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열대조건에서 벼 등숙기간 형질의 유전분석

        곽태순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7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9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the basic genetic informations regarding the grain filling patterns and initial grain filling rate for 24 rice varieties composed by the different 3 sub-species of rice under tropical condition at IRRI. The amount of actively accumulated starch by daily grain filling was 0.94 grams per day to 0.84 grams per day from 7 days after heading to 21 days after heading, but after 21 days after heading showed very slightly accumulation. The patterns of daily grain filling among different sub-species of rice revealed quite similar phenomena. The degree of daily grain filling showed highly varietal significant, therefore this character could be explained by genetic characteristics. The heritability of temperate indica of Tongil type rice variety showed higher than that of indica and temperate japonica of new plant type(NPT). The value of genotypic correlation for the characters related to the daily grain filling by 7 days intervals after heading is greater than phenotypic and environmental correlations. 국제미작연구소의 열대조건에서 벼 등숙과정별 등숙율에 대한 유전정보를 파악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출수후 7일 째부터 21일 사이의 기간에 하루 종실에 축적되는 동화전분이 0.94g/day에서 0.84g/day로 활발하게 채워졌고 그 이후는 미미하게 축적되었다. 2.상이한 벼 아종 간에도 daily grain filling 양상은 비슷하였다. 3.Daily grain filling정도가 품종간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유전형질로 취급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4.통일형인 temperate indica품종군의 초기급속등숙속도에 대한 유전력이 인디카 및 NPT초형의 temperate japonica품종군보다 높았다. 5.출수후 매 7일 간격의 daily grain filling정도의 모든 형질에서 유전상관의 값이 표현형상관이나 환경상관의 값보다 크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벼 밀양 23호x기호벼의 재조합 자식계통에서 초기급속등숙과 미질 특성

        곽태순,여준환 韓國作物學會 2004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9 No.3

        벼 M/G RIL 162 계통에 대한 초기급속등숙율에 대한 이화학적특성 및 색차색도특성 변이에 대한 주성분분석 및 유전력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급속등숙율이 41% 이하인 계통군은 164계통중 74계통이었으며, 41∼60%의 계통군에는 32계통이 있었다. 또한, 초기급속등숙율이 빠른 계통군에 속하는 61∼80%사이에는 24계통이 있었으며, 초기급속등숙율이 매우 빠른 계통군으로 분류되는 81% 이상인 계통은 32계통이 있었다. 2. 벼 M/G RIL 164계통에 대한 품종군별 이화학적특성을 보면, 초기급속등숙을이 40% 이하인 계통군이 단백질 함량이 9.1%로 가장 높았으며, 지방산함량은 초기급속등숙율이 61∼80%의 계통군에서 26.5KOHmg/10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곡립형태에 있어서 현미길이는 41∼60%사이의 초기급속등숙율을 보인 계통군이 5.40mm로 가장 짧았으며, 81% 이상인 계통군이 1.80mm로 현미두께가 가장 두꺼웠으며, 현미의 형태를 나타내는 현미 길이/넓이 비에 있어서는 41∼60%사이의 계통군이 2.18로 나타났다. 3. 호화온도와 깊은 관련이 있는 알카리붕괴도에 있어서는 초기급속등숙율이 61∼80%사이가 3.40으로 가장 붕괴가 되지않는 계통군으로 나봤으며, 81%이상인 계통군은 4.31로서 붕괴가 가장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나 81%의 계통군이 호화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화학적특성, 색차색도특성 및 알카리붕괴도를 이용한 벼M/G RIL 164 계통에 대한 주성분분석의 결과 제 1주성분은 약 3.6개의 형질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제 2주성분은 약 2.1개의 형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제 1주성분은 전체 변동에 대한 기여율은 약 36%이었으며, 제 4주성분까지의 전체 변동에 대한 누적 기여율은 86.4%로서 설명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5. 벼 M/G RIL 164 계통의 품질평가치, 단백질함량, 아밀로오스함량, 지방산함량, 명도, a-value, b-value, 채도, 색상 및 알카리붕괴도 등의 형질에 대한 유전력 검정의 결과, 품질평가치의 유전력은 87.89%로 가장 높은 유전력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함량 > 알카리붕괴도 > 지방산함량 > 아밀로오스함량 > 색상 > 명도 > a-value > b-value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채도의 유전력은 30.62%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the basic informations regarding the varietal variations fo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protein content, amylose content, fatty acid content, grain quality values and color properties such as lightness value, chroma and hue for the 164 recombinant inbred lines(RILs) of Milyang 23 and Gihobyeo(M/G) at the experimental farm in the Sangji Universit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heritability study were conducted for this experiments. The rapidity of grain filling(RCF) for the 164 M/G RIL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such as slow maturing group less than 41%, mid-slow maturing group 41∼60%, fast maturing group 61∼80% and very fast maturing group more than 81% based on the rapidity of grain filling rate. The slow maturing group of RGF showed a little bit higher protein content 9.1%, compared to the other RGF groups. However, the amylose content of all the RGF groups revealed the same content by the groups. The very fast maturing group of RGF showed longer grain length in brown rice compared to other RGF varietal groups, in case of grain width in brown rice showed shorter than any other groups. The alkali digestive value which was so much related to gelatinization temperature showed 3.40 degree at fast maturing group of RGF in M/G RILs. However, the very fast maturing group of RGF revealed 4.31 degree of alkali digestive value.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chemical and color properties such as quality value, protein content, amylose content, alkali digestive value, fatty acid content, lightness value, chroma and hue for M/G RIL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able to explained upto 36% to total informations. It was corresponded to quality value, protein content, amylose content, fatty acid content, lightness value and a-value(green -1 red). The characters regarding grain quality showed high heritable properties more than 75% of heritability, but color characters appeared relatively lower heritability compared to grain quality.

      • KCI등재후보

        국제미작연구소에서 Germplasm Utilization and Value Added(GUVA) 주요 벼 계통의 수량관련형질의 품종간 차이

        곽태순,이문희,Visperas, Romeo M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5 No.1

        열대지방인 국제미작연구소에서 GUVA 유망계통에 대하여 생육 및 수량관련 형질특성을 상관과 주성분 분석에 의한 품종분포를 파악한 바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GUVA 자포니카 혈통의 계통들은 인디카 혈통의 계통보다 등숙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 생육 및 수량관련 형질을 기존으로 주성분 분석한 결과 제3의 고유치까지는 전체 변이 정보의 81.63%까지 파악할 수 있었다. 3. 제1주성분은 출수일수, 간장, 수당영화수 및 고중을 크게 할 뿐만 아니라 등숙비율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성분이었으며 제2주성분은 천립중을 크게 하고 수수, 초기 급속등숙율 및 고중을 감소시키는 쪽으로 작용했고 제3주성분은 정조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품종의 주성분치로서 평면상 도표로 그린 품종군 분류로 형질특성의 공통된 일부를 파악할 수 있었다. Correlation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applied to get the basic breeding informations of Germplasm Utilization and Value Added(GUVA) Japonica lines at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2001 wet season. The GUVA Japonica lines which had Japonica parentage showed higher grain filling rate than the Indica parental cultivars. 81.63 percent information could be explained upto the third eigen value of growth and yield related characters b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applicable to increase days to flowering, culm length,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and straw yield, and applicable to decrease grain filling ratio.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affect increasing 1000 grain weight and decreasing number of panicles, initial grain filling ratio straw yield. And the third principal component influenced increasing grain yield. Varietal classification by the principal component score of each line could be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community by the dendrogram for the used varietal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