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학자의 시각에서 본 아담 스미스: 스미스의 사회경제사상에 대한 행정학적 해석

        구교준 한국행정학회 2010 韓國行政學報 Vol.44 No.1

        Adam Smith's economic liberalism is the most important ideology to influence academic and policy discourses throughout the industrialized era. The recent rise of neo-liberalism also has its roots in Adam Smith. However, Smith's thoughts ranged from economics and politics to ethics, law, and theology. Liberalism alone, therefore, is too narrow a definition. This paper aims to reinterpret Smith from the perspective of a public administration scholar. In particular, the paper uncovers new aspects of Smith that value “publicness” and the role of government.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최근까지의 산업경제를 지배했던 사상은 아담 스미스의 경제적 자유주의이다. 최근의 경제담론과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또한 그 뿌리를 스미스에 두고 있다. 스미스는 자유주의 사상과 경제체제의 발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인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스미스의 사상을 자유주의만으로 재단하는 것은 신학, 윤리학, 법학, 정치학, 경제학을 아우르는 종합학문적 성격을 띈 그의 사상을 너무 좁게 해석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본 연구는 지난 수세기 동안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로 추앙 받아 온 아담 스미스의 사상을 행정학자의 시각으로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그 동안 잊혀져 온 스미스의 또 다른 얼굴을 찾아보려 한다. 스미스의 사상은 현대 경제학이 담아내고 있는 것보다 보다 훨씬 깊고 광범위하다. 따라서 스미스에 대한 보다 균형 잡힌 이해를 위해서는 기존의 경제학적 해석으로부터 한 걸음 떨어져서 스미스를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행복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구교준,임재영,최슬기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5 정부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행복에 대한 기존의 광범위한 연구를 행복의 개념과 측정, 결정요인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재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그리스 철학의 두가지 접근인 hedonism과 eudaimonism을 적용하여 행복의 개념과 측정에 관한 경제학, 심리학, 정치학 등 사회과학전반의 논의를 정리하였다. 또한 개인적 수준 뿐 아니라 사회적 수준에서 행복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논의를 소개하였다.

      • KCI등재

        Regional capability and regional disparity: a conceptual framework and applications within Korea

        구교준,이희철 한국행정학회 2015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20 No.2

        Mainstream economic theories provide sophisticated framework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issues surrounding regional growth and disparity. However, they lack important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points. Most importantly, the performance of a regional economy is discussed only in monetary terms such as per capita income or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with little attention pai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the region. This study investigate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regional disparity. In particular, this study presents a new analytic framework based on the capability approach by Sen. The proposed capability-based analysis of regional disparity emphasizes five aspects of life that may influence residents’ ability to pursue what they want to do or to b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proposed sim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the marginal effect of income on life satisfaction may be augmented according to the levels of regional capabilities. In this regards, a conventional approach based on income and wealth alone in regional disparity research and policy may overlook important mediating roles of regional capabilities.

      • KCI등재

        수도권 공공기관 및 기업 지방이전 정책의 파급효과 비교 분석: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구교준,조광래 한국행정학회 2008 韓國行政學報 Vol.42 No.3

        Since the 1960’s,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experienced an explosive growth because of the economic success of Korea. However,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people and development activities have provoked significant urban problem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wo major policies to alleviate a wide variety of urban problems caused by the over-concentration of the capital region by relocating public institutions and firms outside of the capital region. These measures are expected to boost local economies in the target regions, leading to a more balanced growth in Korea. This study shows that the firm relocation policy based on the market mechanism is more effective than the public institutions relocation policy as a tool to facilitate local economies outside of the capital region. 1960년대 이래로 우리나라가 겪은 고속 성장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그러나 수도권의 지나친 집중과 발전은 교통, 환경문제 뿐 아니라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 확대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집중완화와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공공기관 및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 정책의 파급효과를 간단한 산업연관분석을 통하여 살펴본다. 강원도 사 례를 중심으로 한 분석 결과에 의하면 시장 메카니즘에 최종 이전 의사결정을 맡기고 있는 기업 이전 정책이 정부의 일방통행식 의사결정에 의존하고 있는 공공기관 이전 정책보다 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규모가 다른 공공기관과 기업 이전의 파급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일정 기준 단위당 파급효과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역시 기업 이전이 강원도에 미치는 영향이 공공기관 이전의 그것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 행복 취약계층 찾기

        구교준,김동욱 한국행정학회 2022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2

        본 연구에서는 행복 취약계층을 찾는 분석을 위해 통계적 방법론이 아닌 데이터 시각화 기법을 활용한다. 데이터 시각화는 정보를 산점도, 그래프 등과 같은 시각적인 요소로 나타내는 방법이며, 데이터 내 패턴 및 추 세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선형모형의 간결성으로 인한 정보 손실을 보완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기반으로 행복 소외계층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행복 연구에 가장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통계청 사회조사와 행정연구원의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를 통합하였다. 통합된 자료는 행복 수준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인 성별, 연령, 교육, 건강, 소득, 취업여부, 혼인상태에 따라 3,360개의 소집단으로 나누고, 데이터 시각화 기법을 통해 행복 취약계층을 시각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시각화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