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미디어 지형과 미디어의 인식연구: 사(私)적 중요도와 공(公)적 중요도에 대한 수용자 평가를 중심으로

        권상희,박인곤,김위근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 Vol.42 No.2

        본 연구는 멀티플랫폼 시대 개별 플랫폼이 가지는 인식을 측정한 연구이다. 개별 미디어가 가지는 매체적 특성에 대하여 수용자가 인식하는 매체별 개인적 중요도(사적공간유용성)와 사회적 중요도(공공, 공적 공간 형성미디어)를 측정하여 이들 미디어와 콘텐츠 사이의 연관성을 찾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신문, 잡지, 라디오, 지상파TV, CATV, 위성방송, 인터넷, 휴대전화, 위성DMB, 지상파DMB, IPTV의 개인적 중요도와 사회적 중요도 및 선호 콘텐츠를 살펴보기 위한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중요도와 사회적 중요도는 인터넷, 휴대전화, TV, 신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디어의 개인적 중요도와 사회적 중요도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분석에서는 수용자들이 인터넷, 휴대전화, 지상파TV, 신문을 주요 미디어로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개인적 중요도와 사회적 중요도에 따른 선호 콘텐츠 장르는 미디어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인적 중요도와 사회적 중요도는 미디어 정책 분야에서 미디어 분류를 위한 하나의 새로운 기준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인터넷 정치문화 인식과 참여에 관한 탐색적 연구 -O1-S-O2-R 모형적용을 중심으로

        권상희,김위근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온라인 네트워크사회의 도래에 따른 개인의 선유경향, 온라인 활동 변인이 정치문화 자본인 커뮤니케이션행위(인터넷 정치자본 정향성과 행위반응) 변화에 미치는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온라인 정치문화 자본과 정치행위의 분석에 적용된 O1-S-O2-R 모형 적용 중심으로 개인의 선유경향(O1)인 인구통계 변인과 개인 특성이 온라인 활동 변인(S)의 영향관계를 측정하여 이에 따른 온라인 정치행위의결과(2차적) 선유경향의 형성(O2)을 측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온라인 정치행위 변인(R)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전문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총 861명이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1차적인 선유경향은 온라인 활동정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정치 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적인 결과 정향성은 인터넷 이용자의 온라인 활동 중 인터넷 정치 행위 목적과 인터넷 정치 사이트 이용은 인터넷 여론 인식과 인터넷 댓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터넷 정치 참여 목적은 직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 인터넷 정치 정보 습득 목적은 간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정치 전문 사이트 이용은 직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 정치 뉴스 사이트 이용은 간접 인터넷 정치 참여0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치/시사 사이트 활동은 간접 인터넷 정치 참여 행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paper explores political communication in the online social network.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systematically the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on the Internet as an activity by applying the O1-S-O2-R model. This study is designed to survey as the study method; the target was male and female adults equal to or over the age of 19. A total of 861 respondents were considered for the final analysis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The data was conducted to test research questions by applying the O1-S-O2-R model, factors affecting awareness of politics on the Internet and political act on the Internet were empirically analyzed and described. The result of the analyses shows that there are related to between variables of the on the predisposition of Internet users to online activity in the online political activit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direct act of participation in politics through the Internet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ividual characteristics, purpose of political act on the Internet, use of a political Website, and awareness of comments on the Internet. In addition, political and current issues network sites activities are correlated to the indirect political activities.

      • 미디어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차원과 수용자의 시공간성(spatio-temporal)인식 비교 연구

        권상희 한국언론학회 2009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9 No.6-5

        본 연구는 미디어생태차원에서 미디어고유 양식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인식하는 상호작용성이 미디어 시간과 공간의 인식 차원에 관한 연구이다. 이을 위해 본 연구는 미디어 수용자가 인식 (상호작용, 시-공간인식)하는 미디어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디자인을 하였다. 상호작용차원과 시공간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307명의 응답자를 분석하였다. 연구설계에 따라 전통미디어와 사이버미디어로 대분류를 한 후 다시 미디어 장르별로 고정형/이동형과 음성/영상, 텍스트/이지를 중심으로 미디어를 선정하였다. 연구설계에 따른 상호작용성에 관한 측정한 결과 사용자들은 개별미디어를 사용하는 정도에 따라 다른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인지가 다르게 나타났다. 시각적인 상호작용, 청각적인 상호작용, 시청각적인 상호작용 결과에 따라 개별미디어의 공간성 (spatial)과 시간성(temporal)을 다르게 인지하였다. 연구결과는 전통미디어양식과 사이버미디어의 상호작용차원이 시공간성(spatio-temporal)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측정하였다.

      • KCI등재후보

        위험보도(Risk News)에 대한 프레임 분석 -일본 원전 사태관련 방사능 유출에 대한 미디어 프레임 분석

        권상희,김수진,장원정,안성명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의료커뮤니케이션 Vol.6 No.2

        This paper explores Korean newspapers’ (Chosun Ilbo, The Hankyoreh, The Science) frame analysis for Japan's Fukushima Daiichi nuclear risk reporting. The research is frame analysis from March 11 to April 22, 2011, total news coverages were 2012, and samples were 210. The news frame types are five frame factors including conflict frame, responsibility frame, human concerning frame, moral frame, economic important frame.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are 43.8% are reporting and prospecting (21.9%), ethic and moral (7.1%),and economic related (6.7%). In addition, there are accident causal related news coverage is 5.7%, public opinion is 4.3% and political implication is 3.3%. The overall reporting are neutral tone (46.7%), negative tone is 41.4%, and positive coverage is 11.9%. On the other hand, Chosun Ilbo has 50.8% news are 41.4% whereas The Hankyoreh has 38.1%, and the Science has 22.% as negative frame. The overall frame types are conflict frame coverage (31.0%), responsibility frame (20.5%), human interest frame (16.7%), economic important (13.3%), and moral frame (4.3%). Moreover, the episodic frame portions are more than thematic frame coverages.

      • 메타버스 (Metaverse) 장르에 따른 미디어 체험 자산 유형 연구

        권상희 한국방송학회 2022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4

        본연구는 이머징 모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Emerging Mode of Media and Communication)의 등장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 등장유형을 4사 분면으로 분류한 다음 이를 중심으로 유형에 따르는 사용자들의 이용 상황을 분석하고 초기 수용자들이 체험한 새로운 미디어로 형성된 미디어 자산(equity)을 측정하는 연구 디자인이다. 변인으로서 메타버스 유형과 이용하는 콘텐츠의 장을 바탕으로 그 체험 자산을 실증적으로 측정하는 연구이다. 메타버스 측정 변인으로 현실 공간과 가상공간이 융합(convergence)되어 나타난 사회적인 커뮤니케이션 현상으로 그 체험장을 4가지로 분류한다. 1) 증강 메타 버스이다. 이는 이 세상을 뛰어넘는 ‘메타버스 가상세계( Mixed Virtual World)’이다. 2) 거울 세계 메타버스이다. 물리적 세계를 가능한 사실적으로 재현하되 추가 정보를 더한 “정보 측면으로 확장된(informationally enhanced)”3) 다음은 현실의 기로인‘블로그 가상세계(The Life Loging World)’이다. 4) 다음은 실재성, 효율성, 네트워크성이 강조된 디지털 기술을 통해 현실의 경제 · 사회 · 정치적 세계를 확장시켜 유사하거나 혹은 대안적으로 구축한 세계‘사회적 가상세계(The Social VR meta verse)"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콘텐츠 체험 자산 유형으로 재구성하면 콘텐츠의 사회적 자산으로서 사회자본(social capital)과 이야기 문화자산(story cultural capital)으로 요인(factorial)으로 분류 할 수 있다.

      • 방송프로그램 장르간의 경쟁과 효용성연구: 지상파방송사와 뉴미디어방송간 프로그램경쟁 중심으로

        권상희,강영희,오경수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 Vol.42 No.1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용성 측면을 경쟁지표로 설정하여 플랫폼별 수용자가 인식하는 `중요도`를 측정한 연구이다. 연구설계를 바탕으로 총 533개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여 일차적으로 1) 전체 방송프로그램 장르에서 수용자가 인식하는 프로그램 효용성을 요인분석으로 추출한 이후 개별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적소 폭 단위로 측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효용성을 오락, 정보, 대인관계, 자아개발, 일상성의 측정단위로 하여 2) 전체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 적소를 이 다섯 개의 요인으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방송프로그램 적소단위는 보도, 교양, 오락을 대 분류로 하여, 개별방송 프로그램 장르별로 적소효용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개별방송사별 장르적소의 크기를 측정하여 3) 지상파방송(KBS, MBC, SBS)과 뉴미디어방송(케이블, 위성TV, DMB)의 프로그램 적소크기를 측정 비교하였다. 그 결과 지상파방송이 전반적인 보도, 교양의 적소가 높게 나타났고, 뉴미디어는 드라마 오락분야에 적소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나아가 방송사별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바탕으로 플랫폼의 중요도(개인적vs.사회적) 중요측정에서 지상파는 사회적중요성이 뉴미디어는 개인적인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