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상업용 TV 뉴스 프로그램이 수업과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고찰

        곽은순 경원전문대학 1997 論文集 Vol.19 No.2

        Channel One is a television news program, produced by Whittle Communications Inc. and delivered by satellite to American secondary schools that have entered into a contract to receive the broadcasts. The subscription contract requires no monetary payment by the schools and provides them with a satellite dish, VTR, and one TV receiver per classroom. In addition to ten minutes of news, students must be exposed to two minutes of commercials every school day for three years. Although advertising is virtually everywhere, television advertising has never been a sanctioned component of the school day. Because the terms of the Channel One arrangement constitute a real and obvious change in the role accorded to advertising by school and by business, the program has aroused a large controvers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collect the various arguments people have made in regard to Channel One, pro and con, and Place them in several perspectives in order to critique them and learn how important they might be. This paper does not propose a single, best answer but is meant to clarify important issues that presently exists and to encourage anticipation of issues that may develop as various parties act. Therefore, this study is not an in-depth critique from a single viewpoint, but more of a survey from several viewpoints, so that in-depth critiques might more easily proceed.

      • 교육에 있어 매체 활용 연구에 관한 고찰

        곽은순 경원전문대학 2001 論文集 Vol.23 No.-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research on educational media. Most early research provided comparison studies. To justify instructional media use, its effect on student performance on standardized test was compared to the effect of the traditional lecture method. Later, these comparison studies were criticized because of flaws in research design. Then cultural studies were reviewed. Finally, symbol system research was analyzed. Proponents who view media as symbol systems criticized comparison studies because they tried to compare "apples and oranges." Different media bring unique impact on learning, and cannot be measured with standardized evaluation mechanisms developed for printed media.

      • Characteristics of Courseware :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곽은순 경원전문대학 2000 論文集 Vol.22 No.-

        본 논문의 목적은 가상 공간에서 활용되는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특징을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이런 특징에 따른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모델을 구성해보는데 있다. 컴퓨터는 그래픽과 애니메이션, 그리고 컴퓨터 특유의 상호 작용을 통해 학습자가 추상적인 개념을 습득하는데 독특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학습자와 컴퓨터간의 상호작용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하드웨어의 구성, 소프트웨어의 특징, 인지적 상호작용, 정서적 상호작용, 인지적인 학습 목표, 정서적인 학습목표, 그리고 내용분석 측면에서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 측면의 분류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점이 있으나 소프트웨어의 개발과정을 명료히 밝히고 나아가 효율적인 코스웨어의 특징을 연구하는데 있어 필수 불가결하다. 끝으로 본 논문은 위 영역간의 상호작용이 소프트웨어 제작과정에서 어떤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가를 논의하고 있다.

      • Learner Control in Computerized Instruction

        곽은순 경원전문대학 1998 論文集 Vol.20 No.-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통하여 컴퓨터 개별학습 프로그램에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조절하는 기능 (learner control)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인공지능 및 소수의 실험적인 프로그램을 제외한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에서 학습자의개인차는 학습속도에서 나타나는 차이로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이에는 개별학습에서 학습속도의 차이와 즉각적인 강화를 강조한 이전 프로그램학습의 영향과 아직까지도 개개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 스타일과 학습과제의 성격을 고려한 개별학습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이론의 부재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의 개별학습 프로그램은 대상 학습자의 특성과 과제의 성격, 그리고 이 둘의 연관성을 상세히 기술하여 특정 학습 스타일의 학습자에게 학습속도를 넘어선 개별학습을 제공해야할 것이다. 또한 인쇄매체의 표현양식을 따르기보다는 컴퓨터 특유의 표현양식을 개발하여 이전에는 제공 불가능했던 새로운 학습기회를 창출하여 개별학습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 가야할 것임을 본 논문은 강조하고 있다.

      • 컴퓨터를 활용한 학습의 연구동향 및 사회문화적 배경 고찰

        곽은순 경원전문대학 2002 論文集 Vol.2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promote computer related activities in schools. To do so, behavioral learning psychology and Papert's constructive view of learning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research trends were reviewed. As a result, extensive research predicted the impact of computer's technological capabilities on instruction and became a factor in hastening adoption of computers in public schools. Few studies have tried to understand computers within the social and political relationships prevail in an organization and influence utilization of the computers. In this regard,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societal trends that promote computers in schools.

      • KCI등재
      • KCI등재

        유치원 교육과정에 있어 컴퓨터의 통합 실태탐색 : 질적 접근

        곽은순(Eunsoon Kwa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 현장에서 컴퓨터의 통합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 내외의 요건을 파악하고, 이런 요건에 따라 컴퓨터의 활용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에 따라 차이나는 다섯 곳의 유치원을 방문, 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컴퓨터의 통합 양상은 이용가능한 공간과 수업자원과 같은 유치원의 인적, 물적 자원의 차이와 지역사회의 학부모의 영향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유치원 환경이 보통인 유치원에서 자유선택활동을 비롯, 대집단 수업과 컴퓨터 특별활동 등 가장 광범위하게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 반면 우수한 유치원은 자유선택활동 위주로, 상대적으로 환경이 미흡한 유치원에서는 특별활동으로 컴퓨터 자체에 관한 수업을 하고 있어 컴퓨터가 또 다른 교과교육으로 도입되고 있었다. 유치원의 질에 상관없이 컴퓨터 활동이 주제와 통합되어 일어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활동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컴퓨터 사용에서 나타나는 성 차이의 중재와 같은 일은 간과되고 있었다. 이로 미루어 유치원에서 중시되고 있는 지식, 시간 자원과 같은 구조적인 특성이 컴퓨터의 교육과정 통합에서 한계로 작용한다 하겠다. This study described and analyzed how computers were used for kindergarte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 fold: (a) to identify the conditions of the classrooms and the communities that might affect computer integration, (b) to describe the nature of the compute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kindergarten environment. A case study approach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ocietal and organizational contexts that affected the computer activities. This study found that computers were heavily used in the middle class kindergartens not for educational purposes but for compensation of scarce teaching materials and for baby sitting while teachers had to do manegerial work such as lunch delivery and sending-home services. On the other hand, the high level kindergarten used computers mainly for free play while the low level kindergarten introduced the computer as a subject to teach. The integration of computer activities into other activities in free play did not occurred in all kindergartens because the teachers did not put an emphasis on computer integration unlike language or art activities. Also they felt lack of time for computer integration. Therefore, existing organizational routines such as legitimate knowledge and allocation of time influenced the nature of the computer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kindergartens.

      • KCI등재

        유아동작교육에 관한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성 분석

        곽은순 ( Eun Soon Kwa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교육의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분야에 관한 지식이 깊은 교수의 수업평가를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구성요소인 교과지식과 교육학적 지식, 그리고 상황적인 지식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동작교육의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성으로 첫째, 조직적이고 단계적인 특성이 부각되었는데 이는 위계성이 강한 내용구조와 타 교과와의 연계성이 중요한 종합적인 성격에, 그리고 동적이고 예측이 힘든 수업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무엇을 해야 하는지와 더불어 그 무엇을 상황에 따라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관한 구체성이 강하게 부각됨으로써 현장적용을 강조한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성이 드러났다. 셋째, 이런 세 종류의 지식이 긴밀히 연결되어 있어 전체로 존재함이 확인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n teaching movement education at kindergarten. A case study method wa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tion of a highly field-experienced professor in this a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CK, the professor`s existing knowledge base of PCK was examined in terms of subject matter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and contextual knowledge. Important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highly logical and specific character resulted from the hierarchy of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In addition, low predictability and active character of movement education required very systematic approach. Second, PCK appeared stronger in know-how than know-what and this affirmed the character of PCK that emphasized the application of subject matter and pedagogical knowledge in actual settings. Third, these three areas of knowledge were interconnected and understood as a whole rather than a part. Fourth, PCK remained as a personal knowledge rather than theorized one like any other teacher knowled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eorize field-oriente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order to share the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