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비약물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구슬기(Koo, Seul-Gi),박혜연(Park, Hae-Yean),박지혁(Park, Ji-Hyuk)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ystematic review of th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f ADL improvement for dementia published in foreign journals for the past 10 years, and to provide general information on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and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o dementia expert in clinical practice. We searched published studies in the Medline Complete, PubMed Central, and Scopus databases from January 2007 to November 2016. The main keywords used Dementia AND (ADL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and total of 9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from 974 searched articles. The level of evidence were belonged to 3 each studies in Ⅰ~Ⅲ level. The mostly provide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were exercise, the study field was variety of areas including rehabilitation(occupational therapy, physical therapy), nursing, and psychology. The Barthel Index(BI) was most frequently used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on was most dependent variables measured with the ADL. Through this study, we provided evidence for the understanding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f ADL improvement for dementia.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helpful intervention needed for ADL training.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관련된 비약물 중재 논문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현장에서 근무 중인 치매 전문 인력에게 비약물 중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제공과 효과 적인 중재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문헌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개제된 국외 논문을 Medline Complete, PubMed Central, Scopus를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는“Dementia AND (ADL 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을 사용하였고, 검색된 974편의 논문 중본 연구에 적합한 9편의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의 질적 수준은 Ⅰ~Ⅲ에 각각 3편씩 속하였다. 운동과 관련된 비약물 중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연구는 재활분야(작업치료학, 물리치료학), 간호학, 심리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평가도구는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Barthel Index(BI)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동시에 가장 많이 측정된 종속변인은‘인지기 능’이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비약물 중재는 근거 기반의 중재를 제공할 수 있는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고, 비약물 중재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있을 것이며, 추후에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수행능력 훈련을 목표로 한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플래시 메모리 SSD를 이용한 알티베이스 확장 캐시의 구현

        구동현(Koo Dong-hyun),오기환(Oh Gi-hwan),구슬기(Koo Seul-ki),강운학(Kang Woon-hak),이상원(Lee Sang-won)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2C

        DB에서 일반적인 연산 중 가장 큰 시간을 소모하는 부분은 I/O 시간이다. 이를 줄이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최근 플래시 메모리 SSD가 상용화 되면서 SSD를 이용하여 I/O시간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진척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메모리와 디스크로 구성된 기존 계층구조에 플래시 메모리 SSD를 추가해서 메모리 버퍼의 확장 캐시로 사용하는 기법을 국산 DBMS인 알티베이스에서 설계 구현 방안을 설명한다. 성능평가 수행 결과 DB사이즈 대비 10%의 SSD를 사용하여 최대 220%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초기 치매 노인의 일상생활 참여 촉진을 위한 보호자 지침의 개발: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김서은(Kim, Seo-Eun),구슬기(Koo, Seul-Gi),박상미(Park, Sang-Mi),김정란(Kim, Jung-Ran)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2

        본 연구는 치매를 조기에 관리하기 위한 중재 방법의 일환으로, 초기 치매 노인을 위해 보호자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전문적 중재 내용을 포함한 초기 치매 노인의 일상생활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보호자 지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연구의 절차는 총 3단계로 진행하였다. 첫 단계는 1차 조사로, 외국의 치매 관련 협회나 정부부처에서 발행한 초기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참여 촉진 가이드 전략과 관련된 보고서 자료를 수집하여 지침 항목을 추출하여 번안 및 재구조화 한 후 3개 영역, 128개 항목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2차 조사로, 전문가 16인의 내용타당도 검증 및 항목 삭제, 영역 재분류, 내용 통합, 번역체 수정 등의 작업을 거쳤다. 세 번째 단계는 지침의 완성 단계로, 완성된 지침은 8개 영역, 68개 항목 으로 구성되었다: 환경수정 및 보조도구, 일상생활, 건강관리, 의사소통, 심리·정서적지지, 여가활동, 사회참여, 일반적 지침. 또한, 모든 항목은 각 영역 내에서 중요도 값이 높은 순서로 항목을 배치하였다. CVR 평균값은 0.81, 안정도 평균값은 0.15, 합의도 평균값은 0.79이다. 즉, 최종 지침 항목에 대한 델파이 의견이 안정되고, 합의되는 경향의 값을 보였다. 그리고 15명의 델파이 조사에서 CVR은 0.49이상, 안정도는 0.5미만인 경우 더 이상의 델파이 조사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초기 치매 노인의 일상생활 참여 촉진을 위한 보호자 지침은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는 초기 치매 노인의 독립성을 돕기 위해 보호자 교육용으로 안내하기에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고, 보호자의 부담을 줄일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aregiver guideline for participation in activities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with early dementia in home including easily adaptable and professional strategies as early intervetion.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3 stage. First stage, the development of preliminary caregiver guideline as the first stag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to Korean and reclassify the items about caregiver guideline for participation from reports of foreign association or government related dementia, and it consisted of 3 areas, 128 statements for questionnaire for Delphi investigation. Second stage, the guideline was to conduct the content validity, and delete, reclassify, integrate, revise inappropriate items through 2 rounds and 16 Delphi panels. Third stage, the establishment of the final version of caregiver guideline. It consisted of 8 areas: home modification and assistive device, home activities of daily living, health management, communication, psycho-emotional support, leisure activities, social participation, general strategies. All 68 items was arranged in important order. The content validity, stability, agreement index in this study were 0.81, 0.15, 0.79 respectively. When content validity, stability was above 0.49, below 0.5 in Delphi survey with 15 panels, it was not required additional survey. The result of this study meaned that it was not required to additional Delphi survey, and the result was stable and agreeable. This developed guideline was useful and practical to maintain the elderly s with dementia independent and healthy life as education materials for their caregivers, so it will expect to decrease caregiver s burden. Lastly, it stated limitation and suggestion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한국 민속놀이를 활용한 그룹 회상치료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연구

        정우연(Woo Youn Jung),구슬기(Seul Gi Koo),김영주(Young Ju Kim),이성아(Seong-A Lee),정효석(Hyu Seok Jeong),김도현(Do Hyun Kim),김경민(Kyung Min Kim),이정재(Jung Jae Lee),이석범(Seok Bum Lee)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23 노인정신의학 Vol.27 No.2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efficacy of group reminiscence therapy, incorporating traditional plays, for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dementia patients. Methods: We provided 10 sessions of group reminiscence therapy to 25 MCI and dementia patients. We conducted assessments, both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ncompassing a range of tests, namely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Dysexecutive Questionnaire, Zarit Burden Interview (ZBI-K), Dementia Care Assessment Packet-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K), and Neuropsychiatric Inventory (NPI-K). Results: Following the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MSE scores for MCI patients (19.17 to 22.33, p=0.027).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NPI-K scores for dementia patients (8.05 to 3.74, p=0.006).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GDS-K scores for MCI patients (17.00 to 14.00, p=0.043).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ZBIK scores for dementia (28.53 to 17.68, p=0.001) and MCI patients (29.17 to 16.33, p=0.046). Conclusion: Our study suggested that group reminiscence therapy based on traditional play might be effective in global cognition of MCI patients, neuro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patients, depression of MCI patients, and caregiver burden of all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