희 ( Kim Do-hui ),김윤미 ( Kim Yoon-mi ),김영민 ( Kim Yeong-mi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5 No.1

        건축용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와 강재는 전 세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3∼5%를 차지한다. 반면,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온실가스 저장고로 사용이 가능하다. 목재는 구조성능과 내화, 단열성능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축물 디자인에도 유연한 재료이다. 목재를 현대 건축 프로그램의 요구사항 중 하나인 대공간에 접목함으로써 국내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국내외 사례를 통하여 적용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과 공감의 정서

        권수현(Kwon, Su-Hy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8

        학교폭력은 한국사회의 뜨거운 감자이다. 학교폭력에 대한 염려가 일상적인 사회는 삶의 기본 안전망 자체가 흔들리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학교폭력의 예방대책은 학생들로 하여금 세상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획득하게 하는데서 시작한다. 인식의 성립은 타인과의 공감을 선행적으로 요구하며 인식의 객관성은 얼마나 다양한 사람들과 다양한 삶의 형식을 공감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학교폭력의 사후 대책방안도 이에 맞춰 피해자 보상과 가해자 처벌 위주의 응보적 방식이 아닌 피해학생의 상처회복과 가해학생의 선도 그리고 학교공동체가 다시 통합될 수 있도록 회복적 방식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교가 교육의 장이어야 하고, 교육의 내용뿐만 아니라 교육의 방법도 교육적이어야 한다. 교육은 삶과 앎의 통합이다. 먼저 학교폭력을 교육적으로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교육의 시작이다. 교육영역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널리 퍼진 물화를 극복하고 정서적 교감을 통한 인정과 상호 공감을 이끌어내는 교육의 중요성에 눈을 돌려야 할 때이다. In Korean society school violences have become an Issue like a hat potato. For a society prevailed by anxiety about school violences means one in which social safety net of life itself shakes. Preventive measures of school violences can launch to let the students acquire an objective perception of the world. And in oder to establish such perception is an empathy with others as a condition precedent required, that is, the possibility of an objective perception hinges on how much you can empathize with different people and various taypes of life. Accordingly, the post-countermeasures of school violences should not focus on the retributive way based on compensating victims and punishing assailants, but rather on the restorative way oriented to heal wounds of victim students, to properly guide bully students, and to reintegrate the school community. To do that, the school has to be an educational venue; and not only education content, but also education methods have to be educational. Education is to integrate knowing and living. Therefore, the very start of education consists, first of all. in showing to solve school violences educatio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