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HP 기법 기반 진해만 태풍 피항지 내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김니은,이명기,교칸 참르율트,박도형,김대원,박영수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4

        Jinhae Bay is used as a major typhoon shelter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However, when a typhoon strikes, the Jinhae Bay is facing the possibility of marine accidents caused by dragging anchors and the increased number of ships. This paper suggested ways to safely and efficiently manage the port of Jinhae Bay when a typhoon strikes from Vessel traffic service operators in the sea, derived relative importance by conducting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ssessment to ship operators, and suggested safety measures reflecting manager and user opinions. In order to select safety measures factors for the AHP survey, VTS operators analyzed the evaluation of measures when a typhoon strikes in Jinhae Bay.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based on the selected safety measure factors, it was found that ship operators consider the safety of ships more than twice as important as efficient management, and comprehensively consider them in the order of management of evacuated ships, management of anchorage area, management of evacuation information, preparation regulations and guidelines, improvement of system equipment, education, publicity, and notification activities. Through the measures and relative importance identified in this paper, it is believed that Jinhae Bay can serve as the basis for safely and efficiently managing typhoon shelters. 진해만 해역은 태풍 내습 시에 우리나라 남동권 해역의 주요 태풍 피항지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태풍 내습 시 진해만 내 선박이 폭주하고 주묘가 다수 발생하는 등 해양사고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태풍 내습 시 진해만 피항지에 대해 안전 확보 및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해당 해역의 VTS 관제사로부터 도출하고, 이를 선박 운항자에게 AHP 기법을 통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여 관리자와 이용자 의견이 반영된 안전대책을 제시하였다. AHP 설문조사를 위한 안전 대책 요소를 선정하기 위하여 진해만 내 태풍 내습 시 VTS 관제사의 대응 조치 평가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선정된 안전대책 요소를 기반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선정된 요소에 대해 선박 운항자는 선박의 안전을 효율적 관리보다 약 2배 이상 중요하게 생각하며, 종합적으로 피항선 관리, 정박구역 관리, 피항정보 관리, 규정 및 지침 마련, 시스템 장비 개선, 교육 및 홍보·알림 활동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함을 파악하였다. 본 논문에서 식별된 방안 및 상대적 중요도를 통해서 진해만 태풍 피항지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어선 통항 안전 확보를 위한 어업활동보호구역과 항만·항행구역의 해양사고 비교분석

        김현동,박상원,박영수,김대원,교칸 참르율트 해양환경안전학회 202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9 No.2

        해양을 이용하려는 수요자 증가에 따라, 해양공간을 합리적으로 배분하기 위해 해양공간계획(Marine Spatial Planning)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중 어업활동보호구역은 수산자원보호 등 어업활동 보호를 위해 지정되었다. 그러나, 어업활동보호구역을 주로 항해하는 어선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의 약 70%를 차지할 정도로 위험에 노출되어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업활동보호구역 내 어선 통항 안전 확보를 위해 어업활동보호구역과 항만·항행구역에서 발생하는 해양사고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양용도구역의 교통량을 조사하고 선종별, 사고 유형별, 톤수별, 사고원인별, 인명피해별로 해양사고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각 유형별 단위 면적당 해양사고는 대부분 항만·항행구역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발생한 해양사고는 어업활동보호구역이 높았다. 특히 인명사고가 많이 발생하여 통항 안전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식별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