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장(貯藏) 한약재(韓藥材)를 가해(加害)하는 주요해충(主要害蟲)의 생태(生態) 연구(硏究)

        곽준수 ( Joon Soo Kwak ),송영은 ( Yeung Eun Song ),유지성 ( Ji Sung Ryu ),김주 ( Ju Kim ),한종현 ( Jong Hyun Han ) 대한경락경혈학회 2000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17 No.2

        저장한약재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을 조사 한 결과 권연벌레(Lasioderma serricorne),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등이 우점해충으로 조사되었으며 지금까지 소홀히 해 왔던 응애류의 발생도 확인하였다. 한약재에 발생하는 우점해충 권연벌레는 6월과 9월 2차례, 화랑곡나방은 상온에서 6월과 8월 2차례, 그리고 응애류는 상온에서 7월과 10월 2차례의 발생 peak를 보였다. 약재 종류별로는 천궁(Cnidium officinale)에서 발생량이 가장 많았고, 의이인(율무), 건지황, 백지, 감초, 길경, 당귀 등에 고루 발생하였으나 길경, 오미자, 백출 등에는 비교적 발생이 적었고 황기, 백복령, 두 충 등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한약재를 50℃ 이상 건조 처리한 구에서는 권연벌레는 발생하지 않았고, 40℃이하 건조처리구에서는 8월 이후에는 조사가 불가능 할 정도로 피해가 심하였다. 권연벌레의 먹이선호도조사에서는 천궁, 인삼, 당귀 등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백지 의이인, 건지황, 길경, 양유 등도 식해를 하나, 백출, 백복령, 두충, 갈근 등은 가해하지 않았다. 권연벌레의 성충 수명은 수컷이 11∼24일, 암컷이 5 ∼22일 이었으며 평균 17.7일과 13.2일 이었다. 권연벌레의 산란전기는 1.6일, 산란기간은 7.6일 이었고, 산란수는 59개 정도였다. 권연벌레의 부화율은 97.3%로 매우 높고, 부화기간은 5일 정도였으며, 난기간은 2.7일이었다. 권연벌레의 용화율은 94.4%였으며, 용화기간은 7.3일, 유충기간은 24.7일 이었다. 권연벌레의 우화율은 95.6%였고, 우화기간은 5일, 용기간은 2.7일 정도 였다. 천궁을 먹이로 사육한 권연벌레의 발생 소장은 5월과 7월, 9월등 3차례의 발생 피크를 보였다. 한약재 종류별, 지역별 발생상황 조사에서는 지역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한약재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ests in stored herb medicine with some different condition, and how rearing conditions affect the diversity of species and the density of stored insect pest. From April to October 1999, we were observed monthly from 16 species of herb medicines; Cnidium officinale, Angelica gigas,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Angelica dahurica, Rehmannia glutinosa, Astragalus membranaceus, Glycrrhiza uralensis, Platycodon grandiflorum, Codonopsis lanceolata, Schizandra chinensis, Aralia cordata, Panax ginseng, Pachyma hoelen, Eucommia ulmoides, Atractylodes macrocephala, Paeonia japonica. We used to Tullgren funnel for extract the small insects. The fluctuation of dominant species of stored insect pests were observed. And we serveyed the development, diet preferences, and other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sioderma serricorne, such as the longevity and fluctuation of each stage.

      • KCI등재

        박피(剝皮)날 및 연마재(硏磨材)가 백하수오(白何首烏) 기계박피(機械剝皮)에 미치는 영향(影響)

        곽준수 ( Joon Soo Kwak ),김주 ( Ju Kim ),김창수 ( Chang Soo Kim ),송영은 ( Yeung Eun Song ),이윤석 ( Yun Suk Lee ),심진찬 ( Jin Chan Shim ),한종현 ( Jong Hyun Han ) 대한경락경혈학회 2001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18 No.1

        전북 진안지역에서 재배된 백하수오 2년생 생근을 공시재료로 이용하여 백하수오의 적정기계박피 조건을 구명하고자 박피날은 돌기형 고무, 플라스틱 패드, 마름모형 철제날과 솔브러시를 공시하고 연마재로서 인조석, 모래, 잔자갈을 이용하여 박피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손박피의 경우 철제칼을 이용하여 1kg을 박피하는 시간이 36분으로 가장 적게 걸렸고 기계박피는 동일 무게 처리에 2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명도의 경우 손박피가 기계박피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2. 백하수오 기계박피시 박피날과 연마재 처리조건에서 수율은 마름모형 철제날에 모래을 처리한 조합에서 89.9%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박피율은 마름모형 철제날에 잔자갈을 처리한 조합에서 7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백하수오의 박피후 품질결정에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인 명도의 경우 마름모형 철제날에 잔자갈을 연마재로 사용한 조합에서 61.9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백하수오 기계박피시 적정 회전속도를 구명하기 위한 조건에서는 박피 회전속도가 빨라질수록 수율은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박피율의 경우 회전속도 30r.p.m.에서 66.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명도 또한 57.16으로 나타나 백하수오 기계박피시 적정 회전속도는 30r.p.m.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분석되었다. A rapid increasing in cultivation area due to favorable price temporarily and decreasing in consumer`s demands caused by economic depressions recently, lead the price of Cynanchum wilfordii Hemsley to decline sharply. Thus, it may give rises to weakening of cultivation bases in Cynanchum wilfordii Hemsley. To investigate optimal mechanical peeling conditions of Cynanchum wilfordii Hemsley, protruded rubber, plastic pad, diamond shape`s steel and palstic brush were introduced as blades and artificial stone, sand and small pebble were done as abrasives. The main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took 2 minutes per 1kg in mechanical peeling of Cynanchum wilfordii Hemsley`s raw root whereas 36 minutes in manual peeling and values of lightness showed more higher in manual peeling than in mechanical peeling. 2. Yield in combination of diamond shape`s steel blade and sand abrasive showed the lowest at 89.9% among treatments and peeling rates in combination of diamond shape`s steel blade and small pebble showed the highest at 71.3% in mechanical peeling. 3. Lightnes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quality of Cynanchum wilfordii Hemsley, showed the highest in combination of diamond shape`s steel blade and small pebble brasive at 61.90 in mechanical peeling. 4. As the speed of rotation gets faster, yields tend to lower in mechanical peeling. Peeling rates and lightness showed the highest at 66.8%, 57.96 respectively among treatments at 30 r.p.m. in mechanical peeling.

      • KCI등재

        일반논문 : 약선 식재료로 이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 생물영역 교과서의 자원식물 분석

        곽준수 ( Joon Soo Kwa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6 No.-

        유구한 동양의 음식문화에서 한의학을 기본 바탕으로 하는 약선 식문화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약식동원(藥食同源)의 철학적 바탕에 근거한 우리 전통적 식문화의 기본을 엿볼 수 있는 것으로서 문화사적 가치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식문화는 어린 시절부터 무엇을 어떻게 먹을 것인가의 문제와 함께 그것이 생활 일반은 물론 우리의 정신세계에 까지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도록 하여 장차 육체적 및 정신적 기본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관리와 교육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식생활 교육의 기초를 확립한다고 하는 차원에서 학교 교육활동의 기본단위로서 중요한 교과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고려하여 차세대 교육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일환으로 현행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물영역의 교과서에 수록되어있는 식물자원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 개편 이후에 출간 되어 사용하고 있는 현행 교과서 17종을 조사·분석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행 교과서에는 총 65과(科), 117속(屬)에 139종(種)의 식물자원이 기록되었다. 2. 현행교과서에 수록된 식물자원 중 122종은 약선 식재료로 사용이 가능한 자원식물이며, 17종은 단순 학습 자료로 분석되었다. 3. 수록된 자원식물 중 가장 기재 빈도가 높은 식물은 벼(Oryza sativa L.), 소나무(Pinus densiflora S.& Z.),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Dahlst.)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수록된 식물자원 중 약선 식재료로 이용 가능한 자원식물을 대상으로 본초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열(淸熱) 약재 류가 가장 많았고, 보익(補益)류 약재, 수렴(收斂)약재, 이수소종(利水消腫) 약재 류 등이 다음을 이었다. 5. 학년별로는 3학년에서 가장 많은 식물이 수록되었으며, 그 다음이 5학년이었으나 학년 간 또는 학기 간 난이도에 따른 배치나 선행학습을 고려한 순서의 배치 등은 없었다. 또한 어디에서도 약선 자원식물로서의 활용도나 한의약 분야 또는 식생활 분야 등의 이용방안에 대한 언급은 되어있지 않아서 향후 교과내용 개편작업에 한의약 또는 약선 분야의 전문가들이 적극 참여하여 이를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다수의 약선 자원에 대한 목록만 수록되어있을 뿐 동양 전통의학으로서의 가치나 이용적 측면을 언급한 기록은 전무한 상태여서 이에 대한 논리개발과 교육과정 개편작업에 전문가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 및 의견 개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edicated yacksun herbs recorded materials in biology subject matters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And I analyzed to the herbs by the traditional methods as in oriental medicines. To fulfill this purpose 17 species textbooks that using in the elementary schools was examined. And I made the list that was recorded plants, and herbalogical analysis of the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otal amount of plants that were recorded in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are 139 species, 117 Genera, 65 Families. Among them, 122 species are medicated yacksun herbs, and others are unknown. Oryza sativa L. is the largest in recorded number, and Pinus densiflora S.& Z., Taraxacum platycarpum Dahlst. are followed. "Drugs for clearing away heat" were largest group in the recorded herbs as 35 species, "Drugs for invigorating deficiency" were second group as 23 species, and the third were "Drugs for astringent" and "Drugs for inducing diuresis and excreting dampness" such as in 9 species. Recorded number of medicated herbs in the biology textbook of primary school was the most group in 3 grade as 86 species, and in the next group in 5 grade as 82 species. But there was nothing descriptions that some effects or using methods with medicated yacksun resources. It necessary to take part in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s.

      • KCI등재

        문화 :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에 수록된 한약자원 식물 분석

        곽준수 ( Joon Soo Kwa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12 No.-

        현행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를 분석하여 수록된 식물자원 중 한약자원으로 이용 가능한 자원식물을 파악하고, 적절한 교과편성의 기초정보를 제공한다는 목적 하에 제7차 교육과정 개편 이후 현행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물영역의 교과서에 수록된 한약자원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5종 교과서를 검토하여 목록을 작성하였고, 본초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현행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물영역 교과서에 수록된 식물은 총 43과, 69속에 71종이었다. 2. 조사된 식물 중 68종은 한약자원식물이었고, 나머지 3종은 기타 학습 자료로 분석 되었다. 3. 교과서에 수록된 식물 자원 중 벼(Oryza sativa L.)가 가장 많은 교과서에 기록되었고, 다음은 콩(Glycine max (L.) Merr.), 땅콩(Arachis hypogaea L.) 그리고 감자(Solanum tuberosum L.) 등 이었다. 4. 기록된 한약자원의 다양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식물의 소속 과 (科)별 종(種) 수를 비교분석 한 결과 화본과에 속하는 자원식물이 총8종류로서 가장 많았으며, 이들은 주로 우리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쌀(Oryza sativa L.), 보리(Hordeum vulgare L.), 옥수수(Zea mays L.), 밀(Triticum aestivum L.),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 사탕수수(Saccharum sinensis Roxb.), 귀리(Avena fatua (L.) var. sativa) 등과 생활 주변에서 많이 관찰되는 대나무(Phyllostachys bambusoides S. et Z.) 등이었다. 콩과(科)에 속하는 자원식물은 6종류로 다음 순위를 이었으며, 다음은 가지과, 국화과, 백합과에 속하는 자원식물들이 각각 4종류씩으로 나타났다. 5. 본초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청열(淸熱) 약재류가 가장 많은 19종류였고, 보익(補益)약재류가 17종, 거담(祛痰) 약재류가 7종, 이수소종(利水消腫) 약재류가 6종으로 다음을 이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한약자원에 대한 목록만 수록되어있을 뿐 동양 전통의학으로서의 가치나 이용적 측면, 또는 약재로서의 특성은 물론한약재로서 이용이나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온 사례 등을 언급한 기록은 전무한 상태이며, 학습자의 입장에서 한방 의약자원으로 활용하는 식물임을 인식할 수 있는 어떠한 단서도 제공하지 않고 있어서 현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 증진이나 학습동기 유발은 물론 장차 관련학문 분야의 진로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지도 방법론의 개발과 함께 교육과정 개편작업에 전문가의 보다적극적인 참여 및 자료의 개발과 반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edicinal herbs recorded materials in biology subject matters textbooks of high-schools. And I analysis to the herbs by herbalogical methods as in oriental medicines. To fulfill of this purpose 5 species textbooks that using in the high-schools was examined. And I made the list that was recorded plants, and herbalogical analysis of them. The outcome of the study was as follows : 1. Total amount of plants that were recorded in textbooks of high-schools are 71 species, 69 Genera, 43 Families. 2. Among them, 68 species are medicinal herbs, and others are not. 3. Oryza sativa L. is the largest in recorded number of textbook, and Glycine max (L.) Merr., Arachis hypogaea L. and Solanum tuberosum L. are followed. 4. The multiplicity of species of each Family that decribed medicinal plants were as follows : the Gramineae was the largest group with eight species such as Oryza sativa L., Hordeum vulgare L., Zea mays L., Triticum aestivum L., Zingiber officinale Rosc., Saccharum sinensis Roxb., Avena fatua (L.) var. sativa.. And Favaceae was described six species such as Arachis hypogaea L., Pisum sativum L., Glycine max (L.) Merr., Trifolium pratense L., Phaseolus vulgaris (L.) humilis Alef., Phaseolus calcaratus Roxb. 5. "Drugs for clearing away heat" were largest group in the recorded herbs as 19 species, "Drugs for invigorating deficiency" were second group as 17 species, and next were "Drugs for removing phlegm" and "Drugs for inducing diuresis and excreting dampess" such as in 7 and 6 species.

      • KCI등재

        인진의 추출방법에 관한 시험

        송영은,곽준수,김창수,장광호,오동훈,한종현,Song Young-Eun,Kwak Joon-Soo,Kim Chang-Soo,Jang Kwang-Ho,Oh Dong-Hoon,Han Jong-Hyun 대한한의학방제학회 1999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7 No.1

        Though development of diverse and highly value-added commodities in Artemisia Iwayomogi, we can expect such effects as procurement of secure farm's production bases and promotion of consumer's demands. Thus, as a first step for development of funtional foods of Artemisia Iwayomogi, solids yield, physical properties and scopoletin contents which is main component of Artemisia Iwayomogi,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extration solvents and temperatures. The main result of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ing: solid yield in 50% ethanol extracts showed higher than those of water extracts at the same temperature. In condition of 50% ethanol extracts, solid yield, degree of browing and scopoletin contents showed increasing, but turbidities which mean transmittance(%T) showed decreasing sa temperature rise. In water extracts, pH values showed increasing as temperature rise.

      • KCI등재

        인진쑥 추출물을 함유한 음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피로회복 물질과 심박수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박성혜(Sung-Hye Park),곽준수(Joon-Soo Kwak),박성진(Sung-Jin Park),한종현(Jong-Hyun H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는 한방자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인진쑥을 음료 제조에 적용하여 음료를 개발하고 음료의 영양성분과 그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계획하였다. 이에 따라 개발된 음료의 일반성분, 무기질,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고 인진쑥의 scopoletin 함유에 따른 혈행개선효과 및 피로회복능력을 평가하고자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음료섭취 전과 6주간 음료를 섭취한 후에 각각 운동시작 전 안정상태 및 운동을 멈춘 직후의 심박수와 혈액성분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심박수, 혈중 젖산농도, 혈청의 포도당, creatinine, LDH, GOT, GPT 및 혈청의 지질농도가 6주간 규칙적으로 음료를 섭취한 후의 안정시나 운동직후에 모두 유의하게 낮아진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에서 연구대상자들이 꾸준한 유산소 운동을 하고 있는 운동선수들이었으므로 단지 유산소 운동에 의한 결과는 아닐 것이며 6주간 섭취한 인진쑥의 작용이었으리라 판단된다. 인진쑥에 함유된 구연산, 원활한 혈행을 돕는 scopoletin 및 6,7-dimethoxy-coumarin의 기능에 의한 결과로 사료되며 인진쑥 음료는 피로물질 감소에 의한 피로방지에 효과적이고 운동능력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제언할 수 있겠다. 운동선수뿐 아니라 특히 평소 운동시에도 꾸준히 섭취함으로써 근본적인 체내의 혈액순환이 원활해지므로 경기력 향상과 국민건강증진에 일익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보다 많은 대상자들, 다양한 운동부하조건, 다른 음료와의 비교등으로 다양한 임상 분석이 이루어지면 그 기전이나 효능을 명확히 할 수 있겠으나 본 결과가 향후 인진쑥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개발과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medicinal plants application as an edible functional food resource. This research was planned to apply Artemisia capillaris, which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oriental medicinal resource into beverages, and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the nutrients of the developed beverage with Artemisia capillaris. Following this plan, we analyzed contents of the general nutritional composition, mineral and amino acid contents. And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blood circulation and the ability to recover from fatigue, we had a group of athletes to regularly take the beverage before and after exercise and checked the heart rates, and blood components before exercise and after exercise. Brix,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developed drink were 9.2%, 4.4 and 0.04%, respectively. The approximate nutritional composition of beverage was carbohydrate, 2.70%, crude protein, 6.00%, crude ash, 0.20%, and crude fat, 0.10%. And developed beverage contained essential amono acids and minerals (P, Ca, K, Na, Fe, Mn, Zn). Heart rates, lactic acid, glucose, creatinine, LDH, GOT, GPT and lipid concentratios in blood were decreased after taking the beverage with Artemisia capillaris for 6 weeks, both in stable condition and after exercise. Since the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our research were doing aerobic exercise regularly, we judged that this result was formed not only by aerobic exercise, but also by the function of developed beverage with Artemisia capillaris the athletes took for 6 weeks. We believe that taking the beverage regularly will help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 health and the athleticism of the athletes. We hope that this result will be used as the basic resource in developing of the beverage with Artemisia capillaris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박피(剝皮)날 및 연마재(硏磨材)가 백하수오(白何首烏) 기계박피(機械剝皮)에 미치는 영향(影響)

        김주,김창수,송영은,이윤석,심진찬,한종현,곽준수,Kim Ju,Kim Chang-Soo,Song Yeung-Eun,Lee Yun-Suk,Shim Jin-Chan,Han Jong-Hyun,Kwak Joon-Soo 경락경혈학회 2001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18 No.1

        A rapid increasing in cultivation area due to favorable price temporarily and decreasing in consumer's demands caused by economic depressions recently, lead the price of Cynanchum wilfordii Hemsley to decline sharply. Thus, it may give rises to weakening of cultivation bases in Cynanchum wilfordii Hemsley. To investigate optimal mechanical peeling conditions of Cynanchum wilfordii Hemsley, protruded rubber, plastic pad, diamond shape's steel and palstic brush were introduced as blades and artificial stone, sand and small pebble were done as abrasives. The main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took 2 minutes per 1kg in mechanical peeling of Cynanchum wilfordii Hemsley's raw root whereas 36 minutes in manual peeling and values of lightness showed more higher in manual peeling than in mechanical peeling. 2. Yield in combination of diamond shape's steel blade and sand abrasive showed the lowest at 89.9% among treatments and peeling rates in combination of diamond shape's steel blade and small pebble showed the highest at 71.3% in mechanical peeling. 3. Lightnes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quality of Cynanchum wilfordii Hemsley, showed the highest in combination of diamond shape's steel blade and small pebble brasive at 61.90 in mechanical peeling. 4. As the speed of rotation gets faster, yields tend to lower in mechanical peeling. Peeling rates and lightness showed the highest at 66.8%, 57.96 respectively among treatments at 30 r.p.m. in mechanical peeling. 전북 진안지역에서 재배된 백하수오 2년생 생근을 공시재료로 이용하여 백하수오의 적정 기계박피 조건을 구명하고자 박피날은 돌기형 고무, 플라스틱 패드, 마름모형 철제날과 솔브러시를 공시하고 연마재로서 인조석, 모래, 잔자갈을 이용하여 박피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손박피의 경우 철제칼을 이용하여 1kg을 박피하는 시간이 36분으로 가장 적게 걸렸고 기계박피는 통일 무게 처리에 2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명도의 경우 손박피가 기계박피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2. 백하수오 기계박피시 박피날과 연마재 처리조건에서 수율은 마름모형 철제날에 모래을 처리한 조합에서 89.9%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박피율은 마름모형 철제날에 잔자갈을 처리 한 조합에서 7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백하수오의 박피후 품질결정에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인 명도의 경우 마름모형 철제날에 잔자갈을 연마재로 사용한 조합에서 61.9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백하수오 기계박피시 적정 회전속도를 구명하기 위한 조건에서는 박피 회전속도가 빨라 칠수록 수율은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박피율의 경우 회전속도 30r.p.m.에서 66.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명도 또한 57.16으로 나타나 백하수오 기계박피시 적정 회전속도는 30r.p.m.으로 처 리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분석 되었다.

      • KCI등재

        주박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와 Tyrosinase, Xanthine Oxidase, ACE 저해 효과

        권상철(Sang-Chul Kwon),전태욱(Tae-woog Jeon),박정섭(Jeong-Seob Park),곽준수(Joon-Soo Kwak),김태영(Tae-yo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9

        주박 추출물을 열수 및 에탄올로 추출하여 tyrosinase와 xanthine oxidase, ACE, 아질산염 소거능을 실험하였다. 주박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 효과는 85%이상이었다. 아질산염의 경우에는 pH 4.2과 pH 6.0보다 pH 1.2가 높았으며, pH 1.2에서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90%이상의 소거능을 가지고 있었다. 주박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는 매우 낮았고, 효과는 열수와 에탄올에 의해 차이가 없었다. 주박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ACE 저해 효과는 각각 약 43~53%와 36~47%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주박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tyrosinase저해, ACE 저해 그리고 아질산염 소거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나,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박은 화장품 원료로 가능성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식품 첨가물로써 사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rosinase, xanthine oxidas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effec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Jubak (alcohol filter cake, AFC)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Jubak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above 85%.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higher at pH 1.2 than at pH 4.2 and 6.0.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above 90% at pH 1.2.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 of Jubak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showed a lower, and the effect did not different by hot water and ethanol. ACE inhibitory effects of Jubak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approximately 43~53% and 36~47%, respectively. Overall, our results indicate that Jubak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may have tyrosinase and ACE inhibitory effec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but no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 Therefore, Jubak has potential as a cosmetic raw material. Additionally, Jubak could be used as a food addi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